글읽기
read 14664 vote 0 2005.09.21 (21:52:48)

언제나 그렇듯이 정치는 자살골 넣기 시합이다. 이기는 것이 지는 것이고 지는 것이 이기는 것이다. 정치판 만큼 역설의 원리가 분명하게 작동하는 곳은 더 없을 것이다.

그러므로 예로부터 훌륭한 정치인들은 이겨야 할 때 이겨주고 져주어야 할 때 져주는 방법을 선택해왔다. 지금 져주는 방법으로 힘을 비축해 두는 것이, 나중 반드시 이겨야 하는 결정적인 승부처에서, 단번에 힘을 끌어모을 수 있는 바탕이 된다는 사실을 아는 것이 노무현식 진정성의 정치다.

‘더 중요한 정치인 되고 싶지 않다’는 건 유시민의 지극히 자기중심적인 생각이다. 정치는 공론의 장이고 공론은 공공성이 결정한다. 더 중요한 정치인이 되고 싶든 혹은 그렇지 않든 자기 심리에 불과한 그것을 자기 논리의 근거로 삼을 수는 없다. 그건 배반이다.

진실로 이겨야지 말로 이기는 것은 소용없다는 말이다. 즉 유시민은 정혜신의 발언을 반박하는 척 하면서, 실제로는 정혜신의 발언은 안중에도 없었고 다만 정혜신 등의 발언을 고리로 삼아 평소에 하고자 했던 자신의 발언을 한 것이다.

그는 정혜신과 논쟁한 것이 아니다. 그는 누군가가 자신에게 한 마디 하기만 하면 그걸 고리로 삼아 자기 속에 비축되어 있는 열 마디를 던지는 사람이다. 노무현 대통령이 실로 박근혜와 회담한 것은 아니듯이 말이다. 진실로 말하면 대통령은 국민과 회담한 것이다.

정혜신의 발언은 깔아준 자리에 불과하다. 그 사실을 유시민이 알았어야 했다.

유시민은 더 중요한 정치인이 되어야 한다. 단 리더의 방법으로 더 중요한 정치인이 될것인가 아니면 선구자(스승)의 방법으로 더 중요한 정치인이 될 것인가이다. 유시민은 군중의 리더가 되기를 포기하고 더 많은 작은 유시민들의 선구자가 되려는 것이다.

어떻게 되든 유시민은 더 중요한 정치인이 될 것이다. 물론 킹이 더 중요한 정치인인지 아니면 킹메이커가 더 중요한 정치인인지는 바라보는 이의 관점에 따라 다를 것이다.

더 중요한 정치인이 되기를 포기했다(?)는 유시민은 더 많은 작은 유시민들을 만들 것이다. 우리당 안에 혹은 바깥에 유시민류가 만들어질 것이다. 그것이 큰 흐름이 되고 그 흐름이 역사를 바꿀 것이다.

우선순위 판단에 불과하다. 군중의 리더가 되어 군중을 움직여서 군중의 힘으로 세상을 바꿀 것인가 아니면 이념과 스타일을 내세워서 자기류를 만들고 그렇게 만들어진 세력의 힘으로 세상을 바꿀 것인가이다.

전자라면 차기 혹은 차차기를 준비한다는 말이고 후자라면 그 이후에 대비한다는 말이다. 어느 쪽이든 달라지는 것은 일의 우선순위에 불과하다. 말로 이기는 것은 지는 것이요 진정성으로 이기는 것이 이기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정혜신은 유시민에게 마이크를 넘겼는데 유시민은 누구에게도 마이크를 넘기지 않았다는 말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4853
1311 여자가 예쁜 이유 1 김동렬 2022-12-08 3186
1310 설득의 전제 1 김동렬 2020-01-08 3186
1309 비열한 내로남불 1 김동렬 2021-05-12 3184
1308 1초 직관 구조론 김동렬 2023-05-15 3182
1307 거대한 전복의 시작 1 김동렬 2019-12-26 3182
1306 까불다 죽는 이준석 김동렬 2022-03-30 3181
1305 구조론 한마디 김동렬 2021-06-29 3181
1304 유물론과 유심론 1 김동렬 2020-12-27 3181
1303 윤석열 잡는 법 김동렬 2022-09-21 3179
1302 아스퍼거에 대해서 4 김동렬 2020-08-19 3179
1301 믿음은 마이너스다 2 김동렬 2019-03-31 3179
1300 집단의 권력과정power process 1 김동렬 2020-05-20 3175
1299 부가 편중되는 이유 1 김동렬 2019-10-22 3175
1298 한국인에게 주어진 역할 1 김동렬 2022-12-27 3174
1297 백기완의 완결 3 김동렬 2021-02-15 3171
1296 본질에는 본질이 없다 2 김동렬 2019-11-30 3171
1295 의리냐 이념이냐 1 김동렬 2021-11-15 3170
1294 세상은 마이너스다 4 김동렬 2018-11-26 3170
1293 구조론과 그 적들 4 김동렬 2020-09-06 3169
1292 자유의지는 권력의지다 1 김동렬 2020-01-21 31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