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조율
read 4093 vote 0 2011.05.29 (01:47:52)

작년 12월에 한 "도약된 관계맺기" wire개인전입니다.

와이어 작업은 20년전 부터 해 왔던 것인데,

구조론 공부를 하면서 진척 시켜본 전시입니다.

 

 

후레쉬가 등장하는 4분 영상부터 유심히 봐주세요.

 http://www.youtube.com/watch?v=N1h8qHm1z0w&feature=player_embedded

 

http://www.youtube.com/watch?v=SnQkrspU9_8&feature=player_embedded

 

 


[레벨:15]르페

2011.05.29 (07:36:48)

뭔가 만들어지면 곧바로 형태를 바꾸어 사라지는 와이어의 향연..

색이 배제된, 오직 선으로 만들어진 세상에서 존재는 더 선명해지는 것 같네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2]조율

2011.05.30 (00:55:02)

제가 발견한 것은 광원(빛)과 실체(와이어)와의 관계에 의해 만들어 지는 그림자의 환영에 관한 것입니다.

광원(존재)의 위치와 거리에 따라 전시된 모든 것들이 한꺼번에 도약되듯 다른 세상이 되더군요. 

빛을 의식함으로 실체와 그림자의 환영을 단번에 이해 하게 된다는... 이거 구조죠?

 

 

[레벨:15]르페

2011.05.30 (04:45:18)

플라톤의 동굴의 비유가 떠오르네요. 위로부터의 철학, 수학, 직관을 중요시하는 플라톤이

아래로부터의 철학과 경험과학을 중시한 아이스토텔레스보다 상부구조겠지요.

플라톤의 궁극적 실제(이데아)와 아리스토텔레스의 개체적 실제를 통합한 것이 구조론이고,

그런 의미에서 철학과 과학의 통합이라는 오랜 숙원을 구조론이 풀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도그마에 빠지는 것을 두려워하는 과학주의자들은 궁극적 실제를 부정하고,

오직 경험에 기반한 과학적 사유만을 인정하더군요. 

경험적 실제를 부정하고 궁극적 실제만 인정하는 종교주의자들보다 나은 것도 없습니다.

세계의 나머지 반쪽은 어쩌자는건지..

프로필 이미지 [레벨:17]안단테

2011.05.29 (11:50:09)

꼬마야 꼬마야 땅을 짚어라

꼬마야 꼬마야 뒤를 돌아라

꼬마야 꼬마야 만세를 불러라

꼬마야 꼬마야 잘~가거라

 

조율님의 작품 영상을 보면서 내가 만난 놀이...  꼬마야, 꼬마야... 새끼 줄넘기...^^

즐겁게 잘 보았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조율

2011.05.30 (01:08:55)

감사합니다. 가끔식 올라오는 안단테님의  선명하게 따뜻한 작품

잘 보고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2727
387 인간의 진화는 유전자를 잃어버리는 과정? 9 김동렬 2011-07-04 4658
386 운명인가? image 4 Beholder 2011-07-01 3378
385 wson님의 견해에 대하여 5 Beholder 2011-06-29 3479
384 구조론의 이름을 참칭했습니다. image 6 Beholder 2011-06-28 3516
383 영감을 주는 것이 예술이다 image 1 양을 쫓는 모험 2011-06-19 4491
382 검은백조는 없다. 3 르페 2011-06-16 3878
381 원명 교체기와 미중교체기 1 눈내리는 마을 2011-06-13 4536
» 구조를 알아야 관계는 도약된다. 5 조율 2011-05-29 4093
379 삶과 죽음 image 1 눈내리는 마을 2011-05-28 3682
378 6천년 전에 세워진 아일랜드 고인돌 image 2 김동렬 2011-05-25 8400
377 과학의 정체(?) 35 wson 2011-05-25 4582
376 연꽃의 역설 image 3 양을 쫓는 모험 2011-05-10 4270
375 대진화, 포화진화, 환경 변화 3 wson 2011-05-08 4535
374 현대물리학의 개념들에서 질에 해당하는 것이 무엇일까요? 11 wson 2011-05-04 4239
373 성과를 두 배로 늘리는 법 있나요? 4 김신웅 2011-05-04 4106
372 마인드맵의 진화단계 7 juseen 2011-04-26 5058
371 경쟁에 반대한다 3편: 죽음의 사다리를 걷어치워라! image 5 오세 2011-04-06 4614
370 나는 가수다 - 경쟁은 상생을 위한 보조수단 이라는 것이 '원칙' 이다. image 3 아란도 2011-03-28 5116
369 경쟁에 반대한다 1편: 경쟁은 무의식이다 image 6 오세 2011-03-23 10243
368 경제와 주가의 구조론적예측툴에 관해서 질문 2 갈구자 2011-03-23 40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