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이찬종의 알파독 이론과 강형욱의 카밍시그널이 있다. 둘 다 일정 부분 맞고 둘 다 일정 부분 틀렸다. 알파독 이론은 늑대는 서열이 있으니까 개도 서열이 있다는 주장이다. 그런데 늑대는 서열이 없다. 오히려 개는 서열이 있다. 인간들이 뭔가 잘못 알고 있는 것이다.


    한국 조폭은 잔인하지만 미국 조폭은 친절하다. 언제 총 맞을지 모르기 때문이다. 늑대는 미국 조폭과 같아서 언제 죽을지 모르기 때문에 함부로 깝치지 않는다. 늑대는 민주적인 동물이다. 개는 한국 조폭과 같아서 매우 깝친다. 작은 개가 오히려 문제가 심하다.


    늑대와 가까운 맹견보다 늑대와 거리가 먼 작은 개가 서열문제를 일으킨다. 진돗개는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 문제를 일으킨다면 묶어 키우기 때문이다. 문제견은 사회화 시기에 각인이 잘못된 것이다. 개는 서열싸움을 하지 않는다. 싸움을 한다면 문제가 있다.


    실제로 개가 서열싸움을 한다면 어떻게 될까? 죽는다. 야생상태에서는 덩치만 봐도 서열을 파악할 수 있다. 개의 서열싸움은 당연한 것이라며 방치하는 견주의 행동은 개를 죽이려는 것이다. 실제로 야생이라면 도전자를 죽여버리지 적당히 혼내고 놔두겠는가? 


    개의 문제 행동은 대부분 인간이 만들어낸 것이다. 개의 문제는 일종의 정신병이고 그것은 견주의 정신병에서 이전된 것이다. 개의 눈으로 바라보면 견주의 행동이 이해될 수 없는 미친 행동이다. 개가 꼬리를 흔드는 이유는 흥분했기 때문이지 좋아서가 아니다. 


    이런 것을 인간들이 잘못 이해하고 있다. 개는 개로 키워야 한다. 인간이 미쳤기 때문에 개가 미친다. 개는 주인에게 충성하지 않는다. 만약 개가 사람에게 충성한다면 정상적인 상태가 아니다. 늑대는 생후 1년이 지나면 사람을 따르지 않는다. 그게 건강한 거다.


    1. 늑대는 의외로 민주적인 동물이다.
    2. 개의 서열행동은 인간에게 의존하기 때문이며 정상적이지 않다.
    3. 개의 문제행동은 동물원에 갇힌 동물의 정형행동과 같은 정신병이다.
    4. 인간의 정신병이 개의 정신병으로 옮겨간다. 개가 보기에 주인이 미쳤다.
    5. 생후 4개월 전후 사회화 시기를 잘못 보내면 정신병이 생긴다.
    6. 알파독 교정은 견주의 힘을 보여줘서 정신병을 완화시킨다.
    7. 카밍시그널은 개의 정신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8. 단순하고 일관된 규칙행동이 개를 안정시킨다.

    9. 개는 집단의 세력화를 원하고 일을 하고 싶어 한다.


    알파독 이론은 틀렸지만 정신병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미친 주인에 대한 불신이 개의 문제행동을 낳는다면 알파독 교정은 주인이 힘을 보여줘서 믿고 따르게 하는 것이다. 개가 스스로 밥벌이를 못하기 때문에 미치는 것이다. 일정하게 역할을 주면 교정될 수 있다. 




[레벨:30]솔숲길

2024.05.19 (20:56:13)

이형종이 맞나요? 이웅종?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24.05.20 (08:41:08)

이웅종 동생 이찬종을 말한 거였는데.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update 2 김동렬 2024-05-27 2405
6861 민희진과 배신자들의 말로 new 김동렬 2024-06-02 416
6860 지식의 원점 김동렬 2024-05-20 615
6859 신라 마립간은 무엇인가? 2 김동렬 2024-05-14 788
6858 의사결정 update 김동렬 2024-05-31 806
6857 프레임 정치의 야만성 김동렬 2024-05-30 832
6856 지도로갈문왕 수수께끼 image 김동렬 2024-05-20 871
6855 첫 만남 김동렬 2024-05-16 884
6854 다르마를 따르라 1 김동렬 2024-05-14 890
6853 인간의 입장 김동렬 2024-05-26 906
6852 직관론 김동렬 2024-05-08 907
6851 생각인간 김동렬 2024-04-13 909
6850 인류의 차원 도약 김동렬 2024-05-03 916
6849 프레임을 극복하라 김동렬 2024-05-10 923
6848 방시혁 민희진 전쟁 중간점검 김동렬 2024-05-31 931
6847 마음의 마음 김동렬 2024-03-10 941
6846 착한 아이 콤플렉스의 위험성 image 김동렬 2024-05-26 955
6845 존재 김동렬 2024-04-05 958
6844 구조를 보는 방법 김동렬 2024-03-14 963
6843 지구를 지켜라의 멸망 원인 김동렬 2024-05-20 970
6842 물방울이 둥근 이유 김동렬 2024-03-11 9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