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5162 vote 0 2024.01.06 (18:14:39)

    왜 산을 오르는가? 이기려고 오른다. 다음 단계를 결정하는 권한을 쥐는 것이 이기는 것이다. 산이 인간을 결정하도록 내버려둘 수 없으므로 인간이 산을 결정한다. 그 산이 과연 오를만한 가치가 있는 산인지는 산에 올라 결정권을 획득한 다음에 판단할 일이다.


    이기면 다음 단계를 결정하는 힘을 얻는다. 비로소 옳고 그름을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지면 그것이 과연 옳았는지 알 수가 없다. 그러므로 이겨야 한다. 이기지 못하면 지고 지면 당한다. 지면 의사결정권을 뺏긴다. 옳고 그름을 판단할 수 없다. 발언권을 잃는다.


    왜 사는가? 이기는 것이 사는 것이다. 오늘 하루를 이기면 하루치만큼 살아져 있다. 지면 귀찮아진다. 다른 것이 나를 침범한다. 모르는 것이 나를 결정한다. 외부의 힘에 시달린다. 그 고통을 피하게 된다. 이겨서 얻는 이득은 불확실하나 지면 피해는 확실하다.


    가만있으면 흐르는 물살에 떠밀리게 된다. 제 위치를 지키려면 조금이라도 나아가야 한다. 한 번 나아가면 계속 나아가게 된다. 그렇게 산다. 이기는 것이 존재하는 것이다. 지면 나의 존재가 부정된다. 그러므로 산다는 것은 도전을 긍정하고 진보하는 것이다.


    생명은 호흡해야 이긴다. 문명은 진보해야 이긴다. 삶은 부름에 응답해야 이긴다. 사는 것은 부단히 이기는 것이다. 지는 것은 죽는 것이다. 무엇을 결정하든 내가 결정하는 것이 이기는 것이다. 남이 결정하면 진다. 옳고 그름의 판단은 결정권을 얻은 다음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1363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9760
1066 구조론사람의 자격 1 김동렬 2019-12-05 2998
1065 자기소개의 문제 1 김동렬 2019-06-18 2996
1064 회원가입 및 등업요건 변경안내 4 김동렬 2020-05-11 2996
1063 전광훈이 폭주하는 이유 김동렬 2023-04-11 2995
1062 구조론은 언어감각이다 3 김동렬 2020-01-19 2995
1061 손가락이 다섯인 이유 김동렬 2021-11-17 2994
1060 차원의 이해 1 김동렬 2020-02-25 2994
1059 소수자가 이긴다 김동렬 2023-03-21 2993
1058 대칭성의 이해 2 김동렬 2020-02-20 2992
1057 자유에는 방향이 있다 김동렬 2021-01-10 2991
1056 진보는 표면에서 일어난다 1 김동렬 2019-11-21 2991
1055 개천절에 대한 생각 김동렬 2022-10-03 2989
1054 상호작용에 답이 있다 김동렬 2021-09-13 2988
1053 삼위일체의 본질 2 김동렬 2020-03-27 2988
1052 욕망과 구조론 1 김동렬 2020-08-19 2982
1051 대중의 권력화가 문제다 1 김동렬 2019-12-23 2982
1050 윤석열이 버티는 이유 김동렬 2023-08-09 2981
1049 진중권류 살인술 3 김동렬 2022-10-18 2981
1048 일원 이차 다양 2 김동렬 2021-10-14 2981
1047 통제가능성으로 사유하기 4 김동렬 2020-02-19 29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