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356 vote 0 2024.03.06 (17:58:16)

    구조론은 수학이다. 우리가 사물의 숫자는 알아도 사건의 숫자는 모른다. 사물의 많고 적음은 헤아려도 사건의 맞물려 있음은 헤아리지 못한다. 헤아린다는 것은 쌓인 것을 풀어서 보는 것이다. 풀어서 헤아릴 줄은 아는데 반대로 맞물리게 쌓을 줄은 모른다.


    푸는 것은 수학이고 풀린 것은 과학이다. 우리는 풀어서 보는 과학적 사고를 배운다. 사건은 맞물려 차원을 이룬다. 낮은 차원의 문제는 높은 차원에서만 풀린다. 풀어서 보는 과학적 사고만으로는 부족하고 사건의 맞물림을 보는 차원적 사고를 배워야 한다.


    과학적 사고는 비판적 사고다. 비판적 사고는 숨겨진 복잡성을 드러낸다. 풀어 헤쳐진 것을 헤아리므로 복잡할 뿐 다시 쌓으면 통합되어 단순하다. 차원적 사고는 직관적 사고다. 복잡한 것을 단순하게 설명하는 직관적 사고방식을 훈련하지 않으면 안 된다.


    ###


    수평에서 막힌 것은 수직에서 타개된다. 수직을 보려면 초월자의 눈을 얻어야 한다. 손님은 수평구조의 밖에 있고 주인은 수직구조의 안에 있다. 안을 보려면 주체자의 눈을 얻어야 한다. 안에 가두면 수직이 만들어져 더 높은 차원의 세계로 가는 문이 열린다.


    바둑돌 밖에서 움직이는 전술은 수평에서 교착되고 바둑판 안에서 움직이는 전략은 수직으로 타개한다. 전략은 자원을 가두어 안을 만들고 전술은 거기서 방해자를 제거한다. 내부에 가두면 수직을 세울 수 있고 더 높은 차원에 올라 수평을 장악할 수 있다.


    내부에 가두어져 장악된 것이 절대성이라면 밖으로 풀려난 것이 상대성이다. 문제해결은 밖을 안으로 바꾸는 것이다. 수평으로 흐르는 물은 수직의 그릇에 담아 통제하는 것이다. 보다 높은 차원에 올라 낮은 차원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우주의 근본원리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6262
6804 직관의 힘 김동렬 2024-03-25 1193
6803 인간의 비참 김동렬 2024-04-06 1193
6802 나쁜 개는 있다 김동렬 2024-05-21 1199
6801 조롱 경멸 혐오의 윤석열 김동렬 2024-04-15 1200
6800 엔트로피 완전정복 김동렬 2024-03-16 1202
6799 초월자 김동렬 2024-03-05 1203
6798 힘의 힘 김동렬 2024-02-19 1216
6797 다음의 다음 김동렬 2024-03-11 1222
6796 강형욱 소동과 프레임 정치의 비극 김동렬 2024-05-25 1227
6795 강형욱과 집단 정신병 김동렬 2024-05-23 1234
6794 처음의 처음 김동렬 2024-03-12 1244
6793 광개토대왕비의 진실 4 김동렬 2024-05-18 1244
6792 엘리트와 비엘리트 김동렬 2024-05-22 1249
6791 한깐족과 황깐족 김동렬 2024-04-22 1256
6790 존재 김동렬 2024-02-23 1257
6789 인간에게 고함 김동렬 2024-04-20 1258
6788 토리야마 아키라의 드래곤 볼 김동렬 2024-03-10 1259
6787 바보가 너무나 많아 김동렬 2024-03-21 1264
6786 삼체와 문혁 image 김동렬 2024-04-18 1267
6785 신의 존재 김동렬 2024-02-26 12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