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948 vote 1 2024.01.26 (20:31:43)

    '이것이 있으면 저것이 있다.' 엄마가 있으면 아빠도 있다. '이것이 있으면 저것이 없다.' 엄마가 있으면 다른 엄마는 없다. 부모는 둘이다. 부모는 하나다. 둘을 품은 하나다. 이것이 구조론의 대원칙이다.


    엄마 없이 내가 태어날 수는 없다. 아빠 없이 내가 태어날 수도 없다. 구조는 언제나 둘이 엮여서 함께 일어난다. 부모 외에 부모가 더 있을 수는 없다. 구조는 자리가 지정되며 한 칸에 하나만 들어간다.


    감각 있는 사람이라면 석가의 연기법이 열역학 1법칙 2법칙과 통한다는 사실을 간파할 수 있다. 이것이 있으면 저것이 있다. 1법칙에 따라 에너지는 형태를 바꾸므로 바꾸기 전과 후를 연결시켜야 한다.


    반드시 둘이다. 원인이 있으면 결과가 있다. 바뀐 후를 봤다면 보지 못했어도 바뀌기 전은 명백하다. 둘은 하나다. 이것이 있으면 저것이 없다. 2법칙에 따라 바뀌는 자리는 하나다. 대상을 특정해야 한다.


    사건은 둘로 시작되고 둘은 자리를 바꾸며 자리는 하나다. 우주 안의 모든 변화는 궁극적으로 자리바꿈이다. 우주 안에 다만 에너지의 방향전환이 있을 뿐이다. 우리는 이를 고리로 삼아 추론해야 한다.


    ###


    이것이 있으면 저것이 없다. 자리는 하나다. 신이 있으면 귀신은 없다. 내세도 없고 천국도 없다. 이것이 있으면 저것이 있다. 관계는 둘이다. 신이 있으므로 내가 있다. 내가 있다는 사실이 신이 존재하는 증거다.


    신은 없다. 신이 없으므로 우주가 있다. 우주는 없다. 우주가 없으므로 내가 있다. 나는 없다. 내가 없으므로 의미가 있다. 석가는 자성이 없다고 했다. 내가 없다. 내가 없으므로 내것이 있다. 나의 자유의지가 있다.


    신이 있으므로 우주가 있고, 우주가 있으므로 내가 있고, 내가 있으므로 자유의지가 있다. 의미가 있다. 우리는 신과 우주와 나와 의미를 동시에 볼 수 없다. 나를 보면 우주는 사라지고 우주를 보면 신이 사라진다.


    신을 부정하는 사람은 우주를 보는 사람이다. 우주와 신을 동시에 볼 수 없다. 활과 화살을 동시에 볼 수 없다. 활을 보려면 화살을 볼 수 없고 화살을 보려하면 활을 볼 수 없다. 원인과 결과를 동시에 볼 수 없다.


    깨달은 사람이 그것을 본다. 궁수의 등 뒤에서 보는 사람이 전모를 본다. 높은 층위에서 내려다보는 사람은 궁수와 활과 화살과 과녁과 그것을 보는 자기자신까지 동시에 볼 수 있다. 메커니즘의 눈을 떠야 한다.


[레벨:11]큰바위

2024.01.27 (07:08:53)

문제는 눈을 떴다고 다 보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본다고 다 보는 게 아니라, 진짜 볼 수 있는 사람만 본다는 것. 

구조론은 보이지 않는 구조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기특하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3419
6707 몽준을 조질 것인가? 김동렬 2002-10-23 18586
6706 그림설명 image 김동렬 2011-07-13 18571
6705 바퀴벌레의 아이큐 1 김동렬 2011-06-21 18559
6704 부끄러운 줄 알아야 할 사람들 김동렬 2002-09-10 18517
6703 사랑수님의 시 김동렬 2004-11-24 18491
6702 양들의 모래시계 image 2 김동렬 2010-10-03 18477
6701 이회창진영이 구사하는 최악의 전술 김동렬 2002-12-05 18476
6700 18 금 유감 2005-08-04 18457
6699 신경계정치와 호르몬정치 김동렬 2003-07-07 18457
6698 전체가 먼저 부분은 나중이다. image 9 김동렬 2011-12-20 18449
6697 노무현 학생층 공략작전 대성공조짐 김동렬 2002-09-12 18449
6696 홍규옹은 하늘로 YS는 창에게로 image 김동렬 2002-11-21 18434
6695 편집용 image 김동렬 2011-01-23 18433
6694 완전성의 과학 구조론 김동렬 2008-12-31 18416
6693 김응용과 김성근 108 [2] 김동렬 2010-01-14 18409
6692 추가할 내용 image 김동렬 2010-07-18 18406
6691 곤충채집 겨울방학 숙제 유비송신 2002-12-04 18403
6690 김민새의 공작이라는 증거 김동렬 2002-12-19 18400
6689 누가 그이들을 울게 하는가? image 김동렬 2003-08-28 18395
6688 슬픈 진중권들과 카우치들 김동렬 2005-10-24 183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