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565 vote 0 2023.12.28 (14:30:21)

    선이 악을 이긴다. 항상 그러한 것은 아니다. 많은 경우 악이 선을 이긴다. 중학생의 일진놀이가 그렇다. 못된 녀석이 이겨서 무리 위에 군림한다. 사람들이 악을 저지르는 이유는 악이 승리하기 때문이다. 이겨먹으려고 그러는 것이다. 


    진보가 보수를 이긴다. 항상 그러한 것은 아니다. 많은 경우 보수가 이긴다. 사람들이 한사코 보수로 달려가는 이유는 이겨먹으려는 욕심 때문이다. 옳고 그름에는 관심이 없고 단지 이겨먹으려고 승리하는 구조를 만들면 그게 보수다. 


    그러나 모두 이기는 게임은 없다. 모두가 보수할 수는 없다. 모두가 악할 수는 없다. 모두가 이기려고 하면 모두가 지는 것이 게임이론의 내시균형이다. 우리는 알고 있다. 다시 선이 이긴다는 사실을. 다시 진보가 승리한다는 사실을. 


    이기는 선과 지는 선이 있다. 이기는 진보와 지는 진보가 있다. 보편과 특수가 있다. 이기는 선은 보편성의 선이다. 지는 선은 특수성의 선이다. 특수하다는 것은 때와 장소가 특정된다는 것이다. 놀부와 흥부가 싸우면 놀부가 이긴다. 


    흥부는 사람이 특정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놀부팀과 흥부팀이 싸우면 흥부팀이 이긴다. 놀부팀은 동료에게 패스하지 않기 때문이다. 놀부팀은 동료까지 이겨먹으려고 하기 때문이다. 진보도 같다. 보편진보는 이기고 특수진보는 진다. 


    때와 장소가 정해진 진보는 진다. 개인전을 하면 보수가 이기고 팀플레이를 하면 진보가 이긴다. 선이 이기려면 단체전을 해야 한다. 장기전을 해야 한다. 넓고 열린 곳에서는 진보가 이기고 좁고 궁벽한 곳에서는 항상 보수가 이긴다. 


    열린우리당이 당명에 열려있음을 강조한 이유다. 닫힌 진보는 진다는 사실을 본능적으로 아는 것이다. 장기전은 진보가 이기고 단기전은 보수가 이긴다. 진보가 이기려면 1차전을 내줘야 한다. 항상 이기는 진보는 원리적으로 없다.


    진보가 선이고 보수는 악이다. 보편적으로 그러할 뿐 항상 그러한 것은 아니다. 진보는 단체전, 장기전, 능동적, 긍정적, 공격전, 보편성일 때 한하여 선이다. 반대로 개인전, 단기전, 수동적, 부정적, 방어전, 특수성일 때 진보는 악이다. 


   우리가 진보를 지향하는 이유는 진보가 항상 옳기 때문이 아니라 누군가는 진보를 해야 한다면 무리 중에서 가장 똑똑한 사람이 진보를 맡아야 하기 때문이다. 멍청한 사람이 진보를 하면 그게 악이다. 똑똑한 진보가 이길 자격이 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update 2 김동렬 2024-05-27 2538
1161 명령과 동원 김동렬 2021-10-17 2973
1160 언어구조론 김동렬 2021-10-13 2970
1159 인간이 죽는 이유 김동렬 2021-09-08 2970
1158 교육의 전략 1 김동렬 2020-06-01 2970
1157 권력의 근거 김동렬 2023-10-06 2969
1156 존 듀이가 망친 서구 2 김동렬 2020-04-29 2968
1155 윤석열의 몰락 이유 김동렬 2022-07-13 2966
1154 개혁의 정답은? 1 김동렬 2020-12-23 2965
1153 논객행동 이재명 김동렬 2020-09-20 2964
1152 시간의 정체 김동렬 2021-09-21 2962
1151 공자의 권력과 노자의 이득 김동렬 2020-12-22 2961
1150 진리에 의지하라 1 김동렬 2021-09-18 2960
1149 민중의 백기완 김동렬 2021-02-15 2960
1148 구조의 발견 1 김동렬 2020-06-11 2959
1147 구조론은 언어감각이다 1 김동렬 2019-07-02 2959
1146 인류원리 5 김동렬 2023-09-26 2957
1145 철학해야 하는 이유 1 김동렬 2020-07-23 2957
1144 언어와 관점과 사건 1 김동렬 2021-09-22 2956
1143 자연은 할 수 있는 것을 한다 김동렬 2021-03-10 2956
1142 세상의 진실은 권력이다 1 김동렬 2021-02-25 29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