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4696 vote 0 2024.01.14 (11:46:26)

    방향이 중요하다. 방향은 연결한다. 연결하면 커지고 커지면 이긴다. 방향은 공격 아니면 수비다. 공격은 하나만 뚫으면 이기고 수비는 다 막아야 이긴다. 공격은 하나만 뚫으면 이기므로 널리 연결하고 수비는 다 막아야 이기므로 지역방어로 흩어진다.


    공격과 수비는 대등하나 공격이 유리하다. 무승부면 교착되고 수비가 이기면 대결은 일어나지 않는다. 그럴 때 우주가 죽고, 생명이 죽고, 문명이 죽는다. 공수가 대등한 이유는 공격 측이 이기되 속도를 조절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는 우주의 근본원리다.


    산의 정상은 하나이고 기슭은 다양하다. 보편성과 특수성은 동전의 양면이다. 그런데 왜 사람들은 획일성을 싫어하고 다양성만 좋아할까? 자신을 약자로 규정하고 방어하려고 하는 부정적 사고 때문이다. 공격자의 긍정주의, 낙관주의로 갈아타야 한다.


    산의 정상은 기슭을 통제하나 기슭은 정상에 맞설 수 없다. 정상에서 모두 만나 밸런스를 이루지만 기슭은 흩어져서 밸런스가 없다. 정상은 기슭을 향해 지렛대를 사용하지만 기슭은 어쩔 도리가 없다. 모두 연결된 정상의 보편성에 공격 주도권이 있다.


    지식인은 공격자다. 진리는 공격이다. 과학은 공격이다. 필연과 우연, 진보와 보수, 선과 악은 동전의 양면이나 조절장치는 필연에 있고, 진보에 있고, 선에 있다. 지식인이 정상에 서서 보편성의 조절장치를 장악하고 게임을 주도하면서 긍정해야 한다.


   ###


    사람은 한 사람씩 있고, 사물은 한 개씩 있고, 나무는 한 그루씩 있다. 음식은 한 그릇씩 팔고 과자는 한 봉지씩 판다. 그것은 단위다. 어디를 가나 단위가 있다. 인간이 세기 좋도록 만들어져 있다. 우리는 단위 중심으로 사고한다. 그것이 편리하기 때문이다.


    단위는 존재의 진실이 아니다. 단위는 인간 마음속에 있다. 자연은 색色이 아니라 공空이다. 자연은 단위가 없다. 대신 메커니즘이 있다. 원인과 결과다. 결정자와 전달자다. 원인은 결정하는 메커니즘이고 결과는 전달하는 단위다. 단위는 잠정적인 형태다.


    굴러다니는 돌이 정확히 한 개로 되어 있는건 아니다. 흙이 정확히 한 무더기로 있는게 아니다. 부서져서 흙인지 뭉쳐서 돌인지 애매한 상태로 있다. 식물도 많은 경우 어디까지가 한 그루인지 명확히 나눠지지 않는다. 단위는 인간의 희망사항에 불과하다.


    세상은 주는 자와 받는 자의 대칭이다. 단위는 받는 자 입장이다. 받는 자는 결정권이 없다. 주는 자는 메커니즘으로 존재한다. 주는 자는 일정한 단위가 없고 상대를 봐가며 그때그때 형태를 만든다. 에너지는 받는 자의 형편에 맞게 자신을 조절하여 준다.


    주는 자는 자신을 조절하므로 고정된 단위가 없다. 에너지는 닫힌계를 이루고 내부에 밸런스와 지렛대를 만들어 조절한다. 밸런스로 동력을 모으고 지렛대로는 힘을 전달한다. 단위가 아니라 단위를 만드는 자궁이다. 메커니즘 중심의 사고를 익혀야 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0444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8437
924 노무현의 사람들이 좋다. 김동렬 2002-10-22 15390
923 대화가 통하는 사람만 여기여기 붙어라 김동렬 2006-06-21 15390
922 김동민 진중권논쟁 아직도 안끝났나? 김동렬 2002-10-04 15393
921 맹자의 직통, 순자의 단계 5 김동렬 2009-11-06 15398
920 박근혜 알바정치 문제있다 김동렬 2005-05-12 15401
919 정동영 욕하지 마라. 김동렬 2006-06-07 15402
918 Re..성명서 하나로 되겠어요? 김동렬 2002-10-18 15413
917 [노하우 펌] 린이아빠의 대발견 김동렬 2002-11-26 15415
916 눈을 뜨시오! image 김동렬 2003-07-19 15415
915 게임 끝 김동렬 2006-05-24 15415
914 나는 왜 사랑을 말하는가? 김동렬 2008-03-10 15415
913 어차피 재검표 할 거면... 한겨레 2002-12-25 15416
912 우리는 스님을 잃었다 image 김동렬 2005-01-25 15416
911 우리의 갈 길은 오직 이 길 뿐 김동렬 2002-10-29 15419
910 재미로 하는 퍼즐 맞추기 무림거사 2002-12-06 15424
909 Re..정몽준이 내치대통령을 바라는데 어떡하죠? 손&발 2002-11-26 15426
908 김정일 두손 두발 다들었나? image 김동렬 2003-08-02 15427
907 자연은 일방통행이다. image 김동렬 2011-08-01 15428
906 저항적 지역주의로 패권적 지역주의를 해결한다? image 김동렬 2003-05-01 15431
905 누가 DJ를 계승하는가? 김동렬 2005-11-08 154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