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444 vote 0 2024.03.06 (17:58:16)

    구조론은 수학이다. 우리가 사물의 숫자는 알아도 사건의 숫자는 모른다. 사물의 많고 적음은 헤아려도 사건의 맞물려 있음은 헤아리지 못한다. 헤아린다는 것은 쌓인 것을 풀어서 보는 것이다. 풀어서 헤아릴 줄은 아는데 반대로 맞물리게 쌓을 줄은 모른다.


    푸는 것은 수학이고 풀린 것은 과학이다. 우리는 풀어서 보는 과학적 사고를 배운다. 사건은 맞물려 차원을 이룬다. 낮은 차원의 문제는 높은 차원에서만 풀린다. 풀어서 보는 과학적 사고만으로는 부족하고 사건의 맞물림을 보는 차원적 사고를 배워야 한다.


    과학적 사고는 비판적 사고다. 비판적 사고는 숨겨진 복잡성을 드러낸다. 풀어 헤쳐진 것을 헤아리므로 복잡할 뿐 다시 쌓으면 통합되어 단순하다. 차원적 사고는 직관적 사고다. 복잡한 것을 단순하게 설명하는 직관적 사고방식을 훈련하지 않으면 안 된다.


    ###


    수평에서 막힌 것은 수직에서 타개된다. 수직을 보려면 초월자의 눈을 얻어야 한다. 손님은 수평구조의 밖에 있고 주인은 수직구조의 안에 있다. 안을 보려면 주체자의 눈을 얻어야 한다. 안에 가두면 수직이 만들어져 더 높은 차원의 세계로 가는 문이 열린다.


    바둑돌 밖에서 움직이는 전술은 수평에서 교착되고 바둑판 안에서 움직이는 전략은 수직으로 타개한다. 전략은 자원을 가두어 안을 만들고 전술은 거기서 방해자를 제거한다. 내부에 가두면 수직을 세울 수 있고 더 높은 차원에 올라 수평을 장악할 수 있다.


    내부에 가두어져 장악된 것이 절대성이라면 밖으로 풀려난 것이 상대성이다. 문제해결은 밖을 안으로 바꾸는 것이다. 수평으로 흐르는 물은 수직의 그릇에 담아 통제하는 것이다. 보다 높은 차원에 올라 낮은 차원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우주의 근본원리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8296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003
6760 학문이란 무엇인가? 김동렬 2007-10-22 19236
6759 매트릭스 3탄 서프라이즈 레볼루션이 온다 image 김동렬 2003-07-03 19223
6758 박노자의 글을 읽는 법 김동렬 2003-01-10 19204
6757 Re..태풍 루사에 저항하고 있는 거인의 손 image 김동렬 2002-09-14 19140
6756 학문의 역사 - 쫓겨다니는 문명, 매혹당하는 문명 김동렬 2006-01-25 19135
6755 물레방아의 작동구조 image 2 김동렬 2011-05-31 19119
6754 노무현 대통령이 잘못한 것들 김동렬 2006-08-19 19090
6753 누가 정몽헌을 죽였나? image 김동렬 2003-08-05 19090
6752 섹스 후에 남는 것들 14 김동렬 2017-05-01 19062
6751 Re..그의 선택이 비난받는 이유.. 스피릿 2003-06-07 19048
6750 나사풀린 대통령 노무현 김동렬 2003-05-28 19038
6749 사색문제 image 김동렬 2011-09-12 19001
6748 Re.. 조갑제는 최병열과 공작 한나라당 인수작업돌입 김동렬 2002-12-09 18995
6747 이현세의 실패 image 김동렬 2009-01-15 18989
6746 유시민에게 공업용 미싱을 선물하며 image 김동렬 2003-04-25 18987
6745 [시사저널-서프라이즈 소개] 세상을 놀래키리라 image 김동렬 2002-11-05 18957
6744 아이큐 테스트 image 2 김동렬 2012-11-29 18944
6743 당신은 이미 구조론 안에 있다. 김동렬 2010-03-04 18925
6742 '살인의 추억' 화성연쇄사건 김동렬 2003-05-12 18912
6741 마이너스가 정답이다. 김동렬 2011-10-27 18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