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041 vote 0 2024.03.15 (11:21:14)

    https://www.youtube.com/watch?v=-kjhl5Bt2bQ&t=1091s


    이 유튜브 영상을 보고 엔트로피를 이해한 사람이 있을까? 없다. 왜? 인류 중에 엔트로피를 이해한 사람은 없기 때문이다. 사실 엔트로피만큼 쉬운게 없다. 그냥 1 +1=2다. 그런데 왜 어렵냐고? 설명이 틀렸다. 엔트로피는 에너지의 자발성을 의미하는 것이다. 


    인류는 에너지의 자발성을 모른다. 에너지를 모른다. 에너지를 모르면서 엔트로피를 설명할 수는 없다. 에너지를 이해하려면 닫힌계를 알아야 한다. 계 안에서의 자발적 의사결정은 유체의 성질을 따른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에너지가 유체라는 게 중요하다. 


    유체와 강체를 알아야 한다. 유체는 계를 이루고 내부에 압력이 걸려 평형을 이루며 역학적으로 1이다. 단일자의 모습이다. 유체의 의사결정은 확률이 아니라 게임을 따른다. 엔트로피를 확률로 설명하면 틀렸다. 확률은 1이 아니라는 전제가 붙기 때문이다.


   주사위를 던진다면 주사위와 던지는 사람까지 둘이다. 패널티 킥을 차서 골인이 될 확률을 정하는 것은 키커와 키퍼 2다. 2가 결정하면 확률이고 1이 결정하면 게임이다. 게임의 의미는 누가 규칙을 정하는가다. 심판이 누구냐에 따라 승부가 결정되는 것이다. 


    엔트로피란 에너지가 닫힌계 안에서 1로 행세하는 유체의 성질이다. 대통령은 한 명이고 심판은 한 명이다. 엔트로피 증가는 1로 수렴되는 것이다. 예컨대 물방울은 한 방울이 된다. 지구에 있는 모든 물질은 중력에 잡혀서 지구 하나에 포함된다. 그게 전부다.


    한국이 월드컵 결승에 올라 모든 한국인이 지금 TV 중계를 보고 있다면 한국인은 1이다. 유체가 압력을 받아 뭉쳐서 하나가 되는 현상이 엔트로피다. 너무 쉽잖아. 현실에서 무수히 경험한다. 불을 피우면 연기는 한 방향으로 몰려간다. 불꽃은 가운데로 모인다.


    물은 하나의 강줄기를 이룬다. 하나의 바다에 도달한다. 유체가 압력을 받아 닫힌계에 가두어질 때 하나로 모이는 현상이 엔트로피다. 엔트로피가 낮은 것은 둘로 나눠진 것이다. 우주 안에서 일어나는 모든 자발적 의사결정은 2가 뭉쳐서 1이 되는 것이다. 


    우리는 확률로 접근하지만 틀렸다. 게임이다. 게임은 대칭상태에서 작용과 반작용이 대결하여 우세한 쪽에 몰아주는 것이다. 51 대 49에서 51은 100으로 만들고 49는 0으로 만든다. 계 내부 의사결정은 확률이 아니라 게임의 전략을 따르므로 대외적으로 1이다. 


    유체의 자발적 의사결정은 하나의 개체로 행동한다. 열을 전달하는 분자 숫자와 상관없이 그곳에 하나가 있다. 하나뿐이므로 갈 수는 있어도 올 수는 없다. 열이 뜨거운 쪽에서 차가운 쪽으로 이동한다는 생각은 틀렸다. 계가 하나이므로 열은 하나뿐이다. 


    보통 생각 .. 뜨거운 쪽이 차가운 쪽으로 이동한다.

    바른 이해 .. 하나의 계로 통합 과정에 이기는 쪽에 결정권이 있다. 


    뜨겁다는 것은 많이 움직인다는 것이고 차갑다는 것은 덜 움직인다는 것이다. 많이 움직이는 것이 덜 움직이는 것을 이긴다. 뜨거운 쪽이 차가운 쪽으로 이동하는게 맞다. 그러나 계를 중심으로 사유하지 않으면 왜 뜨거운 것이 이동하는지 한 번 더 질문해야 한다.


    이겨서 이동하는 것이다. 이기는 이유는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효율적인 이유는 더 적은 공간을 차지했기 때문이다. 이동은 비효율에 도달하여 끝난다. 끝나는 이유는 효율성을 잃어서 이길 수 없게 되었기 때문이다. 이동해서 더 많은 공간을 차지했기 때문이다. 


    무질서도 증가는 질서도 감소이며 질서도는 1이 된다. 더 많은 공간을 차지하고 더 비효율적인 구조가 된다. 동력을 잃어서 움직이는데 필요한 내부 지렛대를 조달할 수 없게 된다. 움직이려면 지렛대가 필요한데 지렛대는 옆에서 구한다. 옆에 무엇이 있어야 한다.


    움직이면 그 지렛대에서 이탈하므로 지렛대를 잃는다. 열은 압력을 전달하는 물리량일 뿐 열 외에도 보편적으로 성립한다. 우주 안에 엔트로피 아닌 것이 없다. 예컨대 군중이 100만 명 있으면 1로 행세한다. 선거에서 압승이 아니면 전멸로 가는 이유다. 


    우주 안의 모든 존재는 공간을 덜 차지하는 것이 이겨서 결국 공간을 더 많이 차지하게 된다. 더 많은 공간을 차지하면 비효율적으로 되어 이길 수 없으므로 움직임을 멈춘다. 모든 변화는 공간을 차지하는 것이다. 메커니즘을 이해하지 않고 이해했다고 말할 수 없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4042
6501 비트코인 사기다. image 12 김동렬 2018-01-10 16830
6500 어떤 방문자 김동렬 2008-10-13 16826
6499 Re..돌이킬 수 없는 강을 가볍게 건나가는 회창 김동렬 2002-09-29 16826
6498 인생의 항로를 결정하는 세 나침반 김동렬 2006-06-27 16825
6497 지적설계론과 구조론 image 6 김동렬 2012-05-23 16824
6496 Re.. 나는 [오늘부터 매일 창 죽이기] 김동렬 2002-11-28 16816
6495 슬픈 그림 image 김동렬 2003-06-06 16812
6494 세계주의자와 자유주의자 김동렬 2006-02-17 16806
6493 진중권과의 지는 싸움을 준비하며 김동렬 2003-05-22 16806
6492 조순형 대표 당선을 축하합니다. image 김동렬 2003-12-01 16795
6491 미라이 공업의 경우 김동렬 2008-02-01 16793
6490 Re..철새들의 지역구 총정리!!! 김동렬 2002-11-15 16793
6489 진선미주성 추가설명 image 9 김동렬 2010-08-11 16792
6488 중앙일보의 기이한 공작 김동렬 2002-09-19 16791
6487 조갑제, 죽음의 키스 2005-08-16 16788
6486 인간 노무현의 운명 10 김동렬 2009-05-25 16783
6485 동영상 강의 김동렬 2009-12-21 16780
6484 민주당쉐이들이 탈당을 꺼리는 이유 김동렬 2002-10-21 16780
6483 소통지능 image 3 김동렬 2010-09-23 16769
6482 봄 여름 가을 겨울 그리고 봄 image 김동렬 2003-09-14 167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