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127 vote 0 2024.03.22 (19:25:57)

    엔트로피만큼 쉬운게 없다. 밸런스는 두 개가 붙어서 나란한 것이다. 밸런스의 변화는 분할이다. 분할하면 숫자가 증가한다. 너무 쉽잖아. 그런데 왜 다들 어렵다고 할까? 나는 거기서 인류의 어떤 약점을 봤다. 이 문명은 결함 있는 문명이다. 인류는 지식의 첫 단추를 잘못 끼웠다.


    엔트로피는 에너지의 방향성이다. 여기서부터 막힌다. 인류는 방향이 뭔지 모른다. 방향은 공간의 방향이다. 공간이 뭔지 모른다. 이쯤 되면 근본적인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 우리가 밸런스 중심의 사고를 익혀야 한다. 밸런스는 깨진다. 마이너스다. 마이너스 사고를 배워야 한다.


    인류의 사고는 플러스 방향인데 자연의 전개는 마이너스 방향이다. 인간은 작은 것을 모아서 큰 것을 만들려고 하지만 자연은 큰 것을 쪼개서 작은 것을 만든다. 엔트로피 증가는 작은 것의 증가다. 인간은 애초에 큰 것에만 주목하기 때문에 작은 것이 눈에 들어오지 않는 것이다.


    열역학은 이상하다. 기초부터 빌드업하는 과정이 없다. 수학 다음에 물리학이 있고 그다음에 화학이 나와야 한다. 수학과 물리학을 거치지 않고 바로 화학을 한다면 그게 연금술이다. 열역학 법칙이 어려운 이유는 인류가 공간을 해명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기초를 건너뛰었다.


    지식의 출발점은 밸런스다. 에너지의 방향성은 저울의 축이 먼저 움직이고 다음에 접시가 기울어지는 순서다. 대칭은 축이 있다. 축 1이 움직이면 대칭 2가 움직인다. 1의 원인이 2의 결과를 낳으므로 증가하는 것이다. 이 구조를 머릿속에 그리면 우주의 모든 것을 이해할 수 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5825
6833 첫 만남 김동렬 2024-05-16 977
6832 대란대치 윤석열 1 김동렬 2024-05-16 1367
6831 석가의 방문 김동렬 2024-05-15 1218
6830 윤암 수술법 김동렬 2024-05-14 1243
6829 다르마를 따르라 1 김동렬 2024-05-14 976
6828 신라 마립간은 무엇인가? 2 김동렬 2024-05-14 863
6827 전쟁과 인간 김동렬 2024-05-13 1157
6826 전략적 사유 김동렬 2024-05-12 1102
6825 소크라테스 김동렬 2024-05-11 1079
6824 방시혁 민희진 윤석열 이준석 김동렬 2024-05-10 1581
6823 프레임을 극복하라 김동렬 2024-05-10 998
6822 일본과 독일의 성공 이유 김동렬 2024-05-09 1493
6821 직관론 김동렬 2024-05-08 996
6820 이성과 감성 김동렬 2024-05-07 1111
6819 신임을 잃었으면 물러나야 한다 1 김동렬 2024-05-06 1490
6818 마동석의 성공 방정식 김동렬 2024-05-05 1417
6817 삼국사기 초기기록 불신론 김동렬 2024-05-04 1168
6816 순진한 한국인들 김동렬 2024-05-03 1631
6815 인류의 차원 도약 김동렬 2024-05-03 987
6814 인간은 언제 죽는가? 1 김동렬 2024-05-02 1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