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프로필 이미지
[레벨:4]바람21
read 2332 vote 0 2025.03.21 (07:09:46)

세계사를 공부하려 하는데, 책 추천 부탁드려요. (수능 교과서 빼고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9]cintamani

2025.03.21 (09:40:36)

아마 동렬님께서 댓글 주시겠지만,

제가 아는 한 구조론적인 시각으로, 또는 지정학적 안목으로 쓰여진 세계사 책은 서점에서 못 본듯 합니다.


동렬님의 저서중 [구조론 교과서]에 역사의 법칙과 백문백답 내용이 있습니다.

참고하십시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25.03.21 (10:22:27)

책은 읽어지는 것을 닥치는대로 읽는거지 어떤 책을 읽는다는 생각은 넌센스입니다. 책을 안읽는 이유는 읽어지지 않기 때문입니다. 아무거나 한 권을 읽으면 읽어지거나 읽어지지 않거나입니다. 읽어지면 비슷한 것을 꼬리에 꼬리를 물고 자동독서법으로 읽는 것이고 서점에서 책을 빼서 다 읽고 그 자리에 내려놓으면 되는 것이며 집에까지 책을 가져온다면 그 책은 읽어지지 않는 책이므로 포기하는게 맞습니다. 그래서 저는 집에 책이 없습니다. 읽어지지 않는 이유는 기초가 안 되어 있거나 흥미가 없기 때문인데 흥미가 없으면 안읽는게 맞고 기초가 안 되어 있으면 역사만화부터 보는게 맞죠. 삼국지를 읽으려면 삼국지만화에 흥미를 가져야 합니다. 기초적인 와꾸가 잡혀야 구체적인 것에 흥미가 갑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9]SimplyRed

2025.03.21 (13:59:17)

위 동렬님 쓰신 거랑 비슷한 맥락인데 큰 틀거리부터 잡아가며 세부를 보는 것이 역사책읽기의 방법인 듯 합니다. 어쩌면 모든 분야가 그렇죠. 생각보다 청소년용 만화가 잘 만들어져 있습니다. 세부적으로 파고들면 만화의 내용과 다른 사실이 밝혀졌다든지 하는 일도 있지만 대부분 큰 틀과는 무관하고 틀거리 잡기가 우선순위인 듯 하네요. 냅다 위키문서나 전문서부터 보면 어렵더라구요.

구조론 검색을 통하면 물리적 생산력과 도구, 전쟁이론, 지정학까지 올라가서 구조론을 추출해내며 내려다보는 글들이 있는데 많은 도움되었습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7753 경거망동 부화뇌동 금지 new 1 김동렬 2025-03-31 336
7752 돈줄 newimage 9 솔숲길 2025-03-31 467
7751 For you 출석부 newimage 21 이산 2025-03-30 268
7750 엄청난해 출석부 newimage 26 universe 2025-03-30 457
7749 어느새 출석부 updateimage 20 universe 2025-03-29 599
7748 성동이와 재명이 사귄대 image 12 김동렬 2025-03-28 1079
7747 봄마중 출석부 image 20 이산 2025-03-28 559
7746 결코 죽지 않는다 image 13 솔숲길 2025-03-27 1208
7745 토이스토리 출석부 image 23 이산 2025-03-27 763
7744 장도리 만평 image 12 김동렬 2025-03-26 1372
7743 [펌] 한덕수 쉴드론 김동렬 2025-03-26 917
7742 성모마리아 출석부 image 25 이산 2025-03-25 702
7741 명빠가 너무나 많아 image 10 김동렬 2025-03-25 1376
7740 비밀의문 출석부 image 25 이산 2025-03-25 759
7739 헌재 차벽치느라 늦었다 image 7 김동렬 2025-03-24 2218
7738 아빠는 어디에 출석부 image 23 이산 2025-03-23 1699
7737 힘찬하루 출석부 image 22 universe 2025-03-23 832
7736 [펌글] 법학자의 예측 1 김동렬 2025-03-22 1464
7735 꼭지쩜 출석부 image 21 universe 2025-03-22 921
7734 [펌글] 투쟁은 계속된다 김동렬 2025-03-21 1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