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4331 vote 0 2011.05.13 (12:58:03)

 

 

과학이란 무엇인가?

지식을 생산하는 도구다.

과학이 지식을 생산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추론이다.

추론은 무엇을 하는가?

사물들 사이의 관계를 추적한다.

관계란 무엇인가?

서로 다른 둘을 하나로 잇는 것이다.

서로 다른 둘이 어떻게 하나로 이어지는가?

구조의 대칭성으로 인하여 이어진다.

대칭성의 의미는 무엇인가?

1이면서 2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12의 역할을 맡으면 어떻게 되는가?

에너지 작동의 효율성이 얻어진다.

효율성의 의미는 무엇인가?

일의 순서를 정하여 에너지의 진행방향을 결정한다.

에너지의 역할은 무엇인가?

잠들어 있는 만유를 일으켜 세운다.

에너지는 어떻게 존재를 일으켜 세우는가?

구조의 대칭성에 에너지를 올려 태울 때 존재는 일어선다.

존재는 어떻게 일어서는가?

대칭의 효율성에 따른 순서가 계에 질서를 부여함으로써 만유는 일어선다.

일어선 존재는 어떻게 넘어지지 않고 그 상태를 유지하는가?

대칭성에 따라 둘이 서로 상대방을 부여잡고 의존하므로 넘어지지 않는다.

구조의 대칭성은 어디에 나타나는가?

시간의 순서와 공간의 방향에 나타난다.

시공간의 의미는 무엇인가?

시공간은 모두 대칭을 이루어 1이면서 일정한 조건에서 2가 되는 것이다.

시공간에 에너지를 태우면 어떻게 되는가?

12가 되면서 구조가 복제된다.

구조가 복제되면 어떻게 되는가?

점점 커진다.

점점 커지는 것은 무엇인가?

사건이다.

사건은 어떻게 전개하는가?

기승전결로 전개하며 확장되며 큰 나무처럼 자란다.

사건은 자라서 무엇을 남기는가?

낳는다.

낳는 것은 무엇인가?

완전성이다.

완전성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공명 전파 증식된다.

공명한다는 것의 의미는 무엇인가?

진리의 속성인 보편성을 가진다.

보편성의 의미는 무엇인가?

보편성을 얻었을 때 독립하여 외부세계로 진출할 수 있다.

외부로 진출한다는 것의 의미는 무엇인가?

한 차원 더 높은 단계의 레벨로 비약한다는 것이다.

더 높은 레벨로 올라가는 것은 무엇인가?

깨달음이다.

깨달음은 무엇인가?

이러한 구조를 자기 안에 갖추었다가 외부의 자극을 받아 꺼내 쓰는 것이다.

 

 

 

###

 

 

결론적으로 현재의 과학계는 이러한 자기완결형 기승전결 구조가 없다.

그냥 서로 눈치보다가 대세를 따라가는 편이다.

대세는 돈줄을 쥔 산업에서 결정된다.

연구비를 타려면 어쩔 수 없다.

 


[레벨:7]아바미스

2011.05.13 (13:14:36)

질문 과 답을 교대로 유도해나가니 이해가 잘 됩니다.^


구조론 사유 방식에 입각해서~ 질문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레벨:15]오세

2011.05.13 (14:10:36)

전송됨 : 트위터

구조론 책 보면 질문들이 나와있답니다 ^0^

[레벨:7]아바미스

2011.05.13 (14:51:24)

구조론책을 또 읽어봐야 하겠군요 ^^;

[레벨:17]눈내리는 마을

2011.05.14 (00:18:43)

자연과학은, 그중에서 전기공학과 물리는 그나마 '동력'이있는데, 펀딩중심의 응용과학은 짜내기 공법으로 연명하고, 인문학은 그지꼴로 돌아다닌다는게 강단의 현실.

 

http://vlf.stanford.edu/research

 

맥스웰방정식 하나만 제대로 들고 있어도, 자가 생산으로

antenna design -> impedance mathcing -> sensor emplacement -> vector signal analyzer -> computer simulation

input과 output을 확실하게 틀어막고 조절하는 예술.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2340 소박하고 단순한 삶의 시대 1 김동렬 2019-07-31 3842
2339 연역은 복제한다 1 김동렬 2019-08-01 3074
2338 귀납은 없다 1 김동렬 2019-08-02 2909
2337 구조론을 읽고 말하자 1 김동렬 2019-08-04 3005
2336 구조론과 주식투자 2 김동렬 2019-08-04 3666
2335 구조론을 배우자 1 김동렬 2019-08-05 2860
2334 동기와 보상은 가짜다 image 3 김동렬 2019-08-06 3318
2333 엔트로피의 결론 1 김동렬 2019-08-06 3176
2332 문학의 구조 1 김동렬 2019-08-06 3836
2331 존재론과 인식론 1 김동렬 2019-08-07 6453
2330 양자중력이론 1 김동렬 2019-08-08 3535
2329 최소작용의 원리 1 김동렬 2019-08-09 3634
2328 에너지의 수렴원리 1 김동렬 2019-08-11 3991
2327 최적화 원리 1 김동렬 2019-08-12 2742
2326 목적이 아니라 방향이다 1 김동렬 2019-08-13 3266
2325 몬티홀의 좋은 소식 1 김동렬 2019-08-15 3741
2324 그림의 몬티홀 image 김동렬 2019-08-15 3121
2323 구조론의 개요 1 김동렬 2019-08-16 3082
2322 몬티홀의 수수께끼 1 김동렬 2019-08-17 3098
2321 용맹하지 않으면 안 된다 1 김동렬 2019-08-18 3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