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441 vote 0 2024.05.23 (12:28:09)

     훈련사들은 무수한 경험에서 얻은 대응 매뉴얼이 있다. 3분 안에 해결할 수 있다. 문제는 그게 본질이 아니라는 것이다. 문제의 본질은 견주의 정신병이다. 미친 견주가 미친개를 만든다. 개의 문제 행동은 견주의 문제 행동에서 전이된 것이다. 병이 옮은 것이다.


    견주가 이 사실을 인정하기 싫은 것이다. 훈련사는 3분 안에 해결할 수 있지만 견주의 정신병이 그대로 남아있는 한 의미가 없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 견주를 치료해야 하는데 그게 치료될 리가 없다. 치료될 사람은 미치지 않는다. 개를 아이라 부르면 답이 없다.


    개를 개라고 인정하고 일정하게 거리를 둘 마음을 먹어야 치료된다. 개는 애완되고 싶지 않다. 개는 집을 지키고, 썰매를 끌고, 양을 치고, 사냥을 하고 싶다. 썰매개는 죽는 순간까지 썰매개의 가슴줄 앞을 벗어나지 않으려 한다. 상처를 숨기고 멀쩡한 척 속인다.


    편하게 놀고먹게 해줄게. 이게 개를 미치게 하는 것이다. 왜 견주는 그런 짓을 할까? 자신이 편하게 놀고먹기 때문이다. 미쳤기 때문이다. 내가 놀고 먹으니까 개도 놀고 먹어야 한다는 사상이 문제의 원인이다. 내가 미쳤으니까 너도 미쳐야 한다는 심술이다.


    원래 인간은 집단에 기여하도록 만들어진 존재다. 알파독이론은 틀렸다. 개가 원하는 것은 서열이 아니다. 분명한 규칙과 일정한 역할과 적절한 세력화다. 자긍심을 원한다. 개는 산책을 원하는게 아니라 영역 순찰로 무리를 보호하고 집단에 기여하는 것이다.


    우주는 압박에 의해 작동한다. 문제는 두 방향 압박의 충돌이다. 인간은 압박이 없어도 죽고 양쪽에서 압박해도 죽는다. 압박이 없으면 자신을 압박하는게 정신병이다. 자녀를 압박하는게 한국병이다. 종교를 믿는 행동은 규칙과 계율로 자신을 압박하는 것이다.


    질, 입자, 힘, 운동, 량 순서로 압박해야 하며 방향이 충돌하면 죽는다. 인간은 한 방향으로 계속 나아가려고 한다. 정치권력 압박이든, 종교계율 압박이든, 자본소득 압박이든, 이웃눈치의 압박이든 같은 것이다. 선진국일수록 정교한 압박프로그램을 사용한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24.05.23 (18:57:27)

프로필 이미지 [레벨:21]이상우

2024.05.24 (11:29:47)

요즘 일부 MZ세대의 '자신은 제대로 안하면서 상대를 적대시하고 모욕주기'가 유행이라는데, 그런 측면도 약간 있어 보이긴 하네요. 강형욱이 억울한 측면도 있겠지만, 그간의 행적을 보면 걸리는 부분이 많은 것도 사실입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7876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963
6639 클린스만의 명암 김동렬 2023-11-20 1804
6638 민족주의란 무엇인가? 김동렬 2023-12-18 1805
6637 문명과 야만의 차이 1 김동렬 2023-11-10 1806
6636 염경엽 야구의 해악 김동렬 2023-11-14 1809
6635 총선 총평.. 구조론이 옳다 김동렬 2024-04-11 1818
6634 방향과 압박 김동렬 2023-11-09 1823
6633 존재의 핸들은 무엇인가? 김동렬 2022-04-26 1824
6632 헤어질 결심 - 한국 지식인의 저급함 김동렬 2024-05-01 1825
6631 윤석열의 총선반성 뻥이야. 김동렬 2024-04-16 1827
6630 함흥차사 인요한 김동렬 2023-11-05 1830
6629 생각의 기술 김동렬 2023-01-24 1831
6628 세상은 변화다 김동렬 2023-01-27 1833
6627 하나가 더 있다 김동렬 2023-07-31 1841
6626 민주당 전략은 허허실실 김동렬 2023-12-06 1841
6625 김건희의 뇌물공화국 김동렬 2024-02-22 1846
6624 양자역학의 이해 김동렬 2024-01-04 1850
6623 구조론은 김동렬 2023-08-30 1851
6622 믿음의 의미 김동렬 2023-11-05 1851
6621 직관력 김동렬 2024-02-06 1851
6620 생각의 도구 1 김동렬 2023-01-18 18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