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376 vote 0 2024.04.12 (10:46:18)

    우리말은 성이 앞에 오고 이름이 뒤에 붙지만 영어는 이름이 앞에 오고 성이 뒤에 붙는다. 만약 컴퓨터를 한국인이 발명했다면 확장자명이 앞에 오고 파일명이 뒤에 붙게 했을지도 모른다. '아무개.hwp'가 아니라 'hwp.아무개'로 되었을 것이다.


    메타는 '다음'이다. 이름 다음은 성이다. 존재는 성이 있다. 경로가 있다. 메타를 우리말로 옮기면 이전의, 혹은 위의 것이다. 형이상학Metaphysics은 '형상 위의 것'이다. 때로는 앞에 오고, 때로는 뒤에 오고, 혹은 그 위에 있는 것은 무엇인가?


    그것은 공유하는 것이다. 메타는 공유된다. 식구들은 성을 공유한다. 그것은 닮음이다. 식구들은 서로 닮았다. 그것은 차원이다. 차원이 같으면 호환된다. 차원은 계급이다. 사장은 사장끼리 대화하고 간부는 간부끼리 직원은 직원끼리 소통한다.


    원래는 성이 없었는데 사유재산이 발생하고 상속권을 다투면서 성이 만들어졌다. 자연의 존재도 성이 있다. 성이 없으면 에너지가 전달되지 않는다. 자연의 성은 밸런스다. 질, 입자, 힘, 운동, 량의 밸런스 단위가 있다. 밸런스로 직관할 수 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update 2 김동렬 2024-05-27 2568
6841 원효의 깨달음 김동렬 2024-05-22 1001
6840 석가의 의미 김동렬 2024-05-16 1009
6839 생각의 압박 김동렬 2024-04-08 1011
6838 직관의 기술 김동렬 2024-04-06 1019
6837 방시혁 민희진 전쟁 중간점검 김동렬 2024-05-31 1025
6836 부끄러운줄 모르는 한겨레 표절칼럼 김동렬 2024-04-25 1026
6835 이성과 감성 김동렬 2024-05-07 1029
6834 엔트로피가 어렵다고? 김동렬 2024-03-15 1030
6833 자명한 진실 김동렬 2024-05-18 1030
6832 진리의 문 김동렬 2024-04-29 1034
6831 전략적 사유 김동렬 2024-05-12 1040
6830 엔트로피와 직관력 김동렬 2024-03-18 1044
6829 집단사고와 집단지성 1 김동렬 2024-04-22 1044
6828 셈과 구조 김동렬 2024-03-01 1045
6827 인류문명 김동렬 2024-03-22 1071
6826 생각기술 김동렬 2024-04-03 1073
6825 지성과 권력 김동렬 2024-03-31 1075
6824 밸런스와 엔트로피 김동렬 2024-03-20 1076
6823 구조론 대강 김동렬 2024-03-13 1080
6822 전쟁과 인간 김동렬 2024-05-13 10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