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739 vote 0 2024.01.30 (15:14:30)

    커다란 몽둥이를 휘두른다면 효율적이지 않다. 작은 칼로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더 작은 총알과 더 작은 레이저도 괜찮다.


    현대의 과학문명은 나노단위로 조절한다. 진보나 보수를 선택할 것이 아니라 조절해야 한다. 조절의 세계관이 아니면 안 된다.


    누가 조절하는가? 주체가 객체를 조절한다. 주체의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개입을 옹호하는 주체의 사고방식이 아니면 안 된다.


    긍정주의, 낙관주의, 진보주의, 보편주의가 필요한 이유다. 막연한 긍정과 낙관이 아닌 조절의 긍정과 조절의 낙관이라야 한다.


    우리는 둘 중에 하나를 선택하려고 한다. 선택은 받는 자 입장이다. 주는 자는 조절한다. 주는 사람의 조절하는 힘이 권력이다.


    ###


    힘은 힘이 있다. 우리는 힘 앞에서 감탄한다. 힘은 매력이 있다. 우리가 힘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면 더할 나위가 없다.


    에너지는 내부에 감추어져 있다. 안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모르는 것이 인류가 저지르는 모든 오류와 실패의 원인이다.


    메커니즘 안에서는 에너지의 방향전환이 일어난다. 힘을 끌어내고 대칭시켜서 이기는 쪽에 전체를 연동시키면 강력해진다.


    쉬고 있는 사람은 힘이 없다. 벌떡 일어나서 힘을 모으면 강해진다. 갑자기 강해지는 것이 힘이다. 힘의 매력은 조절에 있다.


    힘은 흩을 수도 있고 모을 수도 있다. 잘못 모으면 교착된다. 흩지도 말고 꼬이지도 말고 한 방향으로 연동시키면 증폭된다.


    ###


    궁수는 먼저 활시위를 활몸에 매긴다. 화살을 활시위에 건다. 힘은 숨어 있다. 광장으로 끌어내야 한다.


    모두 한자리에 모여 한 방향으로 정렬해야 한다. 궁수와 활과 활시위와 화살과 과녁이 다 만나야 한다.


    궁수는 활몸과 활시위를 50 대 50으로 대칭시켜야 한다. 둘은 서로 평등해야 한다. 서로 마주 봐야 한다.


    의사결정은 마주 보는 둘이 한 방향을 바라보게 하는 것이다. 하나가 이기고 하나가 져서 의사결정한다.


    힘이 강해지는 것은 연동시키기 때문이다. 원인과 결과 사이에 정렬과 대칭과 연동의 메커니즘이 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8474
6564 백마 타고 오는 사람 1 김동렬 2023-11-24 1746
6563 전두환 11월에 죽다 1 김동렬 2023-11-23 1884
6562 중국 축구 수수께끼 풀렸다 1 김동렬 2023-11-23 1852
6561 클린스만 잘한다 김동렬 2023-11-23 1422
6560 의사결정 원리 김동렬 2023-11-22 1510
6559 한국인들에게 고함 1 김동렬 2023-11-22 1918
6558 허세의 종말 3 김동렬 2023-11-21 1909
6557 인류 최고의 발명 1 김동렬 2023-11-20 2093
6556 클린스만의 명암 김동렬 2023-11-20 1762
6555 시공간은 휘어지지 않는다 김동렬 2023-11-19 1649
6554 LG 구광모 회장 잘할까? 김동렬 2023-11-19 1643
6553 인간의 응답 김동렬 2023-11-16 2281
6552 재벌야구 실패 차명석 야구 성공 김동렬 2023-11-16 1973
6551 신의 진화 김동렬 2023-11-15 1737
6550 인요한님 맞을래요 김동렬 2023-11-14 2385
6549 염경엽 야구의 해악 김동렬 2023-11-14 1754
6548 슈뢰딩거의 고양이 3 김동렬 2023-11-13 2205
6547 인간의 비극 김동렬 2023-11-12 1896
6546 말씀과 약속 김동렬 2023-11-10 1646
6545 문명과 야만의 차이 1 김동렬 2023-11-10 17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