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323 vote 0 2024.02.08 (17:35:41)

    우주 안에 오로지 연결과 단절이 있을 뿐이다. 묶임과 풀림이 있을 뿐이다. 안과 밖이 있을 뿐이다. 그 사이의 방향전환이 있을 뿐이다.


    그 외에 아무것도 없다. 여기가 정상이다. 여기서 모두 만나야 한다. 여기서 전율해야 한다. 비로소 우리는 직관에 확신을 가질 수 있다.


    ###


    우리는 자유를 원하지만 막상 구속에서 풀려나면 할 수 있는 것이 그다지 없다. 묶였다가 풀려날 때는 자신을 묶고 있던 끈을 버리지 말아야 한다. 그것을 유용하게 써먹을 수 있다.


    갇혀 있어야 풀릴 수 있다. 부모의 곁을 떠나 자유를 얻지만 결혼이라는 또 다른 굴레에 묶인다. 직장이라는 또 다른 굴레에 묶인다. 완전한 자유는 없고 부단한 전진이 있을 뿐이다.


    차원은 묶인 것이며 풀어주는 것이 에너지다. 4차원에서 풀린 것은 3차원에 묶이고, 3차원에서 풀린 것은 2차원에 묶이고, 2차원에서 풀린 것은 1차원에 묶인다. 0차원으로 끝난다.


    역사와 인류와 진보와 자연과 문명이라는 끈으로 자신을 묶어야 한다. 묶지 않으면 풀 수 없다. 부단히 풀어가는 것이 인생이다. 단 풀더라도 자신이 원하는 위치에 풀어야 한다.


    묶는 방향과 푸는 방향은 정해져 있다. 우주는 질서가 있다. 묶어야 풀린다. 묶인 것이 풀린 것을 이긴다. 이기려 하면 풀지 못하고 풀려고 하면 내가 원하는 위치에 풀리지 않는다.


    ###


    구조는 다섯이 있다. 질, 입자, 힘, 운동, 량이다. 차원은 다섯이 있다. 4차원에서 0차원까지 있다. 둘은 같다. 에너지 메커니즘의 부속품이다. 에너지가 조립되면 질이다. 입자, 힘, 운동, 량으로 분해되어 쓸 수 없는 에너지가 된다.


    우리는 공간의 차원을 알지만 에너지의 차원을 모르므로 차원개념을 보편적으로 써먹지 못한다. 에너지가 조립된 내막을 모르므로 엔트로피 개념을 현실에 접목시키지 못한다. 차원은 안이다. 안을 보면 흥하고 밖을 보면 망한다.


    사차원 - 잡혀서 끌려가고 있다.
    삼차원 - 안에 갇혀 있다.
    이차원 - 문이 열려 있다.
    일차원 - 밖으로 나가고 있다.
    영차원 - 밖에 나가 있다.


    질 - 주최 측은 흥행의 압박을 받는다.
    입자 - 리더는 책임이 따른다.
    힘 - 하려면 할 수 있다.
    운동 - 지금 하고 있다.
    량 - 끝났다.


    계는 두 체의 안이다.
    체는 계의 바깥이며 두 각의 안이다.
    각은 체의 바깥이며 두 선의 안이다.
    선은 각의 바깥이며 두 점의 안이다.
    점은 선의 바깥이다.


    존재는 안의, 안의, 안의, 안이며 밖의, 밖의, 밖의, 밖이다. 에너지는 집적되어 메커니즘을 이루고 언제나 안에서 밖으로 풀린다. 높은 층위에서 낮은 층위로 간다. 세상 모든 변화는 묶인 것을 푸는 것이다. 우리는 직관할 수 있다.


    ###


    줄다리기를 한다. 줄로 이어지면 사차원 계다. 줄을 끊으면 삼차원 체다. 줄을 놓으면 이차원 각이다. 흩어지면 일차원 선이다. 계를 이탈하면 영차원 점이다.


    줄에는 압력이 걸려 있다. 사차원 계는 압력이 걸려서 붙잡힌 것이다. 줄을 끊고 압력이 사라지면 삼차원 체다. 압력이 풀렸지만 여전히 나란함에 갇혀 있다.


    줄을 놓으면 이차원 각이다. 각은 탈출할 수 있지만 아직 탈출하지는 않았다. 문이 열렸지만 아직 밖으로 나가지는 않았다. 밖으로 나가면 일차원 선이 된다.


    선은 아직 탈출하는 중이고 탈출에 성공하면 영차원 점이다. 차원은 계에 붙잡힌 것이 풀려나는 변화의 절차다. 차원은 어느 분야든 적용되는 보편원리다.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다 차원의 문제다. 붙잡지 않고 할 수 있는 일은 없다. 계속 붙잡고 있으면 안 된다. 부부는 서로를 붙들고 있다. 언젠가는 놓아야 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update 2 김동렬 2024-05-27 2571
6581 이기는 힘 image 김동렬 2023-12-05 1477
6580 인생의 첫 번째 질문 김동렬 2023-12-04 1590
6579 왼쪽 깜박이와 모계사회 김동렬 2023-12-04 1546
6578 유인촌 막 나가네 김동렬 2023-12-03 1823
6577 87년 양김의 진실 김동렬 2023-12-03 1606
6576 윤석열을 위한 변명 1 김동렬 2023-11-30 2825
6575 희귀한 인류 가설 김동렬 2023-11-30 1539
6574 감상주의 신파정치는 버려야 김동렬 2023-11-30 1658
6573 신의 권력 김동렬 2023-11-29 1379
6572 이기는 힘 image 김동렬 2023-11-28 1477
6571 인간의 고통 김동렬 2023-11-28 1392
6570 이탄희의 자멸정치 1 김동렬 2023-11-28 1634
6569 신과 인간 김동렬 2023-11-27 1337
6568 신간 이기는 힘이 나왔습니다 image 4 김동렬 2023-11-26 1628
6567 인간의 충격 김동렬 2023-11-26 1406
6566 짐 차노스와 일론 머스크 김동렬 2023-11-25 1632
6565 테크노 낙관주의 비판 1 김동렬 2023-11-24 1424
6564 백마 타고 오는 사람 1 김동렬 2023-11-24 1734
6563 전두환 11월에 죽다 1 김동렬 2023-11-23 1872
6562 중국 축구 수수께끼 풀렸다 1 김동렬 2023-11-23 18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