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917 vote 0 2024.01.04 (16:28:59)


    말을 똑바로 하면 모든 문제가 풀린다. 인류 문명의 가장 큰 장벽은 언어다. 인간은 아직 언어를 모른다. 인간은 양자역학을 이해하지 못 하는 게 아니라 이해라는 말이 무슨 뜻인지를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양자역학을 이해한 사람은 아무도 없다는 주장을 나는 이해할 수가 없다. 어떻게 이해를 못 할 수가 있는가? 알파벳을 모르는 사람은 영어로 된 문장을 읽을 수 없다. 그건 이해를 못 한 것이 아니고 못 읽는 거다. 장님이 국어책을 읽지 못한다고 해서 이해 못 한다고 말할 수는 없지 않은가?


    인간은 보지 못한 것을 이해하지 못한다. 양자를 눈으로 본 사람이 있는가? 없다. 인간은 양자의 희미한 흔적만을 볼 수 있을 뿐이며 사람이 지나간 다음 그 발자국만 보고 거기서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이해할 수는 없는 것과 같다. 그것은 제대로 보지 못한 것이지 이해 못한 것이 아니다.


    선로 위를 1차원으로 움직이는 개미는 2차원을 이해할 수 없다. 사실은 볼 수가 없다. 구조론으로 보면 무조건 차원이 내려가야 한다. 4차원에서 3차원을 보고, 3차원에서 2차원을 보고, 2차원에서 1차원을 본다. 인간은 3차원을 보지만 실제로는 2차원을 보고 뇌가 3차원으로 해석한다. 

    

    인간이 양자역학을 이해한다는 것은 극장에서 영화를 보고 배우와 감독이 어떻게 촬영했는지 짐작하는 것이다. 스크린을 보고 촬영장 모습을 상상할 수 있지만 그것은 추측에 불과하다. 그런데 추측은 가능하다. 인간은 양자 메커니즘을 정확히 이해할 수 없지만 상당히 추측할 수 있다.


    그러려면 장의 개념을 받아들여야 한다. 필름과 스크린은 다르다는 전제를 받아들여야 한다. 아인슈타인처럼 필름이 곧 스크린이라고 믿으면 피곤하다. 아인슈타인이 좋아하는 숨은 변수 개념을 도입하자. 양자 말고 그 위에 하나가 더 있으며 양자는 더 높은 차원에서 투사된 그림자다.


    우리가 보는 것은 실제 배우가 아니고 빛이 배우를 지나가며 그림자를 만든 것이다. 스크린에 비친 상은 실제 배우가 아니지만 실제 배우의 모습은 맞다. 이런게 이해가 안 되나? 만약 이해가 안 된다면 메커니즘을 모르는 것이다. 양자역학을 모르는게 아니라 존재를 모르는 것이다. 


    장 개념은 거리가 무시되는 세계다. 풍선에 압력이 가득 찬 상태에서 풍선 내부에 어떤 일이 일어나면 그 사실은 닫힌계 내부 전체에 전달된다. 만원버스에서 한 사람이 더 타면 모두가 그것을 느낀다. 손흥민이 골을 넣으면 시청자 1억 명이 동시에 그것을 안다. 그것이 장의 세계다.


    현실에 분명히 4차원 세계가 존재하므로 양자역학의 세계 역시 이와 비슷할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3차원 입체와는 분명히 다르다. 3차원 세계는 옆 칸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모른다. 3차원은 에너지가 가로, 세로, 높이 세 방향으로 전달되는 것이다. 4차원은 네 방향으로 온다.


    왜 이게 중요한가 하면 다른 모든 문제도 마찬가지이기 때문이다. 모든 이해가 안 되는 것은 차원을 높이면 즉 숨은 변수를 추가하면 풀린다. 그것은 무엇인가? 매개다. 매개는 붙잡는 것이다. 무언가 그것을 붙잡고 있다. 예컨대 인형극을 한다면 사람이 위에서 줄에 매달아 붙잡고 있다.


    모든 존재는 붙잡힌 존재이며 우리는 붙잡힌 것을 볼 수 있을 뿐 붙잡는 것을 볼 수 없다. 그러나 그것이 있다는 사실은 추론하여 알 수 있다. 인형극을 본 사람이 인형이 어떻게 말을 하는지 이해할 수 없다고 말하면 난감하다. 정확히 규명할 수 없을 뿐 대략적인 이해는 가능하다.


    무엇이 인간을 붙잡는가? 돈, 친구, 세력, 권력, 영역, 매력, 세력, 호르몬, 도파민, 흥분이다. 어떤 사람이 어떤 행동을 하는 이유는 첫째, 이겨먹으려고, 둘째, 이겨먹는데 필요한 힘 때문이다. 셋째, 힘을 주는 것은 돈, 친구, 세력, 권력, 호르몬이다. 쟤는 관종짓을 왜 하지? 흥분해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5555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5368
6832 꿈 속에서도 당신이 원하는 것 image 김동렬 2002-10-02 14224
6831 Re..다음이 진보주의적? 김동렬 2002-10-02 13238
6830 정말 몰라서 물어보는건데요 아다리 2002-10-03 14321
6829 저도 궁금. 민용이 2002-10-03 16538
6828 Re..신문사 뺏길까봐 그러지요 김동렬 2002-10-03 16692
6827 민주주의란 무엇인가? 김동렬 2002-10-03 13639
6826 허재와 이명훈의 만남 image 김동렬 2002-10-04 20847
6825 행정수도 이전 대박이다 김동렬 2002-10-04 16493
6824 김동민 진중권논쟁 아직도 안끝났나? 김동렬 2002-10-04 15449
6823 Re..결국은 아다리 2002-10-04 12349
6822 동열 박사님 질문있습니다 김준수 2002-10-04 14564
6821 김완선의 눈 아다리 2002-10-04 16835
6820 Re.. 내무반에서 김완선 나왔다 하면 난리났죠 예비군 2002-10-04 14309
6819 Re..미는 객관적인 실체가 있는 사물의 속성임 김동렬 2002-10-04 13584
6818 Re..완전과 불완전의 차이아닐까요? 꿈꾸는 자유인 2002-10-04 15104
6817 Re..밀레의 만종이 아름답다고? 김동렬 2002-10-05 15775
6816 아름다움이란 무엇인가? 김동렬 2002-10-05 18064
6815 콜라와 햄버거 치킨과 맥주 아다리 2002-10-05 16316
6814 Re.. 그런거 같기도 하네요 아다리 2002-10-05 14382
6813 Re..에코 혹시 아십니까 아다리 2002-10-05 133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