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read 17321 vote 0 2005.09.06 (18:14:49)

 


퇴계는 넘치나 율곡은 없다


퇴계는 풍기군수 등 말직을 전전하다가 곧 벼슬을 버리고 낙향하였다. 조정이 부르면 마지못해 응했다가 곧 핑계를 대고 물러났다. 그러기를 무수히 반복하였다.


말년에 있었던 퇴계의 큰 벼슬은 대개 문서상으로만 이루어진 명목상의 것이다.


퇴계는 조정에서 별로 한 일이 없지만 그의 존재 자체가 정치에 큰 영향을 미쳤다. 훗날 퇴계가 키운 유림이 조정을 장악했음은 물론이다.


반면 율곡은 중앙관서의 요직을 두루 거쳤다. 선조를 다그쳐 무수한 개혁안을 내놓았다. 불행하게도 그의 개혁안은 대개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여기서 대비되는 두 인물의 정치스타일. 퇴계는 벼슬을 마다하고 물러남으로서 할 말을 했고, 율곡은 적극적으로 개혁안을 제시하고 임금을 가르쳤다.


어느 쪽이 더 나을까? 필자의 견해로는 둘 다 좋지만 율곡이 더 옳다. 참여지성의 전범은 퇴계가 아니라 율곡에 있다.


비록 선조가 율곡의 개혁안을 다 받아들이지 않았지만 율곡이 끊임없이 조정에 긴장을 불어넣었기에 그나마 조선이 망하지 않고 500년간 해먹은 것이다.


오늘날 지식인 중에 퇴계는 많고 율곡은 없다. 물러나서 뒷말하는 자는 많고 나서서 개혁안을 제시하는 이는 없다.


완고한 원칙가는 많고 유연한 협상가는 없다. 왜인가? 율곡의 최선을 다하는 자세가 대단한 스트레스이기 때문이다. 그것은 긴장의 연속이다.


퇴계는 문제가 발생하면 책임을 지고 자신을 반성하며 물러났다. 율곡은 문제가 발생하기 전에 한걸음 먼저 내다보고 문제의 발생지점을 폭파하였다.


정치는 스트레스 그 자체다. 정치의 스트레스를 잘도 견뎌내는 뻔뻔스러운 인간들은 죄 악당이고, 그 스트레스를 못견뎌 하는 착한 인간들은 퇴계처럼 도망치고 만다.


퇴계는 쉽고 율곡은 어려운 것이다. 본래 그렇다. 정치 신경쓰다 위장병 걸려버린 필자 역시 퇴계처럼 도망치고만 싶으니.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5680 노무현독트린 뜨는가? 김동렬 2004-08-16 12859
5679 동아일보의 충격요법 김동렬 2004-08-18 13376
5678 강준만의 못난소리 김동렬 2004-08-18 13214
5677 이해찬 이부영이 있다 image 김동렬 2004-08-20 13262
5676 씨부리지 마라 다 알고 있다 김동렬 2004-08-23 13925
5675 나는 노무현주의자다 김동렬 2004-08-25 9475
5674 제 이름을 사칭하는 글 정리 바랍니다. 김동렬 2004-08-29 15000
5673 전여옥은 없다 image 김동렬 2004-08-31 13643
5672 박근혜, 뭘 알고 까부냐? 김동렬 2004-09-01 12771
5671 백범의 전략 image 김동렬 2004-09-02 13582
5670 박근혜의 망언 김동렬 2004-09-03 13496
5669 노무현대통령께 감사한다 김동렬 2004-09-06 15029
5668 백범의 전략 image 김동렬 2004-09-07 13831
5667 DJ의 여전한 지혜로움 김동렬 2004-09-08 13833
5666 노하우21의 탄생을 축하하며 김동렬 2004-09-09 12644
5665 노무현대통령의 의제선정에는 뭔가가 있다 김동렬 2004-09-10 12661
5664 "자유가 아니면 죽음을" image 김동렬 2004-09-11 14426
5663 갑제들이 망동하는 이유는? 김동렬 2004-09-14 14516
5662 노무현의 승부수 김동렬 2004-09-15 13160
5661 이문열 실패기 김동렬 2004-09-16 136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