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프로필 이미지
[레벨:4]바람21
read 9314 vote 0 2025.03.21 (07:09:46)

세계사를 공부하려 하는데, 책 추천 부탁드려요. (수능 교과서 빼고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10]cintamani

2025.03.21 (09:40:36)

아마 동렬님께서 댓글 주시겠지만,

제가 아는 한 구조론적인 시각으로, 또는 지정학적 안목으로 쓰여진 세계사 책은 서점에서 못 본듯 합니다.


동렬님의 저서중 [구조론 교과서]에 역사의 법칙과 백문백답 내용이 있습니다.

참고하십시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25.03.21 (10:22:27)

책은 읽어지는 것을 닥치는대로 읽는거지 어떤 책을 읽는다는 생각은 넌센스입니다. 책을 안읽는 이유는 읽어지지 않기 때문입니다. 아무거나 한 권을 읽으면 읽어지거나 읽어지지 않거나입니다. 읽어지면 비슷한 것을 꼬리에 꼬리를 물고 자동독서법으로 읽는 것이고 서점에서 책을 빼서 다 읽고 그 자리에 내려놓으면 되는 것이며 집에까지 책을 가져온다면 그 책은 읽어지지 않는 책이므로 포기하는게 맞습니다. 그래서 저는 집에 책이 없습니다. 읽어지지 않는 이유는 기초가 안 되어 있거나 흥미가 없기 때문인데 흥미가 없으면 안읽는게 맞고 기초가 안 되어 있으면 역사만화부터 보는게 맞죠. 삼국지를 읽으려면 삼국지만화에 흥미를 가져야 합니다. 기초적인 와꾸가 잡혀야 구체적인 것에 흥미가 갑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9]SimplyRed

2025.03.21 (13:59:17)

위 동렬님 쓰신 거랑 비슷한 맥락인데 큰 틀거리부터 잡아가며 세부를 보는 것이 역사책읽기의 방법인 듯 합니다. 어쩌면 모든 분야가 그렇죠. 생각보다 청소년용 만화가 잘 만들어져 있습니다. 세부적으로 파고들면 만화의 내용과 다른 사실이 밝혀졌다든지 하는 일도 있지만 대부분 큰 틀과는 무관하고 틀거리 잡기가 우선순위인 듯 하네요. 냅다 위키문서나 전문서부터 보면 어렵더라구요.

구조론 검색을 통하면 물리적 생산력과 도구, 전쟁이론, 지정학까지 올라가서 구조론을 추출해내며 내려다보는 글들이 있는데 많은 도움되었습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7772 학번 묻던 개검 image 14 솔숲길 2025-04-09 3100
7771 특별한 화분 출석부 image 25 이산 2025-04-08 3205
7770 방 빼라 image 16 솔숲길 2025-04-08 4598
7769 커피 한 잔 출석부 image 23 이산 2025-04-08 3130
7768 트럼프도 끝장 image 10 김동렬 2025-04-07 4066
7767 뿅뿅뿅 출석부 image 26 이산 2025-04-06 3480
7766 굥사에 남으리 image 11 김동렬 2025-04-06 4141
7765 아수라백작 출석부 image 25 universe 2025-04-06 3728
7764 새날이 열렸다. image 14 김동렬 2025-04-05 6880
7763 방끗 출석부 image 20 universe 2025-04-05 3480
7762 거짓말의 기록 image 11 김동렬 2025-04-04 4896
7761 계몽돼지의 최후 image 20 김동렬 2025-04-04 4784
7760 운명의 커플 출석부 image 23 이산 2025-04-03 4087
7759 오동운의 미소 image 13 김동렬 2025-04-03 4029
7758 그대와 나 출석부 image 26 이산 2025-04-02 4877
7757 굥의 전쟁 image 16 김동렬 2025-04-02 4448
7756 숨바꼭질 출석부 image 30 이산 2025-04-01 4615
7755 장도리 만평 image 9 김동렬 2025-04-01 4314
7754 물 한방울 출석부 image 27 이산 2025-03-31 3115
7753 경거망동 부화뇌동 금지 1 김동렬 2025-03-31 54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