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8121 vote 0 2024.09.29 (17:25:05)

    자연선택설은 변이가 주는 이득에 의해 살아남는다는 것이다. 그러나 변이는 유리하기도 하고 불리하기도 하다. 밸런스가 작동하므로 얻는 만큼 잃는다. 유전자 내부의 변이 프로그램은 적합한 생태적 지위를 찾아내게 되어 있다.


    너구리가 죽은 체하는 것은 그다지 유리하지 않다. 중요한 것은 그 방향으로 진화가 결정되면 많은 것이 거기에 연동되어 결정된다는 것이다. 호르몬이 바뀌기 때문이다. 호르몬은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친다. 너구리는 늑대에 비해 여성호르몬이 많이 나온다. 인간은 여성이 기절하기 전술을 많이 쓴다. 그것이 반드시 생존에 도움이 되는 것은 아니지만 방향이 정해지면 그쪽으로 가게 되어 있다.


    틀린 판단 - 인간은 두 다리로 직립하여 칼로리 소모를 줄이는 방법으로 개체수 증가의 이득을 얻었다.


    바른 이해 - 인간의 직립은 개체수를 오히려 감소시켰고 변이에 따른 이익은 없었다. 두 발로 걷는 대신 자유롭게 된 손발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도구를 사용하다가 머리를 쓰는 생태적 지위를 찾아내게 되었다. 경쟁자가 없는 독점시장을 찾아낸 것이다. 인간이 직립한 것은 700만 년 전부터지만 직립에 따른 이득을 본 것은 인지혁명이 일어난 5만 년 전부터다. 700만 년 동안 헛수고를 한 셈이다.


    도박을 하든, 주식을 하든 방향이 정해지면 계속해야 한다. 이득의 보장은 없지만 계속하면 최종적으로 살아남은 한 명은 이득을 본다. 월드컵 우승팀은 이득을 보지만 중간에 탈락한 팀은 이득이 없다. 그러나 게임이 걸리면 계속할 수밖에 없다. 진화는 도전해야 하는 덫이고 수렁이다. 휩쓸려서 계속 가게 된다.


    틀린 판단 - 특정한 변이가 더 많은 이득을 주는 자연선택에 의해 '결과적으로' 살아남을 확률을 높였다.


    바른 이해 - 하나가 변하면 거기에 연동되어 많은 것이 동시에 변한다. 그 방향으로 가속하여 결국 적합한 생태적 지위를 찾아낸다. 변이는 개체의 생존에 유리할 수도 있고 불리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진화한 것이 아니라 '원인적'으로 변이한 것이다. 방향이 정해졌으므로 계속 가는 것이지 이득이 되는 것은 아니다.

  

    이득을 보는 것은 진화의 최종단계다. 고래의 조상이 물로 방향을 정하면 고래가 될 때까지 계속 변이를 일으킨다. 하마와 고래 사이의 어중간한 변이들은 적합한 생태적 지위를 찾지 못하고 멸종한다. 최종적으로 살아남은 고래는 이득을 얻지만 그 과정에 희생한 중간단계 종은 이득이 없다. 고래가 물로 돌아가는 이유는 포유류의 조상이 원래 물고기였기 때문이다. DNA가 과거의 각인을 떠올려 물속환경을 쉽게 읽어낸 것이다. 


    포유류의 일부가 공중환경으로 방향을 정했다면 새를 이기고 공중을 장악할 수 있었을까? 그것은 불가능하다. 박쥐가 있지만 새를 피하여 밤에나 움직인다.


    자연에는 개체수가 적어도 환경변화에 적응하며 끈질기게 살아남는 종이 있다. 반대로 개체수가 많아도 환경변화에 적응하지 못하고 순식간에 멸종하는 종도 있다. 자연선택은 종이 이득을 얻는 것이고 이득은 자녀를 남길 확률의 증가다. 자녀를 남기려면 자녀를 많이 낳으면 된다. 그러나 새끼를 많이 낳는 종은 적다. 개, 쥐, 늑대, 토끼가 새끼를 많이 낳지만 굴을 파서 새끼를 보호하는 공통점이 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7064 예수의 가르침 김동렬 2024-10-20 3034
7063 예술의 본질 6 김동렬 2024-10-18 4790
7062 한국정신과 일본정신 김동렬 2024-10-17 4724
7061 돈이 새끼를 치는 원리 1 김동렬 2024-10-17 4995
7060 언어와 권력 김동렬 2024-10-16 4055
7059 내부지향의 사고 김동렬 2024-10-16 3994
7058 하루키와 한강 1 김동렬 2024-10-16 5254
7057 마광수와 서갑숙 2 김동렬 2024-10-16 4739
7056 오빠가 굥빠다 image 1 김동렬 2024-10-15 5246
7055 철학이란 무엇인가? 김동렬 2024-10-15 4116
7054 문학은 전쟁이다 2 김동렬 2024-10-14 5699
7053 철학은 긍정이다 3 김동렬 2024-10-13 5232
7052 긍정적 사고와 부정적 사고 1 김동렬 2024-10-12 5248
7051 채식주의자 1 김동렬 2024-10-11 6509
7050 홍명보 억까는 무리 김동렬 2024-10-11 5501
7049 한강이 노벨문학상 받은 이유 김동렬 2024-10-10 6991
7048 한글의 의미 김동렬 2024-10-10 6014
7047 한글의 기적 김동렬 2024-10-10 5968
7046 제프리 힌턴과 천경자 콤플렉스 김동렬 2024-10-10 5049
7045 독일철학의 허실 김동렬 2024-10-10 42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