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read 14625 vote 0 2005.09.21 (21:52:48)

언제나 그렇듯이 정치는 자살골 넣기 시합이다. 이기는 것이 지는 것이고 지는 것이 이기는 것이다. 정치판 만큼 역설의 원리가 분명하게 작동하는 곳은 더 없을 것이다.

그러므로 예로부터 훌륭한 정치인들은 이겨야 할 때 이겨주고 져주어야 할 때 져주는 방법을 선택해왔다. 지금 져주는 방법으로 힘을 비축해 두는 것이, 나중 반드시 이겨야 하는 결정적인 승부처에서, 단번에 힘을 끌어모을 수 있는 바탕이 된다는 사실을 아는 것이 노무현식 진정성의 정치다.

‘더 중요한 정치인 되고 싶지 않다’는 건 유시민의 지극히 자기중심적인 생각이다. 정치는 공론의 장이고 공론은 공공성이 결정한다. 더 중요한 정치인이 되고 싶든 혹은 그렇지 않든 자기 심리에 불과한 그것을 자기 논리의 근거로 삼을 수는 없다. 그건 배반이다.

진실로 이겨야지 말로 이기는 것은 소용없다는 말이다. 즉 유시민은 정혜신의 발언을 반박하는 척 하면서, 실제로는 정혜신의 발언은 안중에도 없었고 다만 정혜신 등의 발언을 고리로 삼아 평소에 하고자 했던 자신의 발언을 한 것이다.

그는 정혜신과 논쟁한 것이 아니다. 그는 누군가가 자신에게 한 마디 하기만 하면 그걸 고리로 삼아 자기 속에 비축되어 있는 열 마디를 던지는 사람이다. 노무현 대통령이 실로 박근혜와 회담한 것은 아니듯이 말이다. 진실로 말하면 대통령은 국민과 회담한 것이다.

정혜신의 발언은 깔아준 자리에 불과하다. 그 사실을 유시민이 알았어야 했다.

유시민은 더 중요한 정치인이 되어야 한다. 단 리더의 방법으로 더 중요한 정치인이 될것인가 아니면 선구자(스승)의 방법으로 더 중요한 정치인이 될 것인가이다. 유시민은 군중의 리더가 되기를 포기하고 더 많은 작은 유시민들의 선구자가 되려는 것이다.

어떻게 되든 유시민은 더 중요한 정치인이 될 것이다. 물론 킹이 더 중요한 정치인인지 아니면 킹메이커가 더 중요한 정치인인지는 바라보는 이의 관점에 따라 다를 것이다.

더 중요한 정치인이 되기를 포기했다(?)는 유시민은 더 많은 작은 유시민들을 만들 것이다. 우리당 안에 혹은 바깥에 유시민류가 만들어질 것이다. 그것이 큰 흐름이 되고 그 흐름이 역사를 바꿀 것이다.

우선순위 판단에 불과하다. 군중의 리더가 되어 군중을 움직여서 군중의 힘으로 세상을 바꿀 것인가 아니면 이념과 스타일을 내세워서 자기류를 만들고 그렇게 만들어진 세력의 힘으로 세상을 바꿀 것인가이다.

전자라면 차기 혹은 차차기를 준비한다는 말이고 후자라면 그 이후에 대비한다는 말이다. 어느 쪽이든 달라지는 것은 일의 우선순위에 불과하다. 말로 이기는 것은 지는 것이요 진정성으로 이기는 것이 이기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정혜신은 유시민에게 마이크를 넘겼는데 유시민은 누구에게도 마이크를 넘기지 않았다는 말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1520 지적 설계의 문제 14 김동렬 2021-09-12 3243
1519 주인이냐 종놈이냐 김동렬 2021-06-27 3243
1518 변하지 않는 것은 관계다 2 김동렬 2020-12-03 3243
1517 세상이 어떤 원리로 돌아가는가? 1 김동렬 2020-06-11 3243
1516 마음의 마음 2 김동렬 2019-03-07 3243
1515 권력의 딜레마 1 김동렬 2020-10-21 3242
1514 우주는 음의 피드백이다 1 김동렬 2020-09-25 3240
1513 자유에는 책임이 따른다고? 김동렬 2021-01-09 3239
1512 관념으로의 도피 김동렬 2021-08-18 3237
1511 21세기에 게토 운영한 네타냐후 image 김동렬 2023-10-10 3236
1510 구조의 탄생 김동렬 2021-07-09 3235
1509 사색문제의 이해 image 김동렬 2020-12-09 3235
1508 유일한 믿을 구석은 추론뿐 1 김동렬 2020-09-21 3235
1507 사자와 원숭이의 영아살해 2 김동렬 2023-05-30 3234
1506 신은 죽지 않았다 김동렬 2021-01-22 3234
1505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 1 김동렬 2020-01-01 3234
1504 엔트로피와 필승법 1 김동렬 2019-07-20 3231
1503 주몽은 누구인가? 김동렬 2021-11-03 3227
1502 진정한 세계로 초대하다 1 김동렬 2019-12-20 3227
1501 구조는 왜 다섯인가? 김동렬 2023-07-06 3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