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1]chow
read 691 vote 0 2024.04.12 (12:34:25)

미분의 정의는 "어느 한 점 위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라 할 수 있겠다. 

상식적인 사람이라면 여기서 위화감을 느껴야 한다.

기울기는 반드시 2점 이상에서만 성립할 수 있기 때문.

도대체 한 점이라는 거야 두 점이라는 거야?


생각해보자. 점 하나를 통과하는 선의 개수는 무한대.

무한대 개수의 선을 줄이려면 둘 중 하나의 방법을 써야 하는데

다른데 점을 하나 더 찍어서 두 점을 통과하는 하나의 선을 도출하던지

아니면 2차 이상의 곡선 위에 접선이라는 개념을 사용하여 하나의 선을 도출하던지

대충 봐도 두 점을 찍는 문제는 아니므로 

미분을 구하는 상황은 직선과 곡선이 중첩된 상황 그 자체를 의미하는 것이 된다.

즉, 접선 자체가 중첩 상황을 표현하는 것.


수학자들은 2천년 동안 이걸 말하지 못해서

리미트 어쩌구 저쩌구 하는건데, 내가 가슴이 답답해진다.


그렇다면 미분 상황에서의 일점은 일점이 아닐 수도 있다.

내가 보기엔 2점이지만 다른 사람이 보기엔 1점인 상황

위에서 보면 파동이지만 아래에서 보면 입자인 상황

파동을 미분하면 입자가 나온다는 말씀.


갈림길은 2갈래와 1갈래가 만난 길이다.

2갈래 입장에서 반대를 보면 1갈래이고

1갈래 입장에서 반대를 보면 2갈래이다.

이걸 누구 입장에서 불러야 하나? 헷갈리지롱.

그래서 에라 모르겠다, 그냥 갈림길.


이걸 답할 수 없다면 수학을 논하지 말라.

곡선의 의미는 2개 이상의 함수가 중첩된 것에 있다.

아인슈타인이 중력을 설명하며 곡면을 말한 게 다 이유가 있는 것.

"관측되는 현실 위에 그것을 낳는 뭔가 하나 더 있고, 그걸 미분하면 

결과적으로 우리가 보는 현실이 있습니다."


img.png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2804
2147 좆의 어원 image 8 김동렬 2013-04-01 14865
2146 인종별 웃는 모습 image 김동렬 2016-08-15 14779
2145 감자탕은 감자뼈? 1 김동렬 2010-10-20 14764
2144 [질문] 왜 죽었다는 뜻으로 '깨(께)팔러 갔다'고 하는지? 10 우야산인 2009-08-13 14607
2143 깨달음을 그리다 영번역 첫 번째 image 1 ahmoo 2010-01-18 14445
2142 스노우보드 타는 요령 image 5 양을 쫓는 모험 2010-06-15 14296
2141 악어새의 환상 image 10 김동렬 2012-12-26 14069
2140 모순과 역설. 5 아제 2010-03-08 13497
2139 문제 - 돔 지붕의 딜레마 image 17 김동렬 2013-01-20 13483
2138 한비야의 40킬로가 무겁다? image 10 김동렬 2014-04-10 13313
2137 르네 마그리트 image 1 김동렬 2014-01-16 13039
2136 빈도주의 vs 베이즈주의 7 오세 2014-09-17 13023
2135 '차길진' 이라는 재미있는 사람이 있더라구요 1 송파노을 2006-02-22 12674
2134 이현세의 헛소리 비판 17 김동렬 2013-04-09 12211
2133 인터뷰 질문 모집 67 김동렬 2009-09-16 12137
2132 김동렬님께 강도 2005-11-29 11690
2131 아라비아 숫자의 어원 image 2 김동렬 2014-06-17 11678
2130 언어 구조의 대강 image ░담 2010-05-19 11599
2129 키 큰 남자가 좋다? image 3 김동렬 2011-08-23 11512
2128 한국이 노벨상을 못 타는 이유 2 김동렬 2013-10-29 112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