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041 vote 1 2024.01.26 (20:31:43)

    '이것이 있으면 저것이 있다.' 엄마가 있으면 아빠도 있다. '이것이 있으면 저것이 없다.' 엄마가 있으면 다른 엄마는 없다. 부모는 둘이다. 부모는 하나다. 둘을 품은 하나다. 이것이 구조론의 대원칙이다.


    엄마 없이 내가 태어날 수는 없다. 아빠 없이 내가 태어날 수도 없다. 구조는 언제나 둘이 엮여서 함께 일어난다. 부모 외에 부모가 더 있을 수는 없다. 구조는 자리가 지정되며 한 칸에 하나만 들어간다.


    감각 있는 사람이라면 석가의 연기법이 열역학 1법칙 2법칙과 통한다는 사실을 간파할 수 있다. 이것이 있으면 저것이 있다. 1법칙에 따라 에너지는 형태를 바꾸므로 바꾸기 전과 후를 연결시켜야 한다.


    반드시 둘이다. 원인이 있으면 결과가 있다. 바뀐 후를 봤다면 보지 못했어도 바뀌기 전은 명백하다. 둘은 하나다. 이것이 있으면 저것이 없다. 2법칙에 따라 바뀌는 자리는 하나다. 대상을 특정해야 한다.


    사건은 둘로 시작되고 둘은 자리를 바꾸며 자리는 하나다. 우주 안의 모든 변화는 궁극적으로 자리바꿈이다. 우주 안에 다만 에너지의 방향전환이 있을 뿐이다. 우리는 이를 고리로 삼아 추론해야 한다.


    ###


    이것이 있으면 저것이 없다. 자리는 하나다. 신이 있으면 귀신은 없다. 내세도 없고 천국도 없다. 이것이 있으면 저것이 있다. 관계는 둘이다. 신이 있으므로 내가 있다. 내가 있다는 사실이 신이 존재하는 증거다.


    신은 없다. 신이 없으므로 우주가 있다. 우주는 없다. 우주가 없으므로 내가 있다. 나는 없다. 내가 없으므로 의미가 있다. 석가는 자성이 없다고 했다. 내가 없다. 내가 없으므로 내것이 있다. 나의 자유의지가 있다.


    신이 있으므로 우주가 있고, 우주가 있으므로 내가 있고, 내가 있으므로 자유의지가 있다. 의미가 있다. 우리는 신과 우주와 나와 의미를 동시에 볼 수 없다. 나를 보면 우주는 사라지고 우주를 보면 신이 사라진다.


    신을 부정하는 사람은 우주를 보는 사람이다. 우주와 신을 동시에 볼 수 없다. 활과 화살을 동시에 볼 수 없다. 활을 보려면 화살을 볼 수 없고 화살을 보려하면 활을 볼 수 없다. 원인과 결과를 동시에 볼 수 없다.


    깨달은 사람이 그것을 본다. 궁수의 등 뒤에서 보는 사람이 전모를 본다. 높은 층위에서 내려다보는 사람은 궁수와 활과 화살과 과녁과 그것을 보는 자기자신까지 동시에 볼 수 있다. 메커니즘의 눈을 떠야 한다.


[레벨:11]큰바위

2024.01.27 (07:08:53)

문제는 눈을 떴다고 다 보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본다고 다 보는 게 아니라, 진짜 볼 수 있는 사람만 본다는 것. 

구조론은 보이지 않는 구조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기특하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9429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5699
6621 생각의 도구 1 김동렬 2023-01-18 1873
6620 구조론은 김동렬 2023-08-30 1876
6619 직관의 힘 김동렬 2023-12-06 1876
6618 영웅 죽이기 스티브 잡스편 김동렬 2023-12-17 1877
6617 훈요십조의 진실 image 김동렬 2023-12-13 1878
6616 긍정적 사고의 힘 1 김동렬 2023-12-21 1882
6615 연결문제 김동렬 2023-02-12 1884
6614 유인촌 막 나가네 김동렬 2023-12-03 1884
6613 권력과 의미 김동렬 2023-12-18 1884
6612 에너지란 무엇인가? 김동렬 2023-08-27 1885
6611 길 힘 법 김동렬 2023-09-10 1885
6610 부정과 긍정 김동렬 2023-12-19 1893
6609 구조문제 김동렬 2023-01-13 1894
6608 도구주의 관점 김동렬 2022-06-22 1901
6607 차별과 증오의 야만인 정치 김동렬 2023-07-23 1904
6606 힘과 짐 김동렬 2023-08-16 1907
6605 중국 축구 수수께끼 풀렸다 1 김동렬 2023-11-23 1907
6604 왼손잡이 문제 김동렬 2022-05-22 1909
6603 본질지향에서 도구지향으로 김동렬 2022-04-23 1910
6602 진화론의 완성도 김동렬 2022-12-08 1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