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5251 vote 0 2011.07.29 (12:08:12)

25.JPG

 

곱셈의 짝짓기는 토대를 공유함으로써 효율을 달성하여 에너지를 생성한다.

 

 

22.jpg

덧셈은 토대를 공유하지 않으므로 필요한 면적이 늘어나서 그만큼 에너지를 소비한다.

 

 

27.JPG

 

토대를 공유하는 곱셈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여 가치를 창출한다.

 

26.JPG

 

뺄셈은 그 곱셈의 쌓인 겹을 한 겹씩 벗겨낸다. 곱셈의 기하급수적 증가에 의해 성립된 효율을 소모한다.

곱셈에 의해 이미 에너지가 생성되어 있으므로 뺄셈의 전개는 가능하다. 덧셈은 에너지가 없으므로 자연

에서 불능이며 다만 뺄셈을 반대쪽에서 바라보면 덧셈이 된다.

 

뺄셈은 자연의 법칙이며 덧셈은 인간의 인식이다. 그러한 인식은 관찰자의 시점이동에 의해 일어난다.

시점이 바뀌었으므로 논리의 전개에서는 논외가 되어야 한다.

 

곱셈의 짝짓기는 효율을 생성하지만 그 역시 다른 곳에서 자원을 빼와야 하므로 근본적으로는 마이너스다.

이쪽에서 하나를 짝지을 때마다 저쪽에서 하나씩 짝을 잃는 것이다.

 

에너지는 제한되어 있으며 단지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을 뿐이다. 이쪽에서 에너지를 얻으면 반드시

저쪽에서 에너지를 잃는다. 그러나 가치는 정보의 증폭에 의해 복제될 수 있다. 에너지는 이동할 뿐이나

가치는 증폭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1622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0082
5826 구조론은 언어감각이다 3 김동렬 2020-01-19 2996
5825 전광훈이 폭주하는 이유 김동렬 2023-04-11 2996
5824 회원가입 및 등업요건 변경안내 4 김동렬 2020-05-11 2997
5823 차원의 이해 1 김동렬 2020-02-25 2998
5822 자기소개의 문제 1 김동렬 2019-06-18 3001
5821 구조론사람의 자격 1 김동렬 2019-12-05 3001
5820 사냥꾼의 관점 김동렬 2023-07-06 3001
5819 과학의 힘 김동렬 2021-03-21 3002
5818 전두환은 대통령 된 적이 없다 김동렬 2021-11-24 3002
5817 기본구조 김동렬 2021-11-03 3003
5816 성교육의 문제 1 김동렬 2020-08-26 3004
5815 그림의 실패 image 김동렬 2022-02-17 3005
5814 진리의 의미 1 김동렬 2021-09-20 3006
5813 근현대사의 진실 3 김동렬 2021-05-12 3008
5812 누가 볼츠만을 죽였는가? 김동렬 2021-12-09 3010
5811 세상은 존재하는가? 김동렬 2021-01-31 3011
5810 세상은 만남이다 1 김동렬 2019-12-02 3012
5809 인류의 가장 위대한 지식은 인과율이다 1 김동렬 2019-12-28 3012
5808 전광훈 문제 본질은 엘리트 길들이기 1 김동렬 2020-08-23 3012
5807 구조론 1 김동렬 2021-04-23 3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