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073 vote 0 2024.03.22 (19:25:57)

    엔트로피만큼 쉬운게 없다. 밸런스는 두 개가 붙어서 나란한 것이다. 밸런스의 변화는 분할이다. 분할하면 숫자가 증가한다. 너무 쉽잖아. 그런데 왜 다들 어렵다고 할까? 나는 거기서 인류의 어떤 약점을 봤다. 이 문명은 결함 있는 문명이다. 인류는 지식의 첫 단추를 잘못 끼웠다.


    엔트로피는 에너지의 방향성이다. 여기서부터 막힌다. 인류는 방향이 뭔지 모른다. 방향은 공간의 방향이다. 공간이 뭔지 모른다. 이쯤 되면 근본적인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 우리가 밸런스 중심의 사고를 익혀야 한다. 밸런스는 깨진다. 마이너스다. 마이너스 사고를 배워야 한다.


    인류의 사고는 플러스 방향인데 자연의 전개는 마이너스 방향이다. 인간은 작은 것을 모아서 큰 것을 만들려고 하지만 자연은 큰 것을 쪼개서 작은 것을 만든다. 엔트로피 증가는 작은 것의 증가다. 인간은 애초에 큰 것에만 주목하기 때문에 작은 것이 눈에 들어오지 않는 것이다.


    열역학은 이상하다. 기초부터 빌드업하는 과정이 없다. 수학 다음에 물리학이 있고 그다음에 화학이 나와야 한다. 수학과 물리학을 거치지 않고 바로 화학을 한다면 그게 연금술이다. 열역학 법칙이 어려운 이유는 인류가 공간을 해명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기초를 건너뛰었다.


    지식의 출발점은 밸런스다. 에너지의 방향성은 저울의 축이 먼저 움직이고 다음에 접시가 기울어지는 순서다. 대칭은 축이 있다. 축 1이 움직이면 대칭 2가 움직인다. 1의 원인이 2의 결과를 낳으므로 증가하는 것이다. 이 구조를 머릿속에 그리면 우주의 모든 것을 이해할 수 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update 2 김동렬 2024-05-27 2574
6701 몽준을 조질 것인가? 김동렬 2002-10-23 18554
6700 바퀴벌레의 아이큐 1 김동렬 2011-06-21 18532
6699 그림설명 image 김동렬 2011-07-13 18521
6698 부끄러운 줄 알아야 할 사람들 김동렬 2002-09-10 18491
6697 사랑수님의 시 김동렬 2004-11-24 18463
6696 양들의 모래시계 image 2 김동렬 2010-10-03 18458
6695 이회창진영이 구사하는 최악의 전술 김동렬 2002-12-05 18458
6694 18 금 유감 2005-08-04 18439
6693 노무현 학생층 공략작전 대성공조짐 김동렬 2002-09-12 18423
6692 홍규옹은 하늘로 YS는 창에게로 image 김동렬 2002-11-21 18420
6691 신경계정치와 호르몬정치 김동렬 2003-07-07 18419
6690 편집용 image 김동렬 2011-01-23 18406
6689 전체가 먼저 부분은 나중이다. image 9 김동렬 2011-12-20 18399
6688 완전성의 과학 구조론 김동렬 2008-12-31 18396
6687 추가할 내용 image 김동렬 2010-07-18 18390
6686 곤충채집 겨울방학 숙제 유비송신 2002-12-04 18382
6685 김민새의 공작이라는 증거 김동렬 2002-12-19 18380
6684 누가 그이들을 울게 하는가? image 김동렬 2003-08-28 18366
6683 김응용과 김성근 108 [2] 김동렬 2010-01-14 18359
6682 슬픈 진중권들과 카우치들 김동렬 2005-10-24 183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