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838 vote 0 2023.12.28 (14:30:21)

    선이 악을 이긴다. 항상 그러한 것은 아니다. 많은 경우 악이 선을 이긴다. 중학생의 일진놀이가 그렇다. 못된 녀석이 이겨서 무리 위에 군림한다. 사람들이 악을 저지르는 이유는 악이 승리하기 때문이다. 이겨먹으려고 그러는 것이다. 


    진보가 보수를 이긴다. 항상 그러한 것은 아니다. 많은 경우 보수가 이긴다. 사람들이 한사코 보수로 달려가는 이유는 이겨먹으려는 욕심 때문이다. 옳고 그름에는 관심이 없고 단지 이겨먹으려고 승리하는 구조를 만들면 그게 보수다. 


    그러나 모두 이기는 게임은 없다. 모두가 보수할 수는 없다. 모두가 악할 수는 없다. 모두가 이기려고 하면 모두가 지는 것이 게임이론의 내시균형이다. 우리는 알고 있다. 다시 선이 이긴다는 사실을. 다시 진보가 승리한다는 사실을. 


    이기는 선과 지는 선이 있다. 이기는 진보와 지는 진보가 있다. 보편과 특수가 있다. 이기는 선은 보편성의 선이다. 지는 선은 특수성의 선이다. 특수하다는 것은 때와 장소가 특정된다는 것이다. 놀부와 흥부가 싸우면 놀부가 이긴다. 


    흥부는 사람이 특정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놀부팀과 흥부팀이 싸우면 흥부팀이 이긴다. 놀부팀은 동료에게 패스하지 않기 때문이다. 놀부팀은 동료까지 이겨먹으려고 하기 때문이다. 진보도 같다. 보편진보는 이기고 특수진보는 진다. 


    때와 장소가 정해진 진보는 진다. 개인전을 하면 보수가 이기고 팀플레이를 하면 진보가 이긴다. 선이 이기려면 단체전을 해야 한다. 장기전을 해야 한다. 넓고 열린 곳에서는 진보가 이기고 좁고 궁벽한 곳에서는 항상 보수가 이긴다. 


    열린우리당이 당명에 열려있음을 강조한 이유다. 닫힌 진보는 진다는 사실을 본능적으로 아는 것이다. 장기전은 진보가 이기고 단기전은 보수가 이긴다. 진보가 이기려면 1차전을 내줘야 한다. 항상 이기는 진보는 원리적으로 없다.


    진보가 선이고 보수는 악이다. 보편적으로 그러할 뿐 항상 그러한 것은 아니다. 진보는 단체전, 장기전, 능동적, 긍정적, 공격전, 보편성일 때 한하여 선이다. 반대로 개인전, 단기전, 수동적, 부정적, 방어전, 특수성일 때 진보는 악이다. 


   우리가 진보를 지향하는 이유는 진보가 항상 옳기 때문이 아니라 누군가는 진보를 해야 한다면 무리 중에서 가장 똑똑한 사람이 진보를 맡아야 하기 때문이다. 멍청한 사람이 진보를 하면 그게 악이다. 똑똑한 진보가 이길 자격이 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0737
6606 사랑과 운명 김동렬 2023-12-25 2707
6605 성탄절의 의미 김동렬 2023-12-24 2816
6604 구조론의 첫 단추 김동렬 2023-12-23 1812
6603 대승의 긍정 1 김동렬 2023-12-22 3891
6602 의도를 읽히면 망한다 김동렬 2023-12-21 3998
6601 긍정적 사고의 힘 1 김동렬 2023-12-21 1817
6600 긍정어법의 어려움 김동렬 2023-12-20 2313
6599 부정과 긍정 김동렬 2023-12-19 1826
6598 권력과 의미 김동렬 2023-12-18 1827
6597 민족주의란 무엇인가? 김동렬 2023-12-18 1763
6596 나폴레옹은 누구인가? 김동렬 2023-12-17 1923
6595 영웅 죽이기 스티브 잡스편 김동렬 2023-12-17 1830
6594 방향과 순서 김동렬 2023-12-15 1582
6593 차령산맥은 없다 image 김동렬 2023-12-15 1861
6592 김건희 마녀사냥 문제 있다 김동렬 2023-12-14 2804
6591 존재론과 인식론 김동렬 2023-12-13 1719
6590 훈요십조의 진실 image 김동렬 2023-12-13 1842
6589 정치의 본질 김동렬 2023-12-12 2148
6588 서울의 봄 위대한 전진 2 김동렬 2023-12-12 2010
6587 제 1 지식 김동렬 2023-12-11 1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