펑크의 정신을 ‘저항’으로 설명한다면 약하다. 부족하다. 저항이라.. 무엇에 대한 저항인가? 권위에 대한 저항이라고? 무슨 권위?
30년 전 영국이라면 청년실업에 대한 불만, 월남전에 대한 불만이라든가.. 따위의 자잘한 이슈들이 있었던가 본데.. 그것이 저항할만한 건덕지가 되는가?
이 시대라면.. 노무현 정권에 대한 저항? 방송사의 횡포에 대한 저항? 거대 기획사 중심의 음반시장에 대한 저항? 이수만과 보아의 독주에 대한 저항?
너무 가소롭지 않은가? 저항이라니.. 이건 근거가 약한 거다. 저항해야 할 권위가 너무나 불분명하다.
카우치들은 무엇에 저항하려 들었을까? 나는 그들이 저항하지 않았다고 생각한다. 펑크의 정신을 저항정신이라 설명한다면 부족하다고 생각한다.
저항은 저항해야할 대상을 전제로 한다는 점에서 수동적이다. 나약하다. 저항은 이미 약자의 것이다. 약자의 포지셔닝으로는 이 게임을 주도할 수가 없다.
‘펑크’라는 개념은 무뇌(無腦)라는 뜻인데, 저항이라면 벌써 무뇌가 아니다. 저항? 그건 심각한거다. 펑크는 저항으로 약하고 한 걸음 더 나가보자는 거 아닌가?
나는 그것이 ‘자유’라고 생각한다. 자유이되 속된 자유 말고 ‘진짜 자유’라고 생각한다. 그것은 리버티나 프리덤이 아니고 더 나아가서 더 높은 곳의 그 무엇이라고 생각한다.
무엇인가? 성스러움과 상스러움이 있다. 자유의 어떤 극한에서 상스러움을 버리고 성스러움을 얻는 것이다. 그것이 펑크의 정신이라고 나는 생각한다.
그 경지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무뇌(無腦)의 도를 얻어야 한다. 그것은 상대방이 어떻게 나오느냐에 따라 나의 행동을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나의 내부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를 관찰하기다.
‘저항’은 상대를 의식하고, 상대의 행동여하에 따라 거기에 대척점을 두고 나의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다. 이건 성스러움이 아니라 상스러움이다. 이건 진짜 자유가 아니다. 그것은 자유로 향해 가는 과정에서의 해방이 된다.
해방이 필요하지만 그건 약한거고, 해방을 넘어서 소요자재의 단계로 까지 자유의 지평을 확대해야 한다. 그것은 리버티를 넘어 프리덤을 넘어 한 차원 더 나아가는 것이다.
나는 카우치들을 행동이 상스러움의 속(俗)된 가운데서.. 무뇌(無腦)한 어린 아이들의 순수함과 같이, 문득 성스러움의 소요자재가 툭 튀어나와버린 해프닝으로 긍정적으로 이해해주고 싶다.
그 소년들이 거기까지 생각했을 리는 물론 없겠지만, 인간들 내부에는 원래 그러한 성스러움이 존재하므로, 그 성스러움의 단편적인 조각들은 언제든지 바깥으로 튀어나올 수 있다. 부지불식간에 튀어나올 수 있다. 당신이 경계심이라는 의심의 눈초리로 불안해 하며 감시하지 않는다면.
이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은 딱 하나 뿐이다. 공중파라는 상스러움의 영역과 별개로 독립된 성스러움의 해방구를 만들어 주는 것이다. 예컨대 케이블방송을 따로 하나 내주든가 해서 금을 긋고 각자놀기로 가야 한다.
성스러움과 상스러움은 절대로 공존할 수 없기 때문이다. 공존하는 즉 아름답지 않기 때문이다.
30년 전 영국이라면 청년실업에 대한 불만, 월남전에 대한 불만이라든가.. 따위의 자잘한 이슈들이 있었던가 본데.. 그것이 저항할만한 건덕지가 되는가?
이 시대라면.. 노무현 정권에 대한 저항? 방송사의 횡포에 대한 저항? 거대 기획사 중심의 음반시장에 대한 저항? 이수만과 보아의 독주에 대한 저항?
너무 가소롭지 않은가? 저항이라니.. 이건 근거가 약한 거다. 저항해야 할 권위가 너무나 불분명하다.
카우치들은 무엇에 저항하려 들었을까? 나는 그들이 저항하지 않았다고 생각한다. 펑크의 정신을 저항정신이라 설명한다면 부족하다고 생각한다.
저항은 저항해야할 대상을 전제로 한다는 점에서 수동적이다. 나약하다. 저항은 이미 약자의 것이다. 약자의 포지셔닝으로는 이 게임을 주도할 수가 없다.
‘펑크’라는 개념은 무뇌(無腦)라는 뜻인데, 저항이라면 벌써 무뇌가 아니다. 저항? 그건 심각한거다. 펑크는 저항으로 약하고 한 걸음 더 나가보자는 거 아닌가?
나는 그것이 ‘자유’라고 생각한다. 자유이되 속된 자유 말고 ‘진짜 자유’라고 생각한다. 그것은 리버티나 프리덤이 아니고 더 나아가서 더 높은 곳의 그 무엇이라고 생각한다.
무엇인가? 성스러움과 상스러움이 있다. 자유의 어떤 극한에서 상스러움을 버리고 성스러움을 얻는 것이다. 그것이 펑크의 정신이라고 나는 생각한다.
그 경지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무뇌(無腦)의 도를 얻어야 한다. 그것은 상대방이 어떻게 나오느냐에 따라 나의 행동을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나의 내부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를 관찰하기다.
‘저항’은 상대를 의식하고, 상대의 행동여하에 따라 거기에 대척점을 두고 나의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다. 이건 성스러움이 아니라 상스러움이다. 이건 진짜 자유가 아니다. 그것은 자유로 향해 가는 과정에서의 해방이 된다.
해방이 필요하지만 그건 약한거고, 해방을 넘어서 소요자재의 단계로 까지 자유의 지평을 확대해야 한다. 그것은 리버티를 넘어 프리덤을 넘어 한 차원 더 나아가는 것이다.
나는 카우치들을 행동이 상스러움의 속(俗)된 가운데서.. 무뇌(無腦)한 어린 아이들의 순수함과 같이, 문득 성스러움의 소요자재가 툭 튀어나와버린 해프닝으로 긍정적으로 이해해주고 싶다.
그 소년들이 거기까지 생각했을 리는 물론 없겠지만, 인간들 내부에는 원래 그러한 성스러움이 존재하므로, 그 성스러움의 단편적인 조각들은 언제든지 바깥으로 튀어나올 수 있다. 부지불식간에 튀어나올 수 있다. 당신이 경계심이라는 의심의 눈초리로 불안해 하며 감시하지 않는다면.
이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은 딱 하나 뿐이다. 공중파라는 상스러움의 영역과 별개로 독립된 성스러움의 해방구를 만들어 주는 것이다. 예컨대 케이블방송을 따로 하나 내주든가 해서 금을 긋고 각자놀기로 가야 한다.
성스러움과 상스러움은 절대로 공존할 수 없기 때문이다. 공존하는 즉 아름답지 않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