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891 vote 0 2024.05.10 (11:26:16)

    인간은 프레임 없이 생각을 못한다. 프레임으로 자신을 대칭에 가두고 압박하여 방향을 제시하고 에너지를 끌어낸다. 그냥 동전이 있을 뿐인데 앞면과 뒷면이 따로 있다고 믿는다. 우리는 세상을 대칭으로 이해하지만 자연에는 변화가 있을 뿐 대칭이 없다. 대칭은 인간의 관념이다.


    빛과 어둠, 선과 악, 진보와 보수의 이분법은 변화를 통제하려는 인간의 맞대응 행동이다. 빛은 광자가 있고, 선은 사회가 있고, 진보는 문명이 있지만 반대편에 대응되는 무엇이 없다. 인간이 밝기 조절에 어둠을 도입하고, 집단 조절에 악을 도입하고, 문명 조절에 보수를 도입한다.


    자연은 대칭 이원론이 아니라 균형 일원론이다. 변화가 균형에 의해 조절될 때 프레임은 깨진다. 진보와 보수의 통일은 문명의 변화, 선과 악의 통일은 사회의 변화, 빛과 어둠의 통일은 빛의 밝기 변화다. 수평적 사고는 프레임에 갇혀서 교착되고 수직적 사고는 교착을 타개한다.


    ###


    공격은 한 명이 돌파구를 열지만 방어는 협력수비를 필요로 한다. 집단이 협력하려다가 프레임에 갇힌다. 프레임은 적의 공격에 맞서는 방어논리다. 사람을 구조에 가둬서 인질로 잡는다. 사람을 통제하는데 쾌감을 느끼고 흥분한다. 집단의 권력에서 개인의 에너지를 조달한다.


    에너지를 구하다가 프레임에 갇힌다. 동력원을 장악하지 못하므로 집단에 의지한다. 권력이 집단을 보이지 않는 끈으로 묶는다. 고립되면 불안하므로 집단의 권력에 동력을 연결한다. 개인이 자기만의 도구를 획득하면 별도의 동력원을 얻어서 프레임을 이기고 자유로워진다.


    상부구조와 연결하면 동력을 얻는다. 무사는 칼이 있어야 편안하고 작가는 펜이 있어야 편안하다. 강체가 유체의 압력을 느끼면 편안하다. 에너지 방향성을 느끼면 편안하다. 한발 앞서 변화를 미리 내다보면 편안하다. 흐르는 강물에 배를 띄우고 순풍에 돛을 올리면 편안하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2478 진리가 있다 image 김동렬 2017-06-27 12337
2477 당신도 작가가 될 수 있다 image 11 김동렬 2012-12-05 12338
2476 완전성에서 출발하라. image 1 김동렬 2011-10-05 12342
2475 구조론 초보자를 위한 image 김동렬 2017-06-19 12343
2474 사건이냐 사물이냐 image 김동렬 2017-07-14 12344
2473 질문하지마라 image 김동렬 2016-12-01 12355
2472 구조란 무엇인가? 1 김동렬 2011-01-16 12356
2471 야구가 재미있는 이유 image 7 김동렬 2012-05-25 12362
2470 전여옥 인물탐구 부탁합니다 아다리 2002-10-19 12363
2469 김두수님 글을 읽고 김동렬 2005-04-18 12371
2468 전여옥과 노블리스 오블리제( 노혜경 ) 김동렬 2003-06-01 12377
2467 만남 그리고 결혼 image 8 김동렬 2011-11-08 12377
2466 자유가 두려워. image 김동렬 2017-09-24 12377
2465 성공하는 작품의 공식 image 5 김동렬 2012-01-11 12379
2464 할 말이 없네요. 김동렬 2005-12-15 12381
2463 이명박은 딱 거기까지 김동렬 2006-03-06 12381
2462 콤플렉스형 인간 완전성형 인간 image 10 김동렬 2012-01-23 12381
2461 일치와 불일치로 보라 image 김동렬 2017-06-16 12381
2460 말이 쉽게 나오면 안 된다. image 2 김동렬 2018-01-23 12383
2459 Re..이회창이 된다면 한가지 분명한 것은.. 김동렬 2002-09-27 123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