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968 vote 1 2024.01.26 (20:31:43)

    '이것이 있으면 저것이 있다.' 엄마가 있으면 아빠도 있다. '이것이 있으면 저것이 없다.' 엄마가 있으면 다른 엄마는 없다. 부모는 둘이다. 부모는 하나다. 둘을 품은 하나다. 이것이 구조론의 대원칙이다.


    엄마 없이 내가 태어날 수는 없다. 아빠 없이 내가 태어날 수도 없다. 구조는 언제나 둘이 엮여서 함께 일어난다. 부모 외에 부모가 더 있을 수는 없다. 구조는 자리가 지정되며 한 칸에 하나만 들어간다.


    감각 있는 사람이라면 석가의 연기법이 열역학 1법칙 2법칙과 통한다는 사실을 간파할 수 있다. 이것이 있으면 저것이 있다. 1법칙에 따라 에너지는 형태를 바꾸므로 바꾸기 전과 후를 연결시켜야 한다.


    반드시 둘이다. 원인이 있으면 결과가 있다. 바뀐 후를 봤다면 보지 못했어도 바뀌기 전은 명백하다. 둘은 하나다. 이것이 있으면 저것이 없다. 2법칙에 따라 바뀌는 자리는 하나다. 대상을 특정해야 한다.


    사건은 둘로 시작되고 둘은 자리를 바꾸며 자리는 하나다. 우주 안의 모든 변화는 궁극적으로 자리바꿈이다. 우주 안에 다만 에너지의 방향전환이 있을 뿐이다. 우리는 이를 고리로 삼아 추론해야 한다.


    ###


    이것이 있으면 저것이 없다. 자리는 하나다. 신이 있으면 귀신은 없다. 내세도 없고 천국도 없다. 이것이 있으면 저것이 있다. 관계는 둘이다. 신이 있으므로 내가 있다. 내가 있다는 사실이 신이 존재하는 증거다.


    신은 없다. 신이 없으므로 우주가 있다. 우주는 없다. 우주가 없으므로 내가 있다. 나는 없다. 내가 없으므로 의미가 있다. 석가는 자성이 없다고 했다. 내가 없다. 내가 없으므로 내것이 있다. 나의 자유의지가 있다.


    신이 있으므로 우주가 있고, 우주가 있으므로 내가 있고, 내가 있으므로 자유의지가 있다. 의미가 있다. 우리는 신과 우주와 나와 의미를 동시에 볼 수 없다. 나를 보면 우주는 사라지고 우주를 보면 신이 사라진다.


    신을 부정하는 사람은 우주를 보는 사람이다. 우주와 신을 동시에 볼 수 없다. 활과 화살을 동시에 볼 수 없다. 활을 보려면 화살을 볼 수 없고 화살을 보려하면 활을 볼 수 없다. 원인과 결과를 동시에 볼 수 없다.


    깨달은 사람이 그것을 본다. 궁수의 등 뒤에서 보는 사람이 전모를 본다. 높은 층위에서 내려다보는 사람은 궁수와 활과 화살과 과녁과 그것을 보는 자기자신까지 동시에 볼 수 있다. 메커니즘의 눈을 떠야 한다.


[레벨:11]큰바위

2024.01.27 (07:08:53)

문제는 눈을 떴다고 다 보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본다고 다 보는 게 아니라, 진짜 볼 수 있는 사람만 본다는 것. 

구조론은 보이지 않는 구조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기특하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4989
2511 돈오 그리고 스타일 image 1 김동렬 2012-11-05 10766
2510 스타일을 바꾸어 세상을 바루자 image 18 김동렬 2012-11-04 13132
2509 돈오의 의미 image 2 김동렬 2012-11-04 10898
2508 완전체의 이미지 image 김동렬 2012-11-01 12174
2507 선문답의 이해 image 2 김동렬 2012-11-01 20975
2506 음악의 깨달음 image 5 김동렬 2012-10-31 23711
2505 관계를 창의하라 image 1 김동렬 2012-10-29 49023
2504 시간으로 완성하라 image 2 김동렬 2012-10-29 11099
2503 달이 떠오르다 image 1 김동렬 2012-10-27 10625
2502 돈오돈수란 무엇인가? image 1 김동렬 2012-10-27 12763
2501 돈 찍어내면 된다. 5 김동렬 2012-10-23 11440
2500 관계의 종류 image 1 김동렬 2012-10-22 13828
2499 시의 문법 김동렬* 2012-10-21 10026
2498 약한 고리는 무엇인가? image 김동렬* 2012-10-21 8576
2497 관계란 무엇인가 ? image 김동렬* 2012-10-21 11342
2496 상호작용의 밀도를 높여라 image 1 김동렬* 2012-10-21 8643
2495 의미를 버리고 관계를 얻어라 김동렬* 2012-10-21 9421
2494 캐릭터의 족보 image 김동렬* 2012-10-21 8686
2493 완전성이란 무엇인가? image 김동렬* 2012-10-21 8732
2492 스타일은 자기다움이다 image 김동렬* 2012-10-21 91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