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5815 vote 0 2011.07.04 (17:14:01)

http://www.ytn.co.kr/_ln/0115_201107040835348825
 

올해 첫 선풍기 사망보도가 아닌가 싶다. 특히 한겨레 등에서 말도 안 되는 유치한 실험을 통해서 선풍기 괴담의 허구성을 입증했다며 그걸 과학기사라고 내보내곤 하는데 참으로 한심한 일이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277&aid=0002009593

어제 모임에서 이기준님이 '존재규정 관점'과 '운영론적 관점'을 말했는데 대개 이런 거. 보통 쓰레기들은 외국인의 시각을 끌어들여서 한국에만 있는 현상 어쩌구 하며 사대주의 코스로 가기 마련.(외국은 선풍기보다 에어컨을 쓴다.)

진실을 말하자면.. 과학자들도 충분히 규명하지 못했다고 말하는 것이 정답이다.
 
미국에서 1년에 1500명이 폭염사로 죽는다고 한다. 폭염이가 느닷없이 방망이로 뒤통수를 때리는 것은 아니다. 폭염사는 특히 노인들이 심혈관계 질환 등으로 극도로 쇠약해진 상태에서 호흡곤란, 심근경색 등으로 죽는 것이며, 구체적으로 호흡곤란이나 심근경색을 유발한 방아쇠가 반드시 있다. 선풍기도 그 하나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적어도 1프로 이상 폭염사 사망확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의하여- 통하여- 위하여에서 의하여는 아니라도 통하여는 될 수 있다. 직접 원인은 아니라도 간접적으로 확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

수면무호흡 증세가 있는 사람이라면 선풍기가 위험할 수 있다. 선풍기 없어도 죽을 판인데 선풍기가 1프로 이상 사망확률을높일 수 있다. 인간의 체온은 잠들기 직전에 몇 도 올라가고 잠깨기 직전에 몇 도 내려간다. 잠이 들면 신진대사가 느려지면서 인체가 체온을 떨어뜨리기 위해, 열을 피부로 내보내기 때문에 처음 1시간 동안 체온이 더 올라가는 것이다. 밤 사이에 체온변화가 매우 큰 것이며 선풍기가 안 좋은 쪽으로 작용할 수 있다.
 
***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가정의학과 강희철 교수는 “술에 취한 상태라거나, 만성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 환각 상태로 잠이 든 사람은 체온이 정상치 27도 이하로 떨어져도 반응을 하지 못하며 건강한 사람도 간혹 선풍기로 인해 저체온증, 호흡곤란 등이 나타날 수 있다”고 말했다.***
 
과학적으로 접근하지 않고 ‘선풍기만 틀고 자면 사람이 죽냐?’ 실험해 봤는데 안죽대?'하는 식으로 깐죽대기식 대응을 하는 것은 꽤나 정치적인 의도가 있는 것이다. 무지한 사람을 계몽하려는 의도. 3류지식인의 우월감 말이다. 

선풍기가 사람을 죽이지는 않지만 죽을 사람이 죽을 날자를 앞당길 수 있다. 밀실에서 사람이 죽었다면 분명히 무언가 물리적인 작용이 일어난 것이며 그 공간 안에서 물리적 작용을 하는 대상이 용의선상에 오르는 것은 당연하다.

돌연사라는 것은 없다. 돌연사라는 표현 자체가 비과학적 언어사용이다. 선풍기 사망은 일종의 폭염사로 볼 수 있다. 더워죽는 것은 아니다. 쇠약한 사람이 더위에 대응하지 못하고 심근경색 등의 구체적인 이유로 죽는 것이다. 늙어죽는대도 '늙어씨'가 생사람을 때려죽이는 것은 아니며 지병으로 죽는다 해도 '지병씨'가 생사람을 때려죽이는 것은 아니다. 반드시 직접원인이 있다. 요즘은 암으로 많이 죽는다. 특히 재벌들은 폐암으로 많이 죽더만.

돌연사라도 그렇다. 돌연히 사망했으면 그 돌연히 죽은 원인을 알아내야지 막연히 '돌연이가 죽였군.' 하고 돌연이에게 책임을 미룬다면 곤란하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4]신과 하나됨

2011.07.05 (01:07:44)

강한 선풍기 바람을 얼굴에 정면으로 맞으면 위험할 수 있습니다.

평상시에는 본능적으로 얼굴을 돌려 피하겠지만

술에 만취한 상태라든지 건강에 이상이 있는 경우

바람을 피하지 못해 호흡곤란으로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4211
1873 같은 상황 다른 결말 이금재. 2021-10-05 2391
1872 오징어게임과 주식시장 - 고수가 이긴다 2 레인3 2021-10-04 2539
1871 예술은 쉽다 1 이금재. 2021-09-30 2893
1870 설국열차와 오징어게임 다음 2021-09-30 2649
1869 오징어게임은 21세기 한미일 문학의 총결산 2 이금재. 2021-09-28 3148
1868 메타 투자 다음 2021-09-28 2649
1867 사건을 이해해야 전략을 이해한다. systema 2021-09-26 2596
1866 표절의 기준 - 오징어게임 이금재. 2021-09-26 2663
1865 부동산은 대끼리일까 레인3 2021-09-24 2664
1864 아인슈타인의 시계 이금재. 2021-09-24 2331
1863 왜 공격이 불리한가? 이금재. 2021-09-23 2417
1862 개인에게만 책임 물어서는 아동학대 문제해결 안된다. 1 이상우 2021-09-22 2108
1861 질문이 틀렸어 - 광속 4 이금재. 2021-09-22 2496
1860 안드로이드용 구조론 앱을 플레이스토어에서 다운 받을 수 있습니다. image 5 오리 2021-09-18 2411
1859 아이폰용 구조론앱을 앱스토어에서 다운 받을 수 있습니다. image 7 오리 2021-09-18 2417
1858 나는 추종자가 아니다 3 이금재. 2021-09-14 2993
1857 출사표 image 12 바람21 2021-09-14 3167
1856 불평이 심한 아이는 어떻게 할까요? 9 이상우 2021-09-01 2757
1855 바른 정의란 무엇인가 1 다음 2021-08-30 2087
1854 데이터 무용론과 3중구조 이금재. 2021-08-25 23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