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6934 vote 0 2024.05.15 (12:20:34)

     할 말이 있었던 거다. 인간들 사는 꼬라지 보고 답답했을 것이다. 이것을 보면 저것을 알아야 하는데 이것에 갇혀서 저것으로 나아가지 못한다. 인간은 역할에 갇히고, 관점에 갇히고, 언어에 갇히고, 본능에 갇힌다. 

   

    ###


    발자국을 보고 도둑이 다녀간 사실을 안다. 부분을 보고 전체를 안다. 부분과 전체의 관계를 사전에 알고 있으면 추론할 수 있다. 인간은 직관력을 가지고 태어나지만 무의식적으로 직관을 사용할 뿐 의식적으로는 사용하지 못한다. 깨달음은 직관의 각성이다.


    숨바꼭질하는 꼬마는 머리만 감추면 아빠가 찾지 못할 것이라고 여긴다. 부분과 전체의 관계를 모른다. 술래가 단서를 잡고 추론하는 전략에 대비하지 않는다. 처음으로 추론을 경험하고 전율하면 직관이 격발된다. 꼬마가 숨바꼭질 놀이를 좋아하는 이유다.


    이것을 보고 저것을 안다. 이것과 저것의 연결고리를 알면 직관할 수 있다. 원본과 복제본의 관계를 알면 추론할 수 있다. 이것과 저것을 통일하는 것은 메커니즘이다. 메커니즘에 에너지를 태우면 변화의 방향과 순서를 결정하는 시스템의 완전성이 드러난다.


   ###


    우리는 객석에 앉은 관객이다. 보이는 것은 보지만 봐야할 것을 보지 못한다. 무대 뒤의 연출자를 보지 못한다. 복제본 입장에서 사유할 뿐 원본의 입장을 사유하지 않는다. 보이는 것은 하나 둘씩 단위로 존재한다. 그것은 전시된 것이다. 전시하는 자를 봐야 한다. 과일은 하나씩 매달려 있지만 그것을 매다는 것은 단위가 없고 대신 밸런스가 있다.


    주는 자와 받는 자가 있다. 우리는 받는 사람 포지션에서 맞은 편을 보지 못한다. 자연이 부르면 인간은 응답한다. 인간은 응답자의 위치를 지키며 호출자를 보지 못한다. 자연이 간섭하면 인간은 방어한다. 인간은 방어자 언어에 갇혀 진리를 보지 못한다. 언어를 바꾸고 보는 방법을 바꾸지 않으면 안 된다. 원본의 입장을 사유하지 않으면 안 된다.


    능동적으로 보려면 매개가 필요하다. 인간은 내부에서 자발적 변화를 조직하지 못한다. 자체 엔진이 없다. 지식의 매개를 외부 환경에서 조달하므로 본질을 보지 못한다. 원본과 복제본의 관계를 보지 못한다. 다가오는 것만 볼 수 있고 쳐들어가서 보지 못한다. 다가오면 본의 아니게 맞서게 된다. 상대를 부정하게 된다. 포지션의 함정에 갇혀버린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6904 다르마와 동기부여 김동렬 2024-07-07 7005
6903 힘과 짐과 도움 김동렬 2024-07-06 7877
6902 허웅 박철 강형욱 손웅정 윤석열의 경우 김동렬 2024-07-05 7769
6901 KBS, 메갈, 삐라 김동렬 2024-07-04 8158
6900 선택적 열고닫기의 명암 김동렬 2024-07-03 7615
6899 손웅정 르노코리아 박철 옥소리 김동렬 2024-07-02 7756
6898 왜 서양이 동양을 지배하는가? 7 김동렬 2024-07-02 8045
6897 이념이란 무엇인가? 김동렬 2024-07-02 8965
6896 교종소승 정의당, 선종대승 민주당 김동렬 2024-07-01 7900
6895 깔때기의 법칙 김동렬 2024-06-29 8215
6894 타투를 해야 하는 이유 1 김동렬 2024-06-29 8169
6893 다르마와 요짐보 김동렬 2024-06-29 7885
6892 임성근 이종호 김건희 커넥션 2 김동렬 2024-06-27 7998
6891 금쪽이 전성시대 김동렬 2024-06-27 7894
6890 다르마는 타이밍이다 김동렬 2024-06-26 7673
6889 전여옥의 돌려까기술 김동렬 2024-06-25 7432
6888 다르마와 메타인지 김동렬 2024-06-24 7717
6887 나쁜 윤과 없는 한 image 김동렬 2024-06-24 7849
6886 자존감과 다르마 김동렬 2024-06-21 8018
6885 한국과 베트남의 차이 2 김동렬 2024-06-21 81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