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read 17946 vote 0 2005.09.02 (12:52:31)


소리지르는 자를 단속하라

사건 하나 .. 얼마전 소행성 하나가 아슬아슬하게 지구를 비켜갔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그 어떤 천문학자도 알지 못했다고 한다. 간담이 서늘한 일이다.

사건 둘 .. 얼마전 새벽 2시에 백악관으로 긴급보고가 올라왔다. 부시 녀석이 자다가 전화를 받았다. 소행성 하나가 지구를 향하고 있다는 내용이었다. 그러나 곧바로 계산착오라는 정정보고가 올라왔다.

사건 셋 .. 이라크에서 1천명이 죽었다. 왜 죽었을까? 누군가가 사실을 말했기 때문이다. “테러다.” 사실이었다. 2 시간 전에 박격포 공격이 있었다. 그러나 진실은 아니었다.

1천명이 죽은 이유는 누군가가 ‘테러다’ 하고 외쳤기 때문이다. 그 상황에서는 설사 테러였어도 테러다 하고 외쳐서 안 된다.

목숨을 걸고 두만강을 건널 때는 우는 아이의 입을 틀어막아야 한다. 테러다 하고 외치는 자의 입을 틀어막아야 한다. 그래서 지도자는 어려운 것이다.

지도자는 두 가지를 해야한다. 첫째는 작은 위험을 증폭시키기다. 둘째는 큰 위험을 감추기다. 둘 다 정직하지 않다. 그러나 진실로 말하면 정직하다.

영화로 말하면 6발 들어가는 탄창 하나로 12발 쯤 쏘는 것으로 과장되게 표현한다. 그렇게 과장해도 실제 현장에서의 공포감을 전달하기에는 오히려 부족하다. 무엇이 진실이란 말인가?

아직 위험이 닥치지 않았다 하더라도 닥쳐올 작은 위험에 대비하고 일깨워야 한다. 지도자는 수시로 ‘늑대다!’ 하고 외쳐야 한다. 그래야지만 진짜 위험이 닥쳐왔을 때 대비할 수 있다.

정작 위험이 닥쳐왔을 때는 침착해야 한다. 장교에게 지급된 한 자루의 권총은 ‘늑대다!’ 하고 외치는 신출내기 이등병을 쏘아버리기 위해서 존재한다. 그 총은 원래 적이 아니라 아군을 쏘게 되어 있다.

지도자는 적이 다가오기 전에 소리를 질러야 한다.
지도자는 적이 다가올 때 소리 지르는 자를 쏘아버려야 한다.

탄광 속의 카나리아를 생각한다. 명상가들은 이 사회에서 카나리아 같은 존재이다. 그들은 예민하다. 그들은 죽음으로써 모두에게 위험을 알린다. (옛날 광부들은 갱도에 카나리아를 새장에 넣어 데려갔다. 카나리아가 죽으면 갱도에 가스가 유출되고 있다는 증거로 확인되어 대피한다.)

카나리아.. 까다롭고 예민한 존재다. 뉴올리안스에는 지율 카나리아가 없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530
1501 전여옥과 박근혜의 막상막하 김동렬 2005-06-09 14184
1500 아래글 정답 5 김동렬 2010-09-06 14184
1499 한국말을 배웁시다 image 10 김동렬 2017-02-01 14185
1498 김대중의 변명 - 통치권 차원의 결단인가? 김동렬 2003-01-30 14187
1497 손석희와 노무현의 TV대담 2005-08-20 14187
1496 느낌 속에서 답을 찾아라. image 김동렬 2017-01-26 14189
1495 교훈을 얻을 줄 아는 자가 승리자다. 김동렬 2005-05-01 14190
1494 인생은 운명인가 자유의지인가? image 1 김동렬 2017-02-05 14190
1493 공희준 대 유시민 김동렬 2004-07-21 14191
1492 철이 든다는 것에 대하여 김동렬 2006-01-21 14193
1491 노무현의 대포용정책 시동 image 김동렬 2003-12-24 14194
1490 계미년 한 해를 되돌아보며 image 김동렬 2003-12-30 14195
1489 추미애 미치지 않았다 김동렬 2004-01-07 14195
1488 정말 몰라서 물어보는건데요 아다리 2002-10-03 14200
1487 시소에서 내려와 파워볼을 돌려라. image 1 김동렬 2012-01-03 14201
1486 정동영은 쇼하지 말라 김동렬 2004-02-12 14202
1485 앞으로의 전망- 이회창 감소 수치보다 더 많이 이겨야 한다. SkyNomad 2002-11-23 14205
1484 특검은 수용이 정답 image 김동렬 2003-11-11 14206
1483 Re..완전과 불완전의 차이아닐까요? 꿈꾸는 자유인 2002-10-04 14207
1482 Re..단일화는 아직 거론하기 이릅니다. 김동렬 2002-10-25 14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