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111 vote 0 2024.05.14 (13:18:52)

    학자들이 김대문의 기록을 민간어원설이라고 비난하면서 스스로 민간어원설을 만들어내고 있다. 말이 그럴듯하면 민간어원설이다. 언어는 절대 그럴듯한 논리로 만들어지지 않는다. 언어는 진화하는 것이며 기존에 있는 말을 슬쩍 틀어서 의미를 부여하는 것이다.


    금金의 옛 발음은 '김'이다. 이사금의 금今도 같다. 중국어와 비교하면 알 수 있다. 중국어에 ‘금’ 발음이 있나? ‘으’ 발음을 하는 나라는 세계적으로 거의 없다. 마립간의 옛 발음은 ‘말이김’이다. 금으로 바뀐 것은 신라 왕실이 자기네 성씨와 구분한 것으로 보인다.


    김대문은 마립간의 마립이 임금과 신하의 지위를 구분하는 말뚝이라고 했다. 말뚝과 굴뚝의 ‘뚝’은 우뚝한 것이고 마립은 ‘말’이다. 매금은 ‘말김’이다. 전하는 마루아래, 폐하는 섬돌아래, 각하는 전각아래다. 말금은 원래 '맛김'이다. 리을 받침도 한자에는 없다.


    붓다가 불타 되고, 볫남이 월남 되고, 잇一(일본어 참고)이 일로 변한다. 갈, 길, 물, 말 등의 한자를 구글번역으로 보면 다 받침이 없다. 리을 받침은 장음을 표기하는 방식이다. 마립간 말은 마루다. 헷갈리면 안 되는게 옛날에는 온돌방이 없었다는 사실이다.


    지금은 방바닥이 마루보다 높아서 착각한다. 온돌은 고려 이후 보급된 북방문화다. 임금은 높은 마루에 앉고 신하들은 바닥에 앉는다. 안악 3호분 벽화에 묘사되어 있다. 용마루, 지붕마루, 고갯마루의 옛발음은 용맛, 지붕맛, 고갯맛으로 발음했다고 볼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맏이’와 의미가 같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맏아들을 맛아들이고 맛김은 맏왕이다. 김은 님의 옛날 발음이니 마립간 곧 매금은 맛님이다. 님은 주인이라는 뜻이다. 현대어로 풀면 맏주인(님)이 된다. 맏주인 아래는 냉수리비에 등장하는 차칠왕이다.


    1. 임금은 잇김, 이사김이고 의미는 잇주인(님)이다.

    2. 매금은 맛김, 마이김이고, 의미는 맏주인(님)이다.

    3. 김은 님의 옛말이며 의미는 주인님이라는 뜻이다.


    마마, 마누라 등의 마는 고려시대에 몽골의 지배를 받으며 원나라 말이 들어온 것으로 되어 있지만 신라인은 흉노의 일파가 들어온 것이며 몽골도 흉노의 일파다. 궁중용어를 공유할 수도 있다. 칸이라는 호칭을 공유하면서 마마를 공유하지 않을 이유가 없는 거다.


    상감도 같다. 영감, 대감도 마찬가지로 우리말을 적당한 한자로 옮긴 것이다. 상감을 현대어로 풀면 윗주인(님)이다. 마루의 말은 만난다는 뜻이 있다. 고갯마루는 산과 하늘이 만나는 지점, 고개 너머와 마주치는 접점이다. 지붕마루는 집이 하늘과 만나고 있다.


    맛은 높다는 의미가 있지만 높은 부분은 외부와 구분하는 경계선이다. 맛왕은 외국과 갈라지는 국경을 지키는 왕이며 잇왕은 내부의 부족장 왕이다. 이는 뾰족한 것이며 우두머리다. 맛왕과 잇왕으로 구분하여 외국을 상대하는 왕과 내부 부족장을 구분한 것이다.


    김대문의 어원이 맞다. 단 해석에 있어서는 충분한 연구가 필요하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24.05.14 (13:29:38)

f1a3b79d-0845-4c92-911e-ddd29023b90a.jpg


루각은 높이 올린 것이다.


l_2019080701000811800061851.jpg


전각은 바닥에 벽돌을 깔았다. 임금이 앉는 용상 주변에 마루가 만들어져 있다. 

첨부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24.05.14 (13:32:33)

안악3호분_3-1.jpg


임금은 마루에 앉아 있다. 

첨부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6478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6396
6712 슬픈 진중권들과 카우치들 김동렬 2005-10-24 18508
6711 곤충채집 겨울방학 숙제 유비송신 2002-12-04 18499
6710 Re..태풍이 가고 난 후 image 김동렬 2002-09-14 18497
6709 예술의 본질 김동렬 2008-08-14 18479
6708 노무현은 무서운 사람이다 image 김동렬 2004-02-18 18472
6707 군포 개혁당에 부쳐 image 김동렬 2003-04-29 18461
6706 광화문 1만 인파의 외침이 조중동의 귀에도 들렸을까? 김동렬 2002-12-01 18400
6705 이 사진을 보면 결과를 알 수 있음 image 김동렬 2002-12-19 18394
6704 노무현 잘하고 있는데 왜들 그러는지 모르겠다. 김동렬 2002-09-12 18388
6703 구조의 만남 image 김동렬 2010-07-12 18366
6702 서프라이즈 출판기념회 사진 image 김동렬 2003-01-20 18354
6701 박근혜의 마지막 댄스 image 김동렬 2004-03-31 18344
6700 학문의 역사 - 자본주의와 사회주의 김동렬 2006-02-03 18333
6699 구조의 포지션 찾기 image 3 김동렬 2011-06-08 18321
6698 노무현은 부패를 척결할 수 없다? 1 김동렬 2002-09-11 18316
6697 걸프전 문답 김동렬 2003-03-19 18293
6696 이회창이 TV토론에서 헤메는 이유 skynomad 2002-11-08 18270
6695 진선미에 대해서 2 김동렬 2010-08-05 18268
6694 우리들의 대한민국이 어쩌다 이모양입니까? 김동렬 2007-09-10 18265
6693 노무현 죽어야 산다 image 김동렬 2003-08-28 182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