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read 17404 vote 0 2005.09.06 (18:14:49)

 


퇴계는 넘치나 율곡은 없다


퇴계는 풍기군수 등 말직을 전전하다가 곧 벼슬을 버리고 낙향하였다. 조정이 부르면 마지못해 응했다가 곧 핑계를 대고 물러났다. 그러기를 무수히 반복하였다.


말년에 있었던 퇴계의 큰 벼슬은 대개 문서상으로만 이루어진 명목상의 것이다.


퇴계는 조정에서 별로 한 일이 없지만 그의 존재 자체가 정치에 큰 영향을 미쳤다. 훗날 퇴계가 키운 유림이 조정을 장악했음은 물론이다.


반면 율곡은 중앙관서의 요직을 두루 거쳤다. 선조를 다그쳐 무수한 개혁안을 내놓았다. 불행하게도 그의 개혁안은 대개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여기서 대비되는 두 인물의 정치스타일. 퇴계는 벼슬을 마다하고 물러남으로서 할 말을 했고, 율곡은 적극적으로 개혁안을 제시하고 임금을 가르쳤다.


어느 쪽이 더 나을까? 필자의 견해로는 둘 다 좋지만 율곡이 더 옳다. 참여지성의 전범은 퇴계가 아니라 율곡에 있다.


비록 선조가 율곡의 개혁안을 다 받아들이지 않았지만 율곡이 끊임없이 조정에 긴장을 불어넣었기에 그나마 조선이 망하지 않고 500년간 해먹은 것이다.


오늘날 지식인 중에 퇴계는 많고 율곡은 없다. 물러나서 뒷말하는 자는 많고 나서서 개혁안을 제시하는 이는 없다.


완고한 원칙가는 많고 유연한 협상가는 없다. 왜인가? 율곡의 최선을 다하는 자세가 대단한 스트레스이기 때문이다. 그것은 긴장의 연속이다.


퇴계는 문제가 발생하면 책임을 지고 자신을 반성하며 물러났다. 율곡은 문제가 발생하기 전에 한걸음 먼저 내다보고 문제의 발생지점을 폭파하였다.


정치는 스트레스 그 자체다. 정치의 스트레스를 잘도 견뎌내는 뻔뻔스러운 인간들은 죄 악당이고, 그 스트레스를 못견뎌 하는 착한 인간들은 퇴계처럼 도망치고 만다.


퇴계는 쉽고 율곡은 어려운 것이다. 본래 그렇다. 정치 신경쓰다 위장병 걸려버린 필자 역시 퇴계처럼 도망치고만 싶으니.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1598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0081
1526 연결만 하면 손해다? 1 김동렬 2021-01-17 3432
1525 구조주의와 구조론 김동렬 2020-09-24 3432
1524 이준석과 안티 페미니즘 1 김동렬 2021-05-28 3431
1523 복장 박영선 1 김동렬 2021-02-06 3431
1522 21세기에 게토 운영한 네타냐후 image 김동렬 2023-10-10 3430
1521 권력과 지식 김동렬 2021-12-23 3423
1520 김용옥과 백남준의 수준 차이 김동렬 2022-11-14 3422
1519 코인은 권력이다 1 김동렬 2021-04-24 3420
1518 자유에는 책임이 따른다고? 김동렬 2021-01-09 3420
1517 세상은 효율이다. 김동렬 2019-07-23 3420
1516 윤석열 딜레마 김동렬 2021-03-18 3419
1515 명절증후군은 거짓말이다 김동렬 2021-02-10 3419
1514 1+2는 3보다 작다 1 김동렬 2019-01-10 3419
1513 왜 유교권이 강한가? 김동렬 2020-11-13 3418
1512 메기효과와 역 메기효과 4 김동렬 2019-11-08 3418
1511 지적 설계의 문제 14 김동렬 2021-09-12 3417
1510 자연의 시스템 김동렬 2021-03-20 3415
1509 게임과 의리 김동렬 2020-11-28 3415
1508 구조론과 범신론 3 김동렬 2019-12-27 3414
1507 마음의 마음 2 김동렬 2019-03-07 3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