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6254 vote 0 2011.06.09 (13:06:04)

6.JPG


0.JPG


구조를 이해한다는 것의 의미는 위 통방아가 아래의 물레방아와 구조가 완전히 같다는 사실을 이해할 수 있느냐에 있다. 물레방아는 물을 담는 그릇이 여러개 있고 통방아는 한 개다. 구조는 중복과 혼잡을 배제하여 단순화 시킨다. 수학적으로 환원시키는 것이다. 수학은 최소화의 원칙이 지켜진다. 수학문제를 푼다는 것은 중복과 혼잡을 배제하여 가장 단순화된 형태로 기술한다는 것이다. 물레방아에는 물을 담는 그릇이 여러개 붙어있지만 통방아는 하나다. 둘은 정확히 같다. 물레방아는 산수문제를 풀제를 풀기 전이고 통방아는 풀린 답이다.


질은 물이 통방아와 결합하고, 입자는 통방아의 물통이 독립하고(물이 통에 채워지면, 물은 통을 아래로 누르지만 통은 물을 비우고 위로 올라간다. 자의에 의해 물의 지시와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므로 독립인 것이다.) 힘은 가운데의 받침대가 물통과 절구공이 사이에서 교섭하고(밸런스를 조정한다는 뜻), 운동은 절구공이의 거리와 속도를 변화하고, 량은 공이가 돌확 속으로 침투한다. 이때 에너지가 명백히 빠져나간다.


인간은 이 다섯단계에 인공을 가하여 조절할 수 있다. 질은 들어오는 물의 양을 늘리거나 줄일 수 있고 입자는 물통의 크기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으며 힘은 받침대에서 방향을 틀거나 개입하여 조작할 수 있다. 받침대의 오른쪽이나 왼쪽에 개구리 한 마리만 앉아도 동작이 달라진다. 운동은 거리를 늘리거나 방아의 숫자를 늘릴 수 있다. 량의 크기 역시 조절할 수 있다. 구조를 이해한다는 것은 인간이 개입하여 조절함으로써 결과를 바꿀 수 있는 다섯 지점이 있다는 말이다.


구조는 다섯개의 포지션이 있지만 보통 하나의 사건으로 보거나, 둘의 인과법칙으로 보거나, 셋의 축과 대칭 삼위일체로 보거나, 넷의 기승전결로 본다. 즉 인간은 구조의 다섯 포지션 중에서 넷, 혹은 셋, 혹은 둘, 혹은 하나만 보는 것이며 이렇게 하나를 빠뜨리면 대결에서 패배하게 된다. 이는 상대방이 다섯 거점을 차지했는데 아군이 세곳 혹은 네곳의 거점만 장악해서 대결에서 패배하는 것과 같다. 바둑에서 흑돌이 다섯이고 백돌이 넷이면 흑이 이긴다. 포지션이 많아야 승리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구조의 다섯 포지션을 모두 장악한 쪽이 무조건 이긴다. 바둑에서 돌 하나 차이로 승부가 결정된다. 


돌확-눈금

방아-자

받침대-콤파스

물통-됫박

물-저울(정확히는 통방아 전체)


눈금이 모여 자가 되고, 자가 모여 콤파스가 되고, 콤파스가 모여 됫박이 되고, 됫박이 모여 저울이 된다. 우주 안에는 이 하나의 구조 외에 없다.,


7.JPG



프로필 이미지 [레벨:20]아란도

2011.06.10 (19:05:28)

'구조를 이해한다는 것은 인간이 개입하여 조절함으로써 결과를 바꿀 수 있는 다섯 지점이 있다는 말이다.'

 

인간의 구조도 이 말과 정확히 일치한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2]wisemo

2011.06.10 (19:38:10)

푸른선으로된  점,  선,  각,  입체,  밀도만 머릿속에 그려놔도 잔영이 오래 남을 것 같습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5539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5351
6331 어차피 재검표 할 거면... 한겨레 2002-12-25 15459
6330 [펌] 이거 한번 들어보세여.. >_<;; 배꼽 2002-12-25 14511
6329 민주당 먹자판파는 과감히 처단해야. 와싱턴 2002-12-25 14304
6328 Re.. 서울의 기적이 함의하는 세계사적 의의는 무엇인가? 김동렬 2002-12-25 15401
6327 노무현이 위험하다 정지운 2002-12-26 15308
6326 요즘 팔자 늘어졌다는 소문이 ㅋㅋ 스피릿 2002-12-26 14420
6325 제안입니다 글씨유 2002-12-26 14071
6324 주한미군, 누구를 위한 건가? 영호 2002-12-26 14802
6323 새는 좌우의 날개로 날지 않는다. 김동렬 2002-12-28 14666
6322 왕권과 신권에 대한 이해와 오해 김동렬 2002-12-29 17985
6321 낮의 촛불을 켜고 한나라당을 찾습니다. image 김동렬 2002-12-30 14799
6320 핵 위협 - 후진타오와 노무현의 담판으로 간다. image 김동렬 2002-12-31 13300
6319 볼만한 그림(펌) image 김동렬 2003-01-01 15039
6318 촛불은 올리고 깃발은 내려라! image 김동렬 2003-01-01 16354
6317 범대위와 앙마 누가 옳은가? 김동렬 2003-01-05 17915
6316 김대중은 성공한 대통령이다? image 김동렬 2003-01-06 17439
6315 나라가 흥하는 일곱가지 법칙 김동렬 2003-01-07 15620
6314 추미애총리 정동영대표 체제는 어떠한지요? 김동렬 2003-01-08 15992
6313 노무현호의 개혁철학 image 김동렬 2003-01-10 17870
6312 "`고맙다 김대중`이라고 말하라" 김동렬 2003-01-10 194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