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요새 주식에 좀 관심이 많은데 구조론으로 예측하는 툴에 관해서 한말씀 여쭤봅니다.

경제에서 소비자지출지수가 나중에 주가를 반영한다고 하는 책을 읽은적이 있습니다.

이번 지진과 관련해서도 일본과 우리가 연결되어서 곧 심각한 경제침체에 도달할것이라고 전에 댓글을 읽은기억이 나는데

그 시기와 기간을 어느정도 근접하게 예측할수있는 구조론적툴이 있나요?있으면 어떠한 방법으로 생각하면 접근해야하는지 방향성과 몇가지 팁을 주셨으면 감사하겠습니다.

전에 다음과 기아차에 관한 언급을 보고 그 종목이 상승하는것을 보고 저도 그러한 안목을 길러보고 싶어 질믄 드립니다.

어떠한 얘기이던지 장황하게 듣고싶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1.03.23 (09:26:52)

주가를 예측할 수 있다면 제가 벌써 하와이에 별장을 샀겠지만, 제가 워낙 숫자가 안 되어서 그건 못하고, 그러나 주가 예측의 어떤 규칙을 만들 수는 있을 것입니다. 제가 몇가지 생각해 봤는데 주식고수들은 벌써 그런거 다 알고 있더군요. 주식고수를 이길 수 있는 툴을 만들려면 굉장히 공부를 해야할 것인데, 제가 워낙 숫자하고 안 친해서 못하지만, 여러 사람이 힘을 합친다면 가능할 수도 있지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6]지여

2011.03.24 (09:22:41)

구조론의 일부분인  " 역설 "  과    기존 경영학이론인 " 게임이론"  이 적용되기 때문에...

 

설령 누군가가  주가 예측의 멋진 툴을 개발했다 하더라도  남이 모를 때 유효했던 방식이 자금력이 풍부한 누군가가 같이 알아 버린 단계??.... 나아가 대다수 투자자가 알아버린 단계??...   어렵고 복잡한 문제이겠지요.

 

구조게시판의 글이어서  몇가지 역설만 (어디까지나) 재미삼아 언급하면....

 

-  주식은  .... 종목(기업)을 사는 것인지?   장기예측은  종목을 사는 것일 수도 있지만,  수개월  ~ 3 년  주식투자는 기업이나 종목을  사는 것이 아니고  시간(시점)을 사고 파는 행위이다

 

- 재벌 이라는 시스템은 전세계에서 한국만이 가지고 있는 유일한 것이어서 선진국의 어떤 주식시장보다  한국주식시장이  독특하다

 

- (골프에 비유하면)

  자신의 체형에 맞는 자신만의 스윙폼이 완성되기전 까지는 어디까지나 재미(아마츄어)로 해야 한다.  자신만의 독특한 투자형태가 완성되더라도 대박을 터뜨릴 확률이 높아졌다는 것이지... 반드시 성공한다는 것은 아니다(프로라도 깡통찰 확률은 50% 이상)

 

- 시장에 천개의; 종목이 있다면 "쉬는 것" 도 천개에 해당하는 초대형 종목하나로 인지해야 한다  ^ ^ #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6703
1337 정의당이 우리의 주적인 이유 image 6 김동렬 2017-04-24 4106
1336 유전자와 사회적 상호작용 5 김동렬 2013-12-10 4106
1335 상호작용설이 옳다는 결정적인 증거 image 1 김동렬 2012-04-11 4106
1334 천국은 이 지상에 없다 (소극적 결론) dksnow 2022-08-18 4104
1333 생각의 정석 7회 3 오세 2013-08-08 4102
1332 엄마의 뇌 5 김동렬 2015-07-02 4101
1331 인생의 질문 대략 실패 4 김동렬 2010-11-24 4101
1330 구조론적인 만화 image 1 김동렬 2014-06-09 4100
1329 아프리카는 물의 대륙이다. image 3 김동렬 2015-04-07 4097
1328 창의적 기획이 먼가요? 8 양을 쫓는 모험 2010-12-14 4097
1327 형상법칙 = 구조론 김동렬 2016-03-03 4096
1326 예술과 비예술 image 2 김동렬 2015-09-20 4094
1325 계산에서 진법으로.. 5 아제 2011-01-10 4088
1324 구조론과 인공지능 image 39 오리 2021-07-19 4085
1323 허영만의 관찰 image 김동렬 2014-05-25 4084
1322 천재를 죽이는 이유 1 이성광 2013-01-15 4084
1321 미친 신문사들 image 김동렬 2013-12-01 4083
1320 페이스북에서 퍼온 역겨운 글 1 김동렬 2013-04-18 4072
1319 질문입니다. 2 마법사 2009-07-13 4071
1318 선이 굵으면 좋은 디자인 image 1 김동렬 2013-12-15 40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