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1]chow
read 515 vote 0 2024.04.14 (14:23:04)

인간이 원하는 것은 관측자 입장에서 대상이 얼마나 변하는 지를 수치적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가령 자동차의 변화량을 알고 싶을 때 관측자는 고정된 상태에서 대상의 변화를 관측한다. 

그런데 가속도 상황은 자동차도 변화하고 관측자도 변화하는 상황이다. 이때 관측자를 붙잡아 둬야 하는데 그게 "lim->0"이다. 이것의 수학적 의미는 "량은 없고 위치는 있다"는 것이다.


나눗셈은 차원 '내' 연산으로 생각할 수 있다. 가령 같은 차원의 어떤 둘 사이의 비율을 구할 때 한쪽을 다른쪽으로 나누어 그 비율을 구한다. 이는 분모를 1로 만드는 과정이다.


그런데 미분은 차원 '간' 연산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이 상황에서 어떤 둘 사이의 비율을 구할 때는 분모를 0으로 만들어 다른 쪽의 량을 구한다. 수학에서는 0으로 나누면 안 된다고 하지만 미분에서는 lim->0이라는 희안한 회피술을 써서 0으로 나누고야 마는데, 이게 사실 차원간 연산을 표현하는 방법이기 때문이다. 


정리하면 사람들이 생각하는 연산이나 산수는 차원 안에서 일어나는 일이고 미분의 영역에 들어가면 차원 간에 일어나는 일을 다룬다는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어떤 수를 0으로 나누면 안 된다는 수학의 대원칙과 반대로 0으로 나누어야 한다는 것은 차원의 구분으로 통합적으로 설명할 수 있게 된다. 굳이 극한을 쓰지 않더라도. 극한을 쓰는 이유는 수학자 들이 차원을 쓰면 안 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고.


"2 x 1 = 2"는 이게 같은 차원의 연산이라고 생각하면 맞고, 차원 간 연산이라고 생각하면 단위가 생략된 것이라 틀린 것이 된다. 그냥 이렇게 설명하면 되는데 전근대적인 수학자들이 개념이 없어서 뭔가 이상하다고 생각한 모양.


사실 학교 다닐 때 가장 이상했던 게 덧셈뺄셈에서의 1과 곱셈나눗셈에서의 1이 묘하게 통합이 안 된다는 것이다. 덧셈할 때 1은 어떤 작은 '량'을 의미하는데 곱셈할 때의 1은 존재 그 자체를 의미하는 것 같았기 때문. 2에 1을 곱해도 변화가 전혀 없다. 아니, 나만 이게 이상했냐고 ㅎㅎ. 연산 후에 변화가 없으려면 1이 아니라 0을 곱해야 하는 것 아닌가? 근데 수학에서 0을 곱하면 결과가 0이 되어버린다. 0으로 나누는 건 연산 불능이고. 여기에 뭔가가 있는 거지.


근데 가만히 생각해보면 수학에서 점은 크기가 없고 위치가 있다고 했거든. 량은 그렇다치고 위치에 대한 정의가 뭔가 부족한 게 수학. 왜냐하면 위치를 정의하려면 반드시 차원을 말해야 하기 때문. 포지션을 생각해보라고. 개인의 포지션을 설명하려면 반드시 집단이나 시스템에 대한 이야기를 해야 하는 것과 같은 것.


즉 수학은 양적 변화만 표현하려다 한계에 부딪혔고 미분과 차원으로 질적 변화를 표현하긴 했는데 받아들이지 못 하고 있다. 그래서 GPT가 수학 실력이 개판이다. 왜냐면 언어는 질적 변화의 집체인데 수학자들이 정의한 수학은 질적 변화를 다루지 않으려고 또아리를 튼 결과이기 때문. 그래서 수학 잘하는 놈과 언어 잘하는 놈이 통합이 잘 안 되는 거. 주변에 수학 잘하는 놈들을 자세히 보면 사실 산수를 잘하는 놈들임. 그거 가짜야 가짜.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3413
2130 달콤한 인생의 역설 3 chow 2024-02-24 939
2129 목요 정기모임 공지 image 김동렬 2022-04-20 950
2128 탈냉전의 청구서 dksnow 2022-06-08 952
2127 정모 다음주로 연기합니다. 1 김동렬 2022-05-26 959
2126 장안생활 격주 목요모임 공지 image 2 김동렬 2022-06-16 964
2125 인간과 알파고, 까마귀 chow 2022-06-06 974
2124 목요 정기 온 오프 모임[시간 당김] image 2 김동렬 2022-05-04 980
2123 인간은 권력하지 않는다 chow 2022-06-03 980
2122 추가정보를 질문하고 이전 대화 내용을 기억하는 인공지능 chowchow 2022-05-13 988
2121 버니어캘리퍼스 image chow 2022-06-08 988
2120 서울 서울 하지만 dksnow 2022-05-01 992
2119 짚신벌레가 번식하는 이유 chow 2022-05-24 1004
2118 왼손잡이와 정규분포 chow 2022-05-24 1008
2117 기술에 대해 정확히 말하기 dksnow 2023-01-16 1030
2116 유전설과 환경설 chowchow 2022-05-17 1031
2115 역설에 따른 노래 이전의 발성에 관한 이야기 SimplyRed 2022-06-16 1032
2114 동아시아사에서 한반도의 역사적 역할 (환빠는 알아서 꺼져주길) dksnow 2022-06-08 1049
2113 냉전 이후 자본주의와 디지털 혁신 dksnow 2023-01-16 1057
2112 무한과 연속성의 차이 chow 2023-01-12 1058
2111 삼성과 남한 dksnow 2022-05-27 10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