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310 vote 0 2024.02.23 (10:13:23)

    우리가 아는 존재는 3이다. 3은 안과 밖과 중간의 균형이다. 존재는 외부 작용에 맞서 반작용한다. 1은 쓰러진다. 2는 귀퉁이를 밀면 쓰러진다. 3이 버틴다. 그러나 이는 지구 중력이 잡아주기 때문이고 에너지로 보면 5다.


    우리가 아는 3의 존재는 외부 작용에 맞서는 형태다. 진짜는 외부 작용에 맞서는 에너지의 형태다. 관성질량을 성립시키려면 현재 상태를 변화시키는데 드는 비용을 자체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내부구조를 갖추어야 한다.


    3은 양팔저울과 같다. 부족하다. 거기에 에너지의 입력과 출력을 더해야 한다. 저울로 무게를 계량하려면 추와 물체가 필요하다. 자연의 어떤 존재는 양팔저울을 구성하는 3에 지렛대의 힘점과 작용점을 더한 5로 성립된다.


    우리는 지구의 중력에 의지하므로 3으로 충분하다고 믿는다. 화살이 촉과, 깃과, 대의 3으로 보인다면 피상적 관찰이고 화살에 실린 힘을 반영하면 화살을 시위에 끼우는 오늬와 활몸의 압력을 견디는 재질까지 5가 된다.


    내부의 내부를 보는 눈을 얻어야 한다. 형태의 내부가 아닌 에너지의 내부를 봐야 한다. 내부의 내부는 자발적 균형이다. 존재는 외부에 맞서 3의 균형을 도출하면서 동시에 자기 내부에서도 3의 균형을 만들어서 5가 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7016
6837 광개토대왕비의 진실 4 김동렬 2024-05-18 1313
6836 자명한 진실 김동렬 2024-05-18 1118
6835 불닭볶음면과 황교익 3 김동렬 2024-05-17 1619
6834 석가의 의미 김동렬 2024-05-16 1111
6833 첫 만남 김동렬 2024-05-16 1020
6832 대란대치 윤석열 1 김동렬 2024-05-16 1386
6831 석가의 방문 김동렬 2024-05-15 1238
6830 윤암 수술법 김동렬 2024-05-14 1254
6829 다르마를 따르라 1 김동렬 2024-05-14 1012
6828 신라 마립간은 무엇인가? 2 김동렬 2024-05-14 891
6827 전쟁과 인간 김동렬 2024-05-13 1172
6826 전략적 사유 김동렬 2024-05-12 1120
6825 소크라테스 김동렬 2024-05-11 1093
6824 방시혁 민희진 윤석열 이준석 김동렬 2024-05-10 1605
6823 프레임을 극복하라 김동렬 2024-05-10 1017
6822 일본과 독일의 성공 이유 김동렬 2024-05-09 1503
6821 직관론 김동렬 2024-05-08 1008
6820 이성과 감성 김동렬 2024-05-07 1122
6819 신임을 잃었으면 물러나야 한다 1 김동렬 2024-05-06 1503
6818 마동석의 성공 방정식 김동렬 2024-05-05 14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