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892 vote 0 2023.12.19 (17:46:42)

    인간의 뇌는 부정을 이해 못한다는 말이 있다. 코끼리를 생각하지마! 하면 코끼리를 생각한다. 긍정은 연결이고 부정은 단절이다. 연결은 1이고 단절은 2다. 긍정은 1이고 부정은 2다. 부정이 더 많은 뇌의 연산을 필요로 한다.


    사실 인간은 부정 위주로 사고한다. 오히려 긍정을 못한다. 무엇이든 각을 세우고 말대꾸한다. 의심하고 야유하고 조롱한다. 문제를 상대방에게 넘긴다. 인간은 부정할 때 호르몬이 나오고 뇌가 활성화되어 흥분하는 존재다.


    스키 초보자에게 나무를 피하라고 하면 기어코 나무에 박는다. 많은 나무가 있다. 나무는 2다. 나무 사이의 길은 1이다. 길은 연결되어 있다. 1이 2보다 낫다. 문제는 1이 보이지 않는다는 점이다. 나무는 잘 보이는데 말이다. 


    노자가 부정적 사고라면 공자는 긍정적 사고다. 독자들은 노자를 좋아하고 공자를 싫어한다. 인간은 언제나 부정한다. 긍정하면 상대의 주도권에 말린다. 보이스 피싱에 속는 이유는 부정을 못해서다. 전화를 끊지 못한다. 


    긍정을 하면 대화가 이어지지 않는다. ‘오늘 날씨 좋지?’ ‘예.’ 거기서 대화가 끊어진다. 서먹해졌다. 민망하다. 그러므로 NO를 하지 않으면 안 된다. 폭탄 돌리기와 같다. 어색함이라는 폭탄을 재빨리 상대방에게 넘겨버린다.


    인간의 자연스러운 답변은 NO다. 의사결정은 2를 1로 바꾸고 부정을 긍정으로 바꾸는 것이다. 밸런스를 구성하는 대칭 2를 코어 1로 바꾼다. 두 사람이 하는 일을 한 사람이 하게 된다. 무언가 줄이는 마이너스가 힘이다.  


    나무 2를 길 1로 줄이는 것이 의사결정이다. 그러나 인간이 무언가를 보았다면 이미 2다. 나무는 구체적이다. 길은 추상적이다. 인간은 추상에 약하다. 나무는 보고 길은 보지 못한다. 추상은 이름이 없다. 1은 말하기 어렵다.

  

    노자의 도道가 어렵고 불교의 공空이 유교의 중용中庸이 어려운 것과 같다. 명은 2고 도는 1이다. 색은 2고 공은 1이다. 음양은 2고 중용은 1이다. 2는 쉽고 1은 어렵다. 2가 쉬운 것은 하나를 상대가 맡아주기 때문이다.

 

    부정이 어렵다는 말은 혼자 대칭 2를 감당하기 어렵다는 말이다. 둘이면 오히려 부정이 쉽다. 백짓장은 혼자 들기 어렵고 칼은 둘이 들기 어렵다. 결국 모든 것은 밸런스를 통제하는 문제임을 알아야 한다. 


    아기는 긍정한다. 미운 일곱살이 되면 부정한다. 꼬박꼬박 말대꾸 한다. 인간은 부정하게 되어 있다. 긍정하려면 노력이 필요하다. 깨달음이 필요하다. 원리적으로 긍정은 불가능하다. 아기의 긍정은 엄마가 돕기 때문이다. 


    막대기를 주면 반대쪽을 잡는다. 다시 고쳐잡아야 한다. 칼을 건네주면 어떻게 받을 것인가? 칼날을 받으면 찔린다. 손잡이를 뺏으려다가 놓친다. 부정을 거친 긍정이 진짜다. 나무를 본 다음 나무 사이의 길을 찾아야 한다. 


    코끼리를 부정하려면 코끼리의 존재를 긍정해야 한다. 존재를 긍정하되 위치를 부정한다. 동動을 거친 정靜이 진짜다. 의심을 거친 믿음이 진짜다. 대칭을 거친 코어가 진짜다. 좌우를 거친 중도가 진짜다. 처음부터 중도는 가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9409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5638
6621 생각의 도구 1 김동렬 2023-01-18 1873
6620 직관의 힘 김동렬 2023-12-06 1875
6619 구조론은 김동렬 2023-08-30 1876
6618 영웅 죽이기 스티브 잡스편 김동렬 2023-12-17 1877
6617 훈요십조의 진실 image 김동렬 2023-12-13 1878
6616 긍정적 사고의 힘 1 김동렬 2023-12-21 1881
6615 에너지란 무엇인가? 김동렬 2023-08-27 1883
6614 연결문제 김동렬 2023-02-12 1884
6613 유인촌 막 나가네 김동렬 2023-12-03 1884
6612 권력과 의미 김동렬 2023-12-18 1884
6611 길 힘 법 김동렬 2023-09-10 1885
» 부정과 긍정 김동렬 2023-12-19 1892
6609 구조문제 김동렬 2023-01-13 1894
6608 도구주의 관점 김동렬 2022-06-22 1901
6607 차별과 증오의 야만인 정치 김동렬 2023-07-23 1904
6606 힘과 짐 김동렬 2023-08-16 1907
6605 중국 축구 수수께끼 풀렸다 1 김동렬 2023-11-23 1907
6604 본질지향에서 도구지향으로 김동렬 2022-04-23 1908
6603 왼손잡이 문제 김동렬 2022-05-22 1909
6602 진화론의 완성도 김동렬 2022-12-08 1911