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0]함성한
read 3893 vote 0 2011.03.23 (01:09:02)

전송됨 : 페이스북

얼마전 김동렬 님 글에서 미학은 '기' 라는 언급이 있었습니다.

같은 용어라도 어느분야에 쓰이냐에 따라서 또 다른 의미가 되기도 합니다.


학문의 구조에서 미학은 철학 > 수학 > 과학 > 공학 > 미학 이라 하였는데,

여기에서 미학은 완전성, 결에 해당하는 포지션 입니다.


구조론이 완전성에 관한 학문이므로, 봄 여름 가을 겨울 그리고 봄이오듯, 미학이 결이면서 또다른 기가 됨을 뜻하는 것인지, 혹은 또다른 범주에서의 미학을 말씀하신 것인지 알고싶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1.03.23 (01:22:48)

 

구분이 다릅니다.

다른 맥락에서 쓰였다는 말이지요.

 

학문은 인류의 공동작업입니다.

즉 개인과 상관없는 공동체의 영역이라는 거죠.

 

'네 철학이 뭐냐'고 물으면 개인의 생각을 묻는게 아니고

공동체 안에서 당사자의 포지션, 곧 입장을 묻는 겁니다.

 

철학 > 수학 > 과학 > 공학 > 미학의 구분은 개인과의 거리를 나타냅니다.

미학이 개인과 가깝고 철학이 가장 거리가 멀죠.

 

기승전결은 사건 중심으로 본 거고

사건은 개인의 관점입니다.

 

한 개인에게는 미학이 사건을 일으키지만

인류 역사는 미학이 사건을 일으키는게 아니죠.

 

남자가 야구장 가고, 여자가 백화점 가는건 개인의 미학이고

인류가 진보하는건 집단의 철학입니다.

 

미학은 기가 아니라 사건의 기승전결 완전성입니다.

무슨 말이냐 하면 철학은 질문을 던지고 미학은 답을 하는데

 

답을 해야 끝이 나고, 끝이 나야 완전하죠.

구조론은 밖에서 안으로 진행하므로 집단이 묻고 개인이 답하는 거죠.

 

미학을 기라고 한건 기 안에 승 전 결이 숨어 있다는 의미죠.

사건은 이것을 시간 위에 풀어놓고.

 

복잡한데 이걸 엄격히 구분하기 위하여

계속 단어를 만들어 내는 것도 무리수가 되겠고.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7233
938 생각의 정석 14회 오세 2013-10-10 3886
937 공룡은 서서히 멸종했다. 김동렬 2016-04-19 3889
936 존엄에 대해 1 김동렬 2011-02-01 3890
935 깨어있는 시민의식. 아제 2010-12-15 3893
» 미학(美學)은 기(起) 입니까? 1 함성한 2011-03-23 3893
933 게시판 에러 때문에 이사감 20 김동렬 2013-01-22 3897
932 마이너스의 성질 3 아란도 2011-01-11 3900
931 나쁜 카드를 선택하라. 2 김동렬 2011-10-31 3900
930 1인칭 주체적 관점의 예 image 6 김동렬 2014-08-19 3904
929 박근혜 만화 발견 image 김동렬 2016-11-13 3905
928 호모 날레디가 큰일났네. 김동렬 2017-04-26 3906
927 북한은 완전 해갈인데 image 김동렬 2015-07-13 3908
926 [ 5월 13일 '만남' 동영상] 김동렬 대 오한흥 수원나그네 2017-05-20 3908
925 민족주의란 무엇인가? 1 김동렬 2016-01-22 3914
924 구조론 생각의 정석 13회 오세 2013-09-26 3917
923 신립장군이 새재를 지켰다면? image 김동렬 2015-04-07 3917
922 꿈의 발견 3 담 |/_ 2013-06-03 3923
921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4 김동렬 2013-01-10 3926
920 코끼리의 코는 처음부터 길었다. image 김동렬 2015-11-19 3926
919 섬강에 배를 띄우면 image 8 김동렬 2013-02-19 39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