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4844 vote 0 2023.12.28 (14:30:21)

    선이 악을 이긴다. 항상 그러한 것은 아니다. 많은 경우 악이 선을 이긴다. 중학생의 일진놀이가 그렇다. 못된 녀석이 이겨서 무리 위에 군림한다. 사람들이 악을 저지르는 이유는 악이 승리하기 때문이다. 이겨먹으려고 그러는 것이다. 


    진보가 보수를 이긴다. 항상 그러한 것은 아니다. 많은 경우 보수가 이긴다. 사람들이 한사코 보수로 달려가는 이유는 이겨먹으려는 욕심 때문이다. 옳고 그름에는 관심이 없고 단지 이겨먹으려고 승리하는 구조를 만들면 그게 보수다. 


    그러나 모두 이기는 게임은 없다. 모두가 보수할 수는 없다. 모두가 악할 수는 없다. 모두가 이기려고 하면 모두가 지는 것이 게임이론의 내시균형이다. 우리는 알고 있다. 다시 선이 이긴다는 사실을. 다시 진보가 승리한다는 사실을. 


    이기는 선과 지는 선이 있다. 이기는 진보와 지는 진보가 있다. 보편과 특수가 있다. 이기는 선은 보편성의 선이다. 지는 선은 특수성의 선이다. 특수하다는 것은 때와 장소가 특정된다는 것이다. 놀부와 흥부가 싸우면 놀부가 이긴다. 


    흥부는 사람이 특정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놀부팀과 흥부팀이 싸우면 흥부팀이 이긴다. 놀부팀은 동료에게 패스하지 않기 때문이다. 놀부팀은 동료까지 이겨먹으려고 하기 때문이다. 진보도 같다. 보편진보는 이기고 특수진보는 진다. 


    때와 장소가 정해진 진보는 진다. 개인전을 하면 보수가 이기고 팀플레이를 하면 진보가 이긴다. 선이 이기려면 단체전을 해야 한다. 장기전을 해야 한다. 넓고 열린 곳에서는 진보가 이기고 좁고 궁벽한 곳에서는 항상 보수가 이긴다. 


    열린우리당이 당명에 열려있음을 강조한 이유다. 닫힌 진보는 진다는 사실을 본능적으로 아는 것이다. 장기전은 진보가 이기고 단기전은 보수가 이긴다. 진보가 이기려면 1차전을 내줘야 한다. 항상 이기는 진보는 원리적으로 없다.


    진보가 선이고 보수는 악이다. 보편적으로 그러할 뿐 항상 그러한 것은 아니다. 진보는 단체전, 장기전, 능동적, 긍정적, 공격전, 보편성일 때 한하여 선이다. 반대로 개인전, 단기전, 수동적, 부정적, 방어전, 특수성일 때 진보는 악이다. 


   우리가 진보를 지향하는 이유는 진보가 항상 옳기 때문이 아니라 누군가는 진보를 해야 한다면 무리 중에서 가장 똑똑한 사람이 진보를 맡아야 하기 때문이다. 멍청한 사람이 진보를 하면 그게 악이다. 똑똑한 진보가 이길 자격이 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8306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003
1460 중간단계 화석은 없다. 김동렬 2020-11-22 3352
1459 의리의 김어준과 배신의 진중권 1 김동렬 2020-07-17 3352
1458 아마추어의 주관과 프로의 객관 1 김동렬 2018-12-07 3350
1457 진리와의 대화 2 김동렬 2019-08-19 3349
1456 쉬운 엔트로피 1 김동렬 2018-12-06 3348
1455 공자의 술이부작과 온고지신 1 김동렬 2020-07-14 3347
1454 종교와 대안 3 김동렬 2021-12-27 3346
1453 타인에게 말걸기 김동렬 2021-10-06 3346
1452 우주의 제 1 원리 만유척력 김동렬 2021-02-04 3346
1451 대의명분 윤서방 김동렬 2021-12-19 3345
1450 윤석열의 오서방 정치 1 김동렬 2022-07-18 3344
1449 강형욱과 이찬종 김동렬 2022-05-29 3344
1448 정치는 판 놓고 판 먹기다 김동렬 2020-09-14 3344
1447 철학이란 무엇인가? 1 김동렬 2020-07-19 3344
1446 아이러니를 타파하라. 1 김동렬 2020-11-15 3343
1445 세상이 어떤 원리로 돌아가는가? 1 김동렬 2020-06-11 3343
1444 이수정의 삽질에는 이유가 있다 김동렬 2021-02-24 3340
1443 인류원리 7 김동렬 2023-09-29 3339
1442 연역이 좋다 3 김동렬 2019-08-21 3339
1441 의사결정비용의 문제 1 김동렬 2018-12-03 33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