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read 17398 vote 0 2005.09.06 (18:14:49)

 


퇴계는 넘치나 율곡은 없다


퇴계는 풍기군수 등 말직을 전전하다가 곧 벼슬을 버리고 낙향하였다. 조정이 부르면 마지못해 응했다가 곧 핑계를 대고 물러났다. 그러기를 무수히 반복하였다.


말년에 있었던 퇴계의 큰 벼슬은 대개 문서상으로만 이루어진 명목상의 것이다.


퇴계는 조정에서 별로 한 일이 없지만 그의 존재 자체가 정치에 큰 영향을 미쳤다. 훗날 퇴계가 키운 유림이 조정을 장악했음은 물론이다.


반면 율곡은 중앙관서의 요직을 두루 거쳤다. 선조를 다그쳐 무수한 개혁안을 내놓았다. 불행하게도 그의 개혁안은 대개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여기서 대비되는 두 인물의 정치스타일. 퇴계는 벼슬을 마다하고 물러남으로서 할 말을 했고, 율곡은 적극적으로 개혁안을 제시하고 임금을 가르쳤다.


어느 쪽이 더 나을까? 필자의 견해로는 둘 다 좋지만 율곡이 더 옳다. 참여지성의 전범은 퇴계가 아니라 율곡에 있다.


비록 선조가 율곡의 개혁안을 다 받아들이지 않았지만 율곡이 끊임없이 조정에 긴장을 불어넣었기에 그나마 조선이 망하지 않고 500년간 해먹은 것이다.


오늘날 지식인 중에 퇴계는 많고 율곡은 없다. 물러나서 뒷말하는 자는 많고 나서서 개혁안을 제시하는 이는 없다.


완고한 원칙가는 많고 유연한 협상가는 없다. 왜인가? 율곡의 최선을 다하는 자세가 대단한 스트레스이기 때문이다. 그것은 긴장의 연속이다.


퇴계는 문제가 발생하면 책임을 지고 자신을 반성하며 물러났다. 율곡은 문제가 발생하기 전에 한걸음 먼저 내다보고 문제의 발생지점을 폭파하였다.


정치는 스트레스 그 자체다. 정치의 스트레스를 잘도 견뎌내는 뻔뻔스러운 인간들은 죄 악당이고, 그 스트레스를 못견뎌 하는 착한 인간들은 퇴계처럼 도망치고 만다.


퇴계는 쉽고 율곡은 어려운 것이다. 본래 그렇다. 정치 신경쓰다 위장병 걸려버린 필자 역시 퇴계처럼 도망치고만 싶으니.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0727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8727
1524 유시민 얼굴에 잡티가 많다고? 김동렬 2006-02-07 14275
1523 한국말을 배웁시다 image 10 김동렬 2017-02-01 14276
1522 계미년 한 해를 되돌아보며 image 김동렬 2003-12-30 14277
1521 손석희와 노무현의 TV대담 2005-08-20 14277
1520 노무현은 변하지 않았다. 김동렬 2003-05-19 14278
1519 민주당 먹자판파는 과감히 처단해야. 와싱턴 2002-12-25 14279
1518 노무현의 총선유세 좋지 않다. image 김동렬 2004-01-05 14279
1517 정말 몰라서 물어보는건데요 아다리 2002-10-03 14280
1516 공희준 대 유시민 김동렬 2004-07-21 14281
1515 전여옥과 박근혜의 막상막하 김동렬 2005-06-09 14282
1514 추미애 미치지 않았다 김동렬 2004-01-07 14286
1513 느낌 속에서 답을 찾아라. image 김동렬 2017-01-26 14291
1512 단일화 최종합의 - 무효화를 합의? 김동렬 2002-11-22 14292
1511 공간은 플러스 시간은 마이너스다. image 1 김동렬 2011-08-23 14296
1510 이것이 그것이다. image 김동렬 2017-03-10 14297
1509 특검은 수용이 정답 image 김동렬 2003-11-11 14300
1508 앞으로의 전망- 이회창 감소 수치보다 더 많이 이겨야 한다. SkyNomad 2002-11-23 14301
1507 돈오가 세상을 깨우다 image 김동렬 2012-11-15 14301
1506 서프의 경쟁력은 창의력에 있다 김동렬 2004-07-13 14304
1505 깨달음을 권하며 2 김동렬 2008-01-12 14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