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4353 vote 0 2011.08.23 (12:35:17)

 

신부가 신랑집으로 옮겨갔다면 신랑측에서는 얻었고 신부측에서는 잃었다. 그러나 사건은 같다. 동일한 사건을 어느 지점에서 바라보는가의 차이에 불과하다. 이런 경우 몰아서 한 방향으로 풀어야 한다. 사물들을 낱낱으로 쪼개서 보지 말고 서로 연계시켜서 통짜 덩어리로 보는 능력을 길러야 한다.

 71.JPG

 

사건의 본질은 짝짓기다. 곱셈은 기회고 나눗셈은 선택이다. 기회는 공간상의 전개이고 선택은 시간상의 판정이다. 공간상에서는 어장관리를 하다가도 시간상에서는 한 명의 파트너를 선택해야 한다. 혼기를 놓치지 않으려면 말이다.

 

나눗셈은 곱셈의 반대편에 있는 것이 아니라 짝짓기의 시공간적 전개라는 하나의 사건 안에 포함되어 있다. 둘은 완전히 융합되어 있어서 별도로 분리해낼 수 없다. 짝짓기라는 전체사건의 통짜덩어리 기준으로 풀어가야 한다. 시간과 공간을 함께 아울러야 한다.

 

나눗셈은 없고 곱셈에 포함되듯이 덧셈은 없고 뺄셈에 포함된다. 원래 하나인 것을 보는 위치에 따라 제각각 다르게 표현하므로 세상이 혼란한 것이다. 덧셈과 뺄셈 역시 하나의 기준으로 한 줄에 꿰어서 보아야 한다. 한 줄에 꿰어서 보면 세상은 마이너스 뿐이다. 플러스는 없다.

 

◎ 마이너스 동영상 – 시간과 공간을 통일한 통짜덩어리 자연. ◎ 플러스 정지화상 – 공간의 사정만 별도로 뽑아놓은 스틸사진.

 

마이너스는 시간과 공간을 포함한 전체사건이고 플러스는 그 중에서 공간의 사정만 별도로 뽑아놓은 것인데 자연에 그런 것은 없기 때문이다. 스틸사진과 같다. 시간을 정지시킨 스틸사진은 인간사회에만 있는 것이고 자연은 사실은 모두 동영상이다. 동영상은 언제라도 마이너스다. 스틸사진은 아무리 보더라도 그대로지만 동영상은 볼수록 짧아져서 END가 나오고 사라져 버린다.

 

시공간을 통합한 통짜 덩어리로 보면 오직 짝짓기와 자리바꿈이 있을 뿐이다. 곱셈과 방향전환, 뺄셈과 방향전환이 있다. 방향전환은 관측자의 시선이고 실제로 일어난 사건은 아니다. 실제로 일어난 사건을 중심으로 판단해야 한다.

 

◎ 짝짓기 : 곱셈과 방향전환(나눗셈)
◎ 자리바꿈 : 뺄셈과 방향전환(덧셈)

 

덧셈은 자리바꿈이다. 의자를 보면 마이너스고 사람을 보면 플러스다. 의자를 중심으로 판단해야 한다. 의자에는 사람이 있기 때문이다. 회의장에 의자 숫자를 세어보면 참석자 숫자를 알 수 있는 것이다. 반대로 사람 숫자를 세면 곤란해진다. 화장실 들락거리는 사람도 있고 담배피러 나간 사람도 있기 때문이다.

 72.JPG

 

플러스는 동전의 양면처럼 붙어서 마이너스 뒤를 따라다닌다. 그러나 그림자와 같아서 무시해도 불편함이 없다. 오히려 번잡하지 않고 명료해진다. 플러스와 마이너스를 하나의 사건 안에서 일어나는 연속적인 과정으로 이해해야 한다.

 

 19.JPG


http://gujoron.com




프로필 이미지 [레벨:4]삐따기

2011.08.24 (16:21:52)

시간은 시각과 청각과 같은 것이 아니오?  결국 없는 것.

공간의 다른 관점..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6367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6266
2372 인류문명의 골디락스존 image 1 김동렬 2017-01-02 12731
2371 구조론 한자 互 image 1 김동렬 2017-03-22 12731
2370 플라톤과 디오게네스 image 1 김동렬 2018-02-15 12741
2369 중앙은 변할 것인가? 김동렬 2004-12-18 12743
2368 깨달음 김동렬 2008-10-29 12751
2367 국참연, 참정연 다 좋다 김동렬 2005-01-15 12756
2366 진보의 구조 김동렬 2007-02-16 12758
2365 빈라덴이 이겼다 김동렬 2004-11-03 12760
2364 용어정리 김동렬 2006-05-25 12761
2363 공자는 세속적인 출세주의자인가? image 1 김동렬 2017-12-25 12762
2362 구조론과 인공지능 image 7 김동렬 2016-12-08 12766
2361 답은 구조다. image 6 김동렬 2018-01-02 12767
2360 조선일보 발악을 하는구나 김동렬 2006-03-15 12768
2359 아 전여옥 김동렬 2007-07-11 12768
2358 연역과 귀납 image 5 김동렬 2018-03-08 12768
2357 인생은 의미가 있는가? image 7 김동렬 2017-12-03 12769
2356 기적은 있다 image 3 김동렬 2018-02-17 12771
2355 잘못된 말하기의 예 image 1 김동렬 2018-03-12 12771
2354 다른 우주로 건너가 보자 image 3 김동렬 2017-11-04 12773
2353 문희상은 물러가라 2005-08-18 127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