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527 vote 0 2024.01.14 (11:46:26)

    방향이 중요하다. 방향은 연결한다. 연결하면 커지고 커지면 이긴다. 방향은 공격 아니면 수비다. 공격은 하나만 뚫으면 이기고 수비는 다 막아야 이긴다. 공격은 하나만 뚫으면 이기므로 널리 연결하고 수비는 다 막아야 이기므로 지역방어로 흩어진다.


    공격과 수비는 대등하나 공격이 유리하다. 무승부면 교착되고 수비가 이기면 대결은 일어나지 않는다. 그럴 때 우주가 죽고, 생명이 죽고, 문명이 죽는다. 공수가 대등한 이유는 공격 측이 이기되 속도를 조절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는 우주의 근본원리다.


    산의 정상은 하나이고 기슭은 다양하다. 보편성과 특수성은 동전의 양면이다. 그런데 왜 사람들은 획일성을 싫어하고 다양성만 좋아할까? 자신을 약자로 규정하고 방어하려고 하는 부정적 사고 때문이다. 공격자의 긍정주의, 낙관주의로 갈아타야 한다.


    산의 정상은 기슭을 통제하나 기슭은 정상에 맞설 수 없다. 정상에서 모두 만나 밸런스를 이루지만 기슭은 흩어져서 밸런스가 없다. 정상은 기슭을 향해 지렛대를 사용하지만 기슭은 어쩔 도리가 없다. 모두 연결된 정상의 보편성에 공격 주도권이 있다.


    지식인은 공격자다. 진리는 공격이다. 과학은 공격이다. 필연과 우연, 진보와 보수, 선과 악은 동전의 양면이나 조절장치는 필연에 있고, 진보에 있고, 선에 있다. 지식인이 정상에 서서 보편성의 조절장치를 장악하고 게임을 주도하면서 긍정해야 한다.


   ###


    사람은 한 사람씩 있고, 사물은 한 개씩 있고, 나무는 한 그루씩 있다. 음식은 한 그릇씩 팔고 과자는 한 봉지씩 판다. 그것은 단위다. 어디를 가나 단위가 있다. 인간이 세기 좋도록 만들어져 있다. 우리는 단위 중심으로 사고한다. 그것이 편리하기 때문이다.


    단위는 존재의 진실이 아니다. 단위는 인간 마음속에 있다. 자연은 색色이 아니라 공空이다. 자연은 단위가 없다. 대신 메커니즘이 있다. 원인과 결과다. 결정자와 전달자다. 원인은 결정하는 메커니즘이고 결과는 전달하는 단위다. 단위는 잠정적인 형태다.


    굴러다니는 돌이 정확히 한 개로 되어 있는건 아니다. 흙이 정확히 한 무더기로 있는게 아니다. 부서져서 흙인지 뭉쳐서 돌인지 애매한 상태로 있다. 식물도 많은 경우 어디까지가 한 그루인지 명확히 나눠지지 않는다. 단위는 인간의 희망사항에 불과하다.


    세상은 주는 자와 받는 자의 대칭이다. 단위는 받는 자 입장이다. 받는 자는 결정권이 없다. 주는 자는 메커니즘으로 존재한다. 주는 자는 일정한 단위가 없고 상대를 봐가며 그때그때 형태를 만든다. 에너지는 받는 자의 형편에 맞게 자신을 조절하여 준다.


    주는 자는 자신을 조절하므로 고정된 단위가 없다. 에너지는 닫힌계를 이루고 내부에 밸런스와 지렛대를 만들어 조절한다. 밸런스로 동력을 모으고 지렛대로는 힘을 전달한다. 단위가 아니라 단위를 만드는 자궁이다. 메커니즘 중심의 사고를 익혀야 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960 구조론의 차원개념 image 김동렬 2020-04-07 2797
959 존재론과 인식론 2 김동렬 2020-03-02 2797
958 신의 입장 4 김동렬 2020-02-08 2797
957 단을 완성하라 김동렬 2021-03-02 2796
956 인간훈련 1 김동렬 2023-03-06 2795
955 LK99가 윤석열 잡는다 1 김동렬 2023-08-03 2793
954 메커니즘을 이해하라 8 김동렬 2020-09-03 2792
953 속씨식물의 구조혁명 2 김동렬 2019-11-12 2790
952 사건은 머리와 꼬리가 있다 2 김동렬 2021-05-26 2789
951 소크라테스의 빼기 김동렬 2021-09-04 2788
950 추신수와 이소연 김동렬 2023-04-07 2786
949 설의 어원 김동렬 2022-01-31 2784
948 세상은 구조다. 3 김동렬 2019-09-25 2784
947 모든 질문의 어머니 김동렬 2021-12-18 2783
946 일원론의 사유 1 김동렬 2020-07-18 2781
945 차원 개념의 그림풀이 image 1 김동렬 2020-04-05 2781
944 구조론 입문 image 김동렬 2020-10-26 2780
943 의리는 공존의 룰이다 3 김동렬 2020-02-14 2780
942 성탄절의 의미 김동렬 2023-12-24 2778
941 우주의 건축법 1 김동렬 2019-12-27 27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