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824 vote 0 2024.01.03 (15:28:26)

    구조론의 답은 긍정주의, 낙관주의, 보편주의, 진보주의다. 단 긍정은 대승의 긍정이어야 한다. 커다란 에너지 흐름에 올라탄 다음의 낙관이어야 한다. 궁벽한 곳에서의 긍정과 낙관은 위험하다. 왜냐하면 그것은 권력의 낙관, 권력의 긍정이기 때문이다.


    인간이 동물과 다른 점은 권력이 있다는 사실이다. 권력은 외부의 힘을 동원한다. 외부의 힘이 중요하다. 내부의 힘은 폭력이 된다. 힘이 내부로 가면 깨진다. 긍정주의, 낙관주의가 보편주의, 진보주의로 가는 이유다. 힘이 외부로 뻗어가면 보편 진보다.


    외부의 힘을 쓰려면 타인을 긍정하고 공존해야 한다. 문을 열어야 한다. 그리고 외부의 힘을 이겨야 한다. 낙관해야 이긴다. 외부의 힘을 쓰려면 균형감각이 필요하다. 유도선수가 상대방의 힘을 이용하려면 적절히 힘을 조절하여 밸런스를 이루어야 한다.


    권력은 외부의 힘을 빌린다. 군주는 국민의 힘을 빌린다. 지구 생태계는 태양의 힘을 빌린다. 인간은 외부의 힘을 긍정하지 않을 수 없다. 동물은 외부의 힘을 빌리지 못한다. 노예는 외부의 협조를 구하지 못한다. 권력을 가진 자가 외부의 힘을 빌릴 수 있다.


    권력 없는 자가 외부의 힘을 이용하려고 하면 밟힌다. 먹힌다. 사슴은 사자의 힘을 빌릴 수 없다. 긍정은 외부 힘의 긍정, 권력의 긍정, 타인과 공존을 추구하는 진보의 긍정이 될 수밖에 없다. 그러지 않으면 먹힌다. 인간은 신을 긍정하지 않을 수가 없다.


    ###


    신과 권력은 같다. 내가 동원할 수 있는 내 바깥의 힘이 신이다. 혹은 권력이다. 그것은 본래 내 것이 아니므로 조심스럽다. 남의 힘을 사용하려면 그 힘을 이겨야 한다. 무사가 칼을 이기지 못하면 다친다. 인간이 신의 힘을 사용하려면 신을 이겨야만 한다.


    인간은 신을 이길 수 없지만 인간의 대표자는 운명의 한순간에 신과 하나가 된다. 인간은 이기는 팀에 드는 방법으로 신과 하나가 될 수 있다. 신의 부름에 응답할 수 있다. 다음에 올 누군가를 불러낼 수도 있다. 신은 내 바깥의 타자가 아니기 때문이다.


    권력은 인간의 자유의지다. 권력이 없으면 자유의지가 없다. 노예는 자유의지가 없다. 동물은 자유의지가 없다. 권력은 밖에서 들어오는 힘이다. 그러므로 인간은 자유의지가 있다. 바깥 세계와 연결할지 단절할지를 내가 스스로 결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문을 열면 찬바람이 들어온다. 권력은 밖에서 들어오므로 조심스럽게 문을 열어야 한다. 대문을 활짝 열 것인지 쪽문을 조금 열 것인지 그것을 결정하는 것이 자유의지다. 문을 닫으면 죽고 문을 열면 진다. 내가 이길 수 있는 만큼 속도를 조절해야 한다.


    엄마가 없으면 모두가 적이다. 불안해서 아무것도 할 수가 없다. 아기는 엄마를 믿고 권력을 행사한다. 그것은 엄마의 힘을 빌린 것이다. 권력은 외부에서 받아들이므로 능동적, 진보적, 적극적, 낙관적이어야 한다. 외부의 힘을 긍정하지 않으면 안 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8271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001
6260 무속인 쿠데타 빨갱이 김동렬 2023-10-31 2475
6259 공감은 폭력이다 1 김동렬 2022-12-16 2477
6258 삼국지 인물론 김동렬 2023-11-01 2479
6257 박정희 귀신이 무서워 김동렬 2022-03-26 2481
6256 플라톤의 동굴 image 1 김동렬 2022-06-18 2483
6255 역설의 세계 김동렬 2022-06-11 2483
6254 구조론의 출발점 2 김동렬 2022-12-19 2487
6253 검수완박 대환영 윤석열 1 김동렬 2022-04-20 2488
6252 신데렐라 이야기 1 김동렬 2022-12-21 2488
6251 세상은 점이다 2 김동렬 2020-03-01 2493
6250 자연에 차원은 없다. 1 김동렬 2020-03-01 2493
6249 사물이 있고 사건이 있다. 1 김동렬 2019-11-20 2495
6248 초심자를 위한 구조론 김동렬 2022-05-19 2495
6247 신의 입장 김동렬 2023-05-08 2499
6246 제주도사람과 호남사람 김동렬 2023-02-26 2501
6245 허무주의에 대하여 김동렬 2023-03-05 2502
6244 구조론은 사건의 원자론이다 1 김동렬 2020-01-06 2505
6243 충청도 죽이기 김동렬 2023-07-16 2510
6242 플라잉카의 마이너스 1 김동렬 2019-11-18 2513
6241 세상을 이해하자 김동렬 2022-05-26 2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