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058 vote 0 2024.03.22 (19:25:57)

    엔트로피만큼 쉬운게 없다. 밸런스는 두 개가 붙어서 나란한 것이다. 밸런스의 변화는 분할이다. 분할하면 숫자가 증가한다. 너무 쉽잖아. 그런데 왜 다들 어렵다고 할까? 나는 거기서 인류의 어떤 약점을 봤다. 이 문명은 결함 있는 문명이다. 인류는 지식의 첫 단추를 잘못 끼웠다.


    엔트로피는 에너지의 방향성이다. 여기서부터 막힌다. 인류는 방향이 뭔지 모른다. 방향은 공간의 방향이다. 공간이 뭔지 모른다. 이쯤 되면 근본적인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 우리가 밸런스 중심의 사고를 익혀야 한다. 밸런스는 깨진다. 마이너스다. 마이너스 사고를 배워야 한다.


    인류의 사고는 플러스 방향인데 자연의 전개는 마이너스 방향이다. 인간은 작은 것을 모아서 큰 것을 만들려고 하지만 자연은 큰 것을 쪼개서 작은 것을 만든다. 엔트로피 증가는 작은 것의 증가다. 인간은 애초에 큰 것에만 주목하기 때문에 작은 것이 눈에 들어오지 않는 것이다.


    열역학은 이상하다. 기초부터 빌드업하는 과정이 없다. 수학 다음에 물리학이 있고 그다음에 화학이 나와야 한다. 수학과 물리학을 거치지 않고 바로 화학을 한다면 그게 연금술이다. 열역학 법칙이 어려운 이유는 인류가 공간을 해명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기초를 건너뛰었다.


    지식의 출발점은 밸런스다. 에너지의 방향성은 저울의 축이 먼저 움직이고 다음에 접시가 기울어지는 순서다. 대칭은 축이 있다. 축 1이 움직이면 대칭 2가 움직인다. 1의 원인이 2의 결과를 낳으므로 증가하는 것이다. 이 구조를 머릿속에 그리면 우주의 모든 것을 이해할 수 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update 2 김동렬 2024-05-27 2401
61 인간의 비참 김동렬 2024-04-06 1167
60 난독증의 문제 김동렬 2024-04-02 1162
59 나쁜 개는 있다 김동렬 2024-05-21 1161
58 초월자 김동렬 2024-03-05 1160
57 직관의 힘 김동렬 2024-03-25 1156
56 자기 자신에게 투표하라. 김동렬 2024-03-10 1156
55 자체발광 심쿵작 백제의 미소 image 1 김동렬 2024-04-02 1155
54 마음의 전략 김동렬 2024-03-09 1153
53 대구와 광주의 차이 김동렬 2024-04-29 1151
52 석가의 방문 김동렬 2024-05-15 1146
51 존재의 존재 김동렬 2024-02-24 1146
50 이상의 오감도 image 김동렬 2024-04-15 1144
49 광야에서 김동렬 2024-04-01 1144
48 초인 김동렬 2024-02-25 1121
47 이정후와 야마모토 김동렬 2024-04-21 1115
46 주체적 사고 김동렬 2024-03-07 1109
45 삼국사기 초기기록 불신론 김동렬 2024-05-04 1097
44 지구가 둥근 이유 image 김동렬 2024-03-10 1093
43 근본문제 김동렬 2024-05-01 1088
42 전쟁과 인간 김동렬 2024-05-13 10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