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558 vote 0 2024.04.18 (17:58:43)

     https://www.youtube.com/watch?v=POAXasWLhgU&t=1s


    뇌가 부정적 생각을 하는 이유는 호르몬 때문이다. 부정적 호르몬이 나오는 이유는 무의식 때문이다. 부정적 무의식이 작동하는 이유는 뇌가 환경을 그렇게 인식했기 때문이다. 무의식의 힘은 막강하다. 어린이는 긍정적이다. 호기심을 가지고 함부로 달려든다. 


    잘못해도 엄마가 해결해 준다. 사춘기가 되면 부정에 빠진다. 의기소침해진다. 권력게임이 시작되기 때문이다. 얻어맞고 상처 입은 유기견과 같다. 성장해서 사회로 나아가려면 의지할 것이 있어야 한다. 반대로 자신이 보호할 것도 있어야 한다. 임무가 필요하다.


    남녀의 사랑은 의지하는 마음과 보호하는 마음이 반반이다. 여성이 더 의지함이 많을 수 있다. 의지 대상은 하나라야 한다. 여럿에 의지하면 헷갈린다. 보호 대상은 여럿이라야 한다. 남자가 여러 여자를 보호할 마음을 먹어버리면? 재산이 있고 능력이 있으면? 


    여러 여자를 보호할 마음을 먹게 된다. 여자도 능력이 있으면 여러 남자를 관리하려 한다. 여러 아기를 키우려는 마음과 같다. 자식을 많이 둘수록 유리하다. 사랑은 선택이냐 운명이냐다. 선택은 보호하는 마음이다. 동물은 새끼들 중에 강한 것 하나만 키운다. 


    약한 자식은 백업용으로 살려두기도 하고 버리기도 한다. 남녀가 서로를 선택하려고 하면? 계속 허들을 높인다. 가스라이팅을 한다. 이때 부정법을 쓴다. 상대를 부정하는 방법으로 상대가 내게 다가오게 하는 기술이다. 


    위 유튜브 영상은 생존에 유리하기 때문에 부정적 생각을 한다는데 대략 개소리고 도구가 없어서 그렇다. 신대륙이 있으면 건너간다. 긍정적 생각을 한다. 돈이 많으면 돈지랄을 한다. 긍정이다. 외모가 잘생겼으면 솔로를 면한다. 긍정한다. 총이 있으면 쏴댄다. 


    닫힌계 안에서는 긍정이 불가능하다. 특히 권력게임이 작동하면 긍정할 수 없다. 상대방을 길들여야 하기 때문이다. 사랑은 계속 허들을 높인다. 부정은 우주의 기본 출발점이다. 우주는 부정의 원리에 의해 작동한다. 환경은 인간을 맷돌에 넣고 계속 갈아댄다. 


    인간은 압력에 눌려 깔때기를 통과하게 된다. 인력은 없고 척력만 존재하므로 부정할 수밖에 없다. 긍정이 부정보다 많을 수 없다. 그런 구조는 가속적으로 파괴된다. 남녀가 결합한 채로 멈추지 않으려고 하면 어떻게 되지? 동물이 발정기가 정해지지 않으면?


    그 짓을 계속하다가 죽는다. 사자는 15분 간격으로 하루에 40번 관계한다. 일주일에 500번 짝짓기한다는 보고도 있다. 발정기가 이틀밖에 안 되는 이유다. 긍정은 일 년 365일 중에 이틀만 허용되는 것이다. 긍정은 외부 환경 덕에 가능하고 부정은 스스로 한다.


    1. 우주의 보편원리가 부정이다.

    2. 긍정은 환경이 우호적일 때 가능하다.

    3. 부정적 사고는 무의식과 호르몬 때문이다.

    4. 물리적 도구가 있으면 긍정하게 된다. 

    5. 49 대 51로 부정이 커야 세상이 작동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9771
2506 음악의 깨달음 image 5 김동렬 2012-10-31 23681
2505 관계를 창의하라 image 1 김동렬 2012-10-29 48989
2504 시간으로 완성하라 image 2 김동렬 2012-10-29 11088
2503 달이 떠오르다 image 1 김동렬 2012-10-27 10608
2502 돈오돈수란 무엇인가? image 1 김동렬 2012-10-27 12742
2501 돈 찍어내면 된다. 5 김동렬 2012-10-23 11411
2500 관계의 종류 image 1 김동렬 2012-10-22 13820
2499 시의 문법 김동렬* 2012-10-21 10024
2498 약한 고리는 무엇인가? image 김동렬* 2012-10-21 8554
2497 관계란 무엇인가 ? image 김동렬* 2012-10-21 11334
2496 상호작용의 밀도를 높여라 image 1 김동렬* 2012-10-21 8633
2495 의미를 버리고 관계를 얻어라 김동렬* 2012-10-21 9412
2494 캐릭터의 족보 image 김동렬* 2012-10-21 8671
2493 완전성이란 무엇인가? image 김동렬* 2012-10-21 8725
2492 스타일은 자기다움이다 image 김동렬* 2012-10-21 9140
2491 삶의 인과법칙은 있다 image 김동렬* 2012-10-21 9190
2490 삶의 정답은 있다 image 김동렬* 2012-10-21 8441
2489 깨달음의 정답은 스타일이다 image 김동렬* 2012-10-21 8625
2488 깨달음에 정답은 있다 image 김동렬* 2012-10-21 8602
2487 깨달음의 문학 image 김동렬* 2012-10-21 88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