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011 vote 0 2024.01.17 (19:09:47)

      
    조르주 멜리에스가 영화에 편집술을 처음 사용했을 때 사람들은 큰 충격을 받았다. 필름을 잘라 붙이면 갑작스런 장면전환에 관객들이 당황하지 않을까? 멀미를 하지 않을까? 놀랍게도 아무런 문제가 없었다. 진정한 영화의 탄생이다.


    뇌의 자동보정 기능 때문이다. 인간의 뇌는 자기를 속이는데 능하다. 인간은 자신이 못 본다는 사실을 못 본다. 눈동자의 맹점과 같다. 시각은 보정해도 되는데 생각을 보정하면? 뇌가 편집술을 구사하여 허구를 창작한다면? 위태롭다.


    각종 음모론과 망상과 확증편향과 편견의 원인이다. 뇌는 많은 에너지를 사용한다. 비용을 들인 만큼 보상을 받아야 한다. 뇌가 지금까지 투자한 것에 본전을 뽑으려면? 의미 없는 부스러기 생각을 연결하여 없는 의미를 만들어 넣는다.


    왜? 흥분했기 때문이다. 그냥 꿈인데 예지몽으로 포장해야 손해를 덜 본다. 인간이 오판하는 이유는 흥분하기 때문이다. 호르몬이 분비되기 때문이다. 에너지의 손실을 줄이려고 하기 때문이다. 부스러기 생각을 버리지 않기 때문이다.


    쓰레기 모으는 할머니가 있다. 가끔 뉴스에 나온다. 왜 버리지 못할까? 생각을 버리지 못한다. 흥분상태의 관성력을 유지하려고 하기 때문이다. 생각을 연결하여 한 줄에 꿰는 긍정적 사고를 못하면 이렇게 된다. 긍정이 인간을 구한다.


    ###


    인간이 나쁜 짓을 하는 이유는 타인에게 말을 걸고 싶은데 말을 걸지 못하기 때문이다. 흥분했다. 말해야 한다. 못한다. 화가 난다. 괴롭힌다. 괴롭히면 상대가 내게 먼저 질문해 온다. '너 왜 그래?' 말을 붙이는데 성공했다. 인간이 악해지는 이유다.


    쓰레기를 버리지 못하는 이유는 긍정을 하고 싶은데 긍정을 못하기 때문이다. 동력원에 연결시키지 못하므로 일단 모아놓는다. 모아두면 쓰레기가 먼저 내게 말을 걸겠지. 이웃 사람이 말을 걸어준다. 방송국에서 찾아온다. '왜 그러세요?' 성공이다.


    권력은 매개다. 매개는 붙잡는 것이다. 긍정은 붙잡는 것이고 부정은 단절하는 것이다. 내가 먼저 상대를 붙잡지 못하므로 상대가 먼저 내게로 손길을 내밀어 나를 붙잡도록 한다. 상대를 괴롭히는 방법을 쓴다. 범죄를 저지르면 교도소가 붙잡아준다.


    붙잡는 것은 매개, 매질, 촉매다. 매媒는 붙잡는 것이다. 붙잡는 것은 밸런스다. 닫힌계 안에서 작동하는 구조의 축과 대칭이 붙잡는다. 메커니즘이 붙잡고 에너지의 흐름이 붙잡고 권력이 붙잡는다. 도마는 생선을 붙잡고 모루는 쇠붙이를 붙잡는다.


    인간은 붙잡히려고 하고 또 붙잡으려고 한다. 가족과 집단과 국가에 붙잡히고 이념과 진영에 붙잡힌다. 자녀를 붙잡고 연인을 붙잡고 동료를 붙잡고 돈을 붙잡는다. 음모론과 확증편향과 망상으로 붙잡으려고 한다. 진정한 긍정으로 붙잡을 수 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9669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9728
5939 사건의 퍼즐 맞추기 김동렬 2021-12-03 2966
5938 설의 어원 김동렬 2022-01-31 2966
5937 구조론은 정답이 있다 1 김동렬 2019-10-27 2968
5936 다윈의 우상 1 김동렬 2020-11-23 2971
5935 인간훈련 1 김동렬 2023-03-06 2972
5934 이기는 방향으로 전진하라 김동렬 2021-01-16 2975
5933 존재론과 인식론 2 김동렬 2020-03-02 2976
5932 구조론은 열린사상이다. 김동렬 2021-01-10 2976
5931 에디슨과 테슬라 그리고 JP 모건 5 김동렬 2022-02-09 2976
5930 잔 다르크와 윤석열 김동렬 2023-04-20 2976
5929 김건희 마녀사냥 문제 있다 김동렬 2023-12-14 2976
5928 대선 한 달 앞. 이재명의 전략은? 1 김동렬 2022-02-11 2978
5927 차별본능의 극복 김동렬 2023-07-09 2978
5926 과학은 세는 것이다 김동렬 2021-12-30 2979
5925 주체의 언어 1 김동렬 2019-11-25 2981
5924 패러다임의 전환 1 김동렬 2020-03-19 2981
5923 육하원칙 김동렬 2023-03-24 2981
5922 일원론 이원론 다원론 image 김동렬 2021-07-03 2982
5921 데카르트의 우상 1 김동렬 2020-05-04 2983
5920 엔트로피 1초 만에 이해하자 1 김동렬 2020-09-12 29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