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042 vote 0 2024.04.29 (17:30:24)

    밥을 먹으려면 먼저 식탁에 앉아야 한다. 식탁에 앉아보지도 못하고 좌절하는게 보통이다. 거기까지 데려다주는 것이 있다. 반드시 매개하는 것이 있다. 그것이 차원이다. 인간은 성공해도 차원의 도움 덕분에 성공하고 실패해도 차원의 장벽에 막혀 좌절한다.


    선수가 실력을 발휘하려면 팀에 소속되어 기회를 받아야 한다. 실력은 달라도 기회는 같아야 한다. 금수저는 언제나 식탁까지 데려다주는 사람이 있고 흙수저는 그런 도움을 기대할 수 없다. 세상을 움직이는 본질은 매개다. 매개의 존재여부로 차원이 나뉜다.


    지식을 매개하는 것은 소통이다. 소통의 장벽을 넘어 지식의 식탁에 앉게 하는 것이 모든 지식에 앞서는 근원의 지식이다. 언어의 장벽을 넘도록 매개하는 것은 구조론이다. 집단의 장벽을 넘게 하는 것은 권력이다. 내면의 장벽을 넘어가는 것은 깨달음이다.


   ###


    "두 가지 가능성이 있다. 우주에 우리만 존재하거나 그렇지 않거나. 둘 다 끔찍한 일이다. " 아서 C. 클라크


    누군들 진리를 사랑하지 않겠는가? 그러나 진리가 인간에게 마냥 달콤하기만 한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우리는 안다. 만약 인류 모두를 살릴 수도 있고 죽일 수도 있는 스위치가 당신의 손에 쥐어져 있다면? 당신이 그 스위치를 누르든 누르지 않든 끔찍하다.


    신이 있다면 끔찍하다. 인간은 신의 손에 놀아나는 꼭두각시가 된다. 신이 없다면 역시 끔찍하다. 인간은 버려진 존재가 된다. 천국이 끔찍한 것은 내게서 삶의 의미를 빼앗기 때문이다. 지옥이 끔찍한 이유는 삶을 차단당하기 때문이다. 어느 쪽이든 끔찍하다.


    문명과 고립된 원시부족은 족장이 외부와 통하는 관문을 장악하고 권력을 독점한다. 권력은 관문에서 나온다. 부족을 방문한 이방인은 외계인과 마찬가지다. 지구가 외계인들에게 무방비로 노출되어 있어도 끔찍하고 지구만 홀로 고립되어 있어도 끔찍하다.


   ###


    오지에 고립된 부족민은 지리적인 장벽에 가로막힌다. 지구인과 외계인의 소통은 광속의 장벽에 가로막힌다. 장벽이 있으면 관문도 있다. 장벽을 넘어가거나 넘어가지 못하게 조절하는 스위치가 있다. 그곳에서 권력이 탄생한다. 진리는 권력의 자궁이다.


    장벽을 넘어도 끔찍하고 넘지 못해도 끔찍하다. 부부가 서로의 모든 것을 알고 있다면 근친혼과 다를 바 없다. 그것은 끔찍하다. 부부가 서로에 대해 아무것도 모른다면 강제결혼과 같다. 역시 끔찍하다. 장벽을 넘을 수는 있으나 함부로 넘어갈 수는 없다.


    진리는 소통의 수위를 조절하는 관문이다. 문을 열고 닫으며 관문의 주인이 되어야 한다. 인간이 찾으려는 진리는 그곳에 있다. 세 가지 장벽이 있다. 서로 떨어져 있는 물리적 장벽과, 떨어진 것을 연결하는 도구의 장벽, 그것을 감당하는 인간의 장벽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6804
2504 시간으로 완성하라 image 2 김동렬 2012-10-29 11086
2503 달이 떠오르다 image 1 김동렬 2012-10-27 10608
2502 돈오돈수란 무엇인가? image 1 김동렬 2012-10-27 12736
2501 돈 찍어내면 된다. 5 김동렬 2012-10-23 11406
2500 관계의 종류 image 1 김동렬 2012-10-22 13814
2499 시의 문법 김동렬* 2012-10-21 10021
2498 약한 고리는 무엇인가? image 김동렬* 2012-10-21 8552
2497 관계란 무엇인가 ? image 김동렬* 2012-10-21 11328
2496 상호작용의 밀도를 높여라 image 1 김동렬* 2012-10-21 8629
2495 의미를 버리고 관계를 얻어라 김동렬* 2012-10-21 9408
2494 캐릭터의 족보 image 김동렬* 2012-10-21 8669
2493 완전성이란 무엇인가? image 김동렬* 2012-10-21 8723
2492 스타일은 자기다움이다 image 김동렬* 2012-10-21 9138
2491 삶의 인과법칙은 있다 image 김동렬* 2012-10-21 9188
2490 삶의 정답은 있다 image 김동렬* 2012-10-21 8438
2489 깨달음의 정답은 스타일이다 image 김동렬* 2012-10-21 8624
2488 깨달음에 정답은 있다 image 김동렬* 2012-10-21 8598
2487 깨달음의 문학 image 김동렬* 2012-10-21 8864
2486 깨달음의 족보 김동렬* 2012-10-21 8088
2485 관계를 깨달음 2 김동렬* 2012-10-21 9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